콘텐츠목차

『각읍지도』 「칠곡지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0807
한자 各邑地圖 㓒谷地圖
영어공식명칭 Map of Chilgok in Gageupjido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류명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성격 지도
권책 1책
규격 29.2×19.2㎝

[정의]

조선 후기에 제작된 『각읍지도』에 수록된 경상도 칠곡도호부의 지도.

[편찬/간행 경위]

『각읍지도(各邑地圖)』 「칠곡지도(㓒谷地圖)」 영조 연간에 제작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각읍지도』[한古朝61-14]에 수록되어 있다. 『각읍지도』『해동지도(海東地圖)』 계열과 『영남지도(嶺南地圖)』 계열의 군현지도가 섞여 있다. 『각읍지도』『해동지도』『영남지도』가 제작된 이후 필사 과정에서 일정한 규격으로 편찬되었으며, 「칠곡지도」『영남지도』를 모사하였다.

[형태/서지]

『각읍지도』 「칠곡지도」 의 크기는 세로 29.2㎝, 가로 19.2㎝이다. 주기(註記)는 없으며, 지도 외곽에는 간지(干支)인 묘유오자(卯酉午子)를 사용하여 동서남북 방위를 표시하였다.

[구성/내용]

『각읍지도』 「칠곡지도」 의 가산산성에는 읍치가 분홍색 바탕의 청색 사각형 안에 표기되어 있다. 성곽 모양으로 그려진 산성 내에는 삼읍창, 보국사, 남창, 천주사 등이 그려져 있다. 도로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방리는 황색 바탕의 적색 직사각형 안에 기록되어 있는데, 현재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지역인 노곡면·파미면, 칠곡군 가산면 지역인 동북면, 칠곡군 동명면 지역인 하북면·서북면, 칠곡군 지천면 지역인 이언면·상지면·도촌면, 대구광역시 북구에 편입된 옛 칠곡군 칠곡읍을 이루던 문주면·팔거면·퇴천면이 있다.

산지는 연속된 줄기가 아닌 독립된 봉우리로 그려져 있다. 칠곡도호부의 동쪽 경계 부근에는 팔공산·도덕산·태봉·과모산, 북쪽 경계 부근에는 소야현·죽현·소학산·발산·건령산·여화현 등이 있다. 그 외에 법곡산, 왕산봉, 대현, 구산, 태백산 등이 있다.

하천은 두 줄의 실선을 사용하여 청색으로 채색하였다. 칠곡도호부의 서쪽 경계가 되는 낙동강에는 공암진이 있고, 남쪽 경계가 되는 금호진에는 칠곡도호부 내에서 발원한 여러 하천들이 유입된다. 역참은 분홍색 바탕의 청색 직사각형을 사용하였는데, 고평역이 기재되어 있다.

사찰은 송림사와 녹봉사가 있고, 서원은 한강(寒岡) 정구(鄭逑)[1543~1620]와 석담(石潭) 이윤우(李潤雨)[1569~1634]를 배향한 사양서원이 있다. 칠곡도호부의 남쪽 팔거면에는 향교와 팔거창이 있다.

[의의와 평가]

『각읍지도』 「칠곡지도」 『영남지도』 계열의 군현지도이며, 크기가 작아 보관하기 편리하게 되어 있다. 수록 내용은 주기와 도로가 없는 점을 제외하면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영남지도』와 거의 유사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
관련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