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0172
한자 臥龍山
영어공식명칭 Waryongsa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대구광역시 달서구|달성군|서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한승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와룡산 - 대구광역시
해당 지역 소재지 와룡산 - 대구광역시 달서구 이곡동|용산동|신당동|달성군 다사읍|서구 상리동지도보기
성격
높이 262.5m

[정의]

대구광역시 달서구 이곡동·용산동·신당동, 달성군 다사읍, 서구 상리동에 걸쳐 있는 산.

[개설]

와룡산(臥龍山)대구광역시 달서구 이곡동·용산동·신당동, 달성군 다사읍, 서구 상리동에 걸쳐 있는 산이다. 와룡산의 해발 고도는 262.5m이며, 좌표는 35°52′48.33″, 128°30′17.25″이다. 북서쪽에 용의 머리인 용두봉(龍頭峰), 정상부에 용의 몸통인 와룡산, 북동쪽에 용의 꼬리인 용미봉(龍尾峰)으로 이루어져 있다.

[명칭 유래]

산의 형세가 용이 누워 있는 모습과 비슷한 데서 ‘와룡산’이라고 명명하였다. 『대구읍지(大丘邑誌)』에 따르면, 와룡산 아래 ‘옥연(玉淵)’이라는 연못에서 용이 나왔기 때문에 ‘와룡산’이라 불렀다고 한다. 또한 와룡산 일대를 ‘성서(城西)’라고 하는데 대구 서쪽을 방어하는 성의 역할을 한다고 ‘성산봉(城山峯)’이라 불렀다. 와룡산경상감영(慶尙監營)을 등지고 서울을 향하고 있어 풍수지리에서는 대구를 거역하는 ‘역산(逆山)’이라고 한다.

[자연환경]

와룡산의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쥐라기시대 상부대동계 신라층군 대구층이다. 대표 암상은 이암, 셰일 및 사암이며, 상부대동계 신라층군 학본반암층이 관입하였다. 대표 암상은 휘석반암각섬석휘석반암이다.

[현황]

와룡산 아래에 있는 용강서원(龍岡書院)은 1696년 상무헌(尙武軒) 허득량(許得良)낙암(洛庵) 허복량(許復良)을 제향하기 위하여 ‘충렬사(忠烈祠)’라는 이름으로 창건되었다. 1804년 지금의 자리로 이건하여 용강서원으로 승격되었다.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손되었다가 1920년 재실인 용강재(龍岡齋)가 건립되었다. 1990년 사당과 강당을 복원하여 현재의 용강서원 모습을 갖추었다.

와룡산에는 대구경관자원 52선에 선정된 진달래 군락지가 있다. 2015년 준공된 상리봉 전망대는 전망 덱, 포토존, 조형 벤치 등이 설치되어 대구 도심과 금호강을 파노라마로 감상할 수 있으며, 매년 해맞이 축제가 열리는 장소이기도 하다.

1991년 3월 26일 아이들 다섯 명이 와룡산에 도롱뇽 알을 주우러 갔다가 실종되는 사건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2002년 대구광역시 성산고등학교 신축공사장 뒤쪽 와룡산 중턱에서 아이들의 유골이 발견되었다.

[참고문헌]
  • 대한민국 구석구석(http://korean.visitkorea.or.kr)
  • 한국지질자원연구원(http://www.kigam.re.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