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560
한자 日帝强占期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일수

[정의]

대구가 1910년 8월 29일 대한제국이 일본에 강제 병합되어 1945년 8월 15일까지 식민 지배에 있었던 시기.

[대구와 일제의 식민 지배]

일제는 강제 병합 후 총독부를 설치하고, ‘충량한 신민의 양성’이라는 동화정책의 기조 위에서 민족 차별 정책을 펼쳤다. 일제는 ‘조선의 일본화’라는 동화주의 원칙을 세워 우리 민족의 저항을 최소화하고 제국주의 수탈을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동화주의는 조선 통치의 최고 방침으로 제시되었다. 그 핵심은 ‘내선일체’이고, 궁극적 목표는 조선의 시코쿠·규슈화였다. 총독은 일왕에 직속되어 일왕에 상주할 수 있는 권한을 가졌으며, 위임 범위 내에서 육해군의 통솔과 제반 정무에 대한 통할권 및 제령(制令)의 입법권을 가졌다.

일제강점기 대구는 경북 도청을 비롯하여 지배와 수탈을 위한 각종 도(道) 단위 기관이 설치되어 경북의 수부로 기능하였다. 예를 들어 총독부가 경제 침탈 기구로서 설치한 철도국·통신국·세관·임시토지조사국·동양척식주식회사·조선식산은행·조선은행 등의 지부나 지점을 대구에 두었다. 총독부는 대구를 기점으로 경북 각 지역과 연결되는 철도와 도로망을 구축하여 경북 내륙을 자본주의 상품 시장으로 만들고, 다른 한편 경북 내륙에서 생산된 생산물의 집하장으로 활용하였다. 대구에 집하된 생산물은 경부선을 통하여 부산을 거쳐 일본으로 이출되었다.

총독부는 1914년 대구에 부제(府制)를 실시하고, 부윤의 자문기구로 부협의회를 설치하였다. 부협의회는 1931년에 제한된 의결기구인 부회(府會)로 변경되었다. 총독부는 1921년 대구의 학교비(學校費)에 관하여 부윤 자문으로 학교평의회를 설치하였다.

일제는 식민 지배 정책으로 대구에 1910년대에는 헌병경찰제를 시행하고, 3·1운동 후인 1920년에는 문화통치를 시행하였으며, 만주 침략을 계기로 전쟁 확대 정책인 전시 동원 체제를 펼쳐 인적·물적 자원을 수탈하였다. 일제는 경제적으로 1910년대에 식민지 지주제를 확립한 토지조사사업을, 1920년대에 미곡 이출을 목표로 한 산미증식계획을, 1930년대에는 병참기지화 정책을 시행하였다. 1937년 중일전쟁 이후 전시 동원 체제를 통하여 인적·물적 자원을 수탈하고, 황국신민화정책을 펼쳐 민족동화정책을 강화하였다.

한편, 총독부는 대구를 식민도시로 재편하는 정책을 펼쳤다. 1910년대에 시가지 정리 사업을 마무리하고, 1920년대에는 도시계획을 추진하였으나 민족 차별이 격심하여지는 결과를 낳았다. 곧 공간적으로 일본인 지역과 조선인 지역이 완연히 구별되었다. 대구의 토지, 소득, 회사, 공장 등 경제 상황에서도 일본인이 조선인을 압도하였다. 1930년대에 대구부는 일제의 전쟁 정책에 따른 전쟁 특수를 기대하여 ‘대(大) 대구의 건설’을 전망하였으나 군사도시 대구가 도드라졌다. 이에 일제강점기 대구는 전형적 식민도시였다.

[일제강점기 대구의 독립운동]

대구는 식민지 시기에 독립을 쟁취하여 자주를 회복하고 세계 평화를 이룩하기 위한 민족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1910년대에 비밀결사 재건 달성친목회[일명 조선국권회복단]와 광복회 운동을 펼쳤고, 1916년에는 대구권총사건을 일으켰다. 1919년 3월 8일 서문시장 만세 시위를 시작으로 3·1운동과 비밀결사 혜성단 운동을 펼쳤다.

1920년대에는 대구청년회, 대구여성회, 조선형평사경북지사, 대구노동공제회, 적우동맹 등을 통한 대중운동과 신간회를 통한 민족운동, 이종암 군자금 모금사건조선식산은행 폭탄 사건과 같은 의열 투쟁, 허무당 선언과 같은 폭력투쟁, 무정부주의 운동, 물산장려운동과 민립대학설립운동 같은 실력양성운동 등을 펼쳤다.

1930년대에는 조선공산주의자협의회, 대구노동자협의회와 같은 혁명적 대중운동과 조선공산당 재건 운동을, 일제 말기에는 대구사범학교 다혁당, 대구상업학교 태극단, 무우원과 같은 비밀결사 운동을 지속적으로 펼쳤다.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의 운동과 사건을 일으켜 일제의 식민 지배에 맞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경북지부를 결성하여 일제의 패망을 예견하고 완전한 독립에 준비하는 활동을 펼쳤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