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상업실천학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5916
한자 釜山商業實踐學校
영어의미역 Busan Commercial Practical School
분야 문화·교육/교육,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전영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학교
설립자 향추원태랑|복영정치랑
개교 시기/일시 1919년 5월 1일연표보기 - 부산상업야학교로 개교
개교 시기/일시 1945년 11월 14일 - 재개교
폐교 시기/일시 1945년연표보기 - 폐교
이전 시기/일시 1920년 4월 1일 -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에서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으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26년 2월 5일연표보기 - 부산상업야학교에서 부산상업실천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49년연표보기 - 부산상업실천학교에서 동주상업중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51년연표보기 - 동주상업중학교에서 동주중학교로 개칭
최초 설립지 부산상업야학교 -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
주소 변경 이력 부산상업야학교 -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에 있었던 사립 교육 기관.

[변천]

1919년 5월 1일에 향추원태랑(香椎源太郞)과 복영정치랑(福永政治郞)이 부산교육회가 운영하던 부산실업야학교를 계승하여 부산상업야학교로 서정(西町)[현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에 있는 부산제1공립심상소학교 내에서 개교하였다. 1920년 4월 1일에 구 부산일보사 건물[현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을 매수하여 개축 이전하였으며, 1926년 2월 5일에 부산상업실천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주간 여자부를 개설하였다. 동년 5월 4일에 종래의 남자부 학제도 수업 연한인 ‘3년 매일 밤 2시간’을 ‘2년 3시간’제로 변경하여 남녀 모두 상업 교육을 시행하였다. 당시 학교 현황은 다음과 같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교직원은 촉탁으로 교본의부(橋本義夫)[1920~1921], 고중선이(高仲善二)[1921], 산본수웅(山本秀雄)[1921~1922], 삼권양일(三卷洋一)[1920~1922], 제구언조(諸口彦造)[1921~1922], 임호일(林好一)[1919~1923], 중산행삼랑(中山幸三郞)[1923~1924], 송원무(松原茂)[1921~1924], 하야윤삼랑(河野潤三郞)[1919~1921], 서천정랑(西川正郞), 평간력지조(平間力之助)[1921~1922], 귀기정이랑(龜崎定二郞)[1919~1922], 고장청구(古長淸九)[1919~1922], 창부음좌이문(倉府音佐衛門)[1919~1923], 송산아웅(松山雅雄)[1922~1924], 길기건태랑(吉崎健太郞)[1922~1924]이 있었다.

부산상업실천학교는 해방 후 일시 폐교되었다가, 1945년 11월 14일에 한국인 학생 일부를 인수하여 부산상업실천학교로 다시 개교하였다. 이후 1949년에 동주상업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51년에는 동주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현재 동주여자상업고등학교로 운영되고 있다.

[교육 활동]

일제의 실업 교육 내실화를 위하여 설립된 부산상업실천학교는 일제 강점기 실업 교육의 현주소를 알 수 있는 중요한 기관이다. 일본인의 각종 학교로 분류되는데, 야간 남자부는 2년 3시간제로, 수신, 국어, 습자·작문, 보통 산술, 상업 산술, 주산, 영어, 상사 요항, 부기[상업은행], 법규, 경제를 교수하였다. 주간 여자부는 1년 5시간제로, 수신, 국어, 습자·작문, 상업 산술, 주산, 상사 요항, 부기[상업은행], 사회과, 타이프라이터과를 교수하였다.

[현황]

부산상업실천학교는 2013년 현재 동주여자상업고등학교로 명맥을 이어 나가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