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해동여지도』 「대구·현풍지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0255
한자 海東輿地圖 大丘 玄風地圖
영어공식명칭 Map of Daegu and Hyeonpung in Hadongyeojido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류명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12월 22일 - 『해동여지도』 보물 제1593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6월 29일 - 『해동여지도』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성격 지도
권책 3책
규격 34.0×22.3㎝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해동여지도』]

[정의]

조선 후기에 제작된 『해동여지도』에 수록된 경상도 대구도호부현풍현의 지도.

[편찬/간행 경위]

『해동여지도(海東輿地圖)』 「대구·현풍지도(大丘玄風地圖)」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해동여지도』[古貴2107-36] 제1책에 수록되어 있다. 「대구·현풍지도」대구도호부현풍현을 연결하여 한 지면에 두 개의 군현을 함께 그렸다. 이로 보아 1개의 군현을 1장의 지도에 묘사하던 영조대 제작된 20리 방안 지도를 정조 연간에 편집하여 편찬한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서지]

『해동여지도』 「대구·현풍지도」 의 크기는 세로 34.0㎝, 가로 22.3㎝이며, 광곽(匡郭)의 크기는 세로 25.0㎝, 가로 17.0㎝이다. 세로 7칸, 가로 5칸의 방안에 그려져 있으며, 방안 외곽에는 동98~104, 남29~32의 수치가 기재되어 있다.

[구성/내용]

『해동여지도』 「대구·현풍지도」 대구도호부 영역에는 황색 바탕의 적색 사각형 안에 감영이라고 기록하였으며, 기호 주위에는 성곽을 표시하였다. 방리는 동상면, 동수면[동중면의 오기], 동하면, 서상면, 서중면, 서하면, 중북면[수북면의 오기], 현내면, 수동면, 상수남면, 하수서면, 상수서면, 감물천면, 화현면, 옥포면, 성평면, 법화면, 조암면, 인흥면, 월배면, 각남면, 각북면, 각초면, 해동면, 해북면, 해서부면, 해서촌면, 하동면, 하서면, 하남면, 하북면 등이 기록되어 있다.

산줄기는 ‘∧’ 모양으로 중첩되게 그렸는데, 대구도호부의 남쪽에는 비슬산·유남산·최항산·팔조령·금성산·수옥산, 북쪽에는 공산·건령산·녹봉 등이 기재되어 있다. 감영 남쪽에는 진산인 연구산이 있고, 북쪽에는 침산이 있다. 또 마천산, 성산, 법이산에는 봉수가 표시되어 있다.

하천은 두 줄의 실선을 사용하여 청색으로 채색하였는데, 낙동강대구도호부의 서쪽 경계를 이룬다. 또 금호강낙동강으로 유입하며, 금호강의 지류에는 신천·전탄·하이강 등이 표기되어 있다. 역원은 범어역·금천역·고평역·설화역·유산역·오동원 등이 있는데, 덕인원(德因院)은 ‘덕인면(德因面)’으로 오기되어 있다.

사찰은 추덕사·지장사·용연사·용천사 등이 표기되어 있는데, 향림사(香林寺)는 ‘향림치(香林峙)’, 임수사(臨水寺)는 ‘임수정(臨水亭)’으로 오기되어 있다. 창고는 채색된 건물로 묘사하였는데, 강창·남창·풍각창·해창 등이 있다. 서원은 연경서원, 남강서원, 청호서원이 기록되어 있다.

현풍현 영역에는 적색의 원형 안에 ‘현(玄)’ 자를 써서 읍치를 표시하였다. 방리는 모로촌면, 마산면, 유가면, 동부면, 논공면, 거을산면, 묘동면, 구지산면, 오설면, 산전면, 진촌면, 답곡면, 왕지면이 기록되어 있다. 이 중 우만면(亏萬面)은 ‘우방면(亏方面)’, 말역면(末亦面)은 ‘말적면(末赤面)’으로 오기되어 있다.

산지는 현풍현의 동쪽에 비슬산·천왕봉·대견봉·조화봉, 남쪽에 태백산·문방산·대니산 등이 기재되어 있다. 읍치 북쪽에는 소산봉(所山烽)이 표시되어 있다. 하천은 현풍현의 서쪽을 흐르는 인탄이 있고, 낙동강의 지류로는 구천과 차천이 그려져 있다. 역참은 쌍산역, 사찰은 유가사가 표기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해동여지도』는 동일한 크기의 지도에 20리 방안의 간격을 조절하여 각 군현이 두 지면을 넘지 않게 제작되었다. 『조선지도(朝鮮地圖)』 계통의 지도이지만, 20리 방안에 수치가 기재되어 있는 점과 도로망이 그려져 있지 않은 점 등에서 차이가 난다. 『해동여지도』는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93호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해동여지도』 「대구·현풍지도」 는 당시 대구도호부현풍현 지역의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20리 방안식 군현지도가 『청구도(靑邱圖)』·『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등 19세기 대축척 조선전도로 발전하는 중간 단계에 해당하는 지도로 조선 후기 지도 발달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사료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
관련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