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0519
한자 釜山劇場
영어의미역 Busan Cinema
이칭/별칭 메가박스 부산 극장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 5가 18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집필자 홍영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극장
면적 1,072.5㎡[대지]|1,564.2㎡[연면적]
전화 1544-0070
개관|개장 시기/일시 1934년 11월 5일연표보기 - 개관
개칭 시기/일시 1944년 1월 1일연표보기 - 부산 극장에서 부산 영화 극장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46년 1월 1일연표보기 - 부산 영화 극장에서 항도 극장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47년 8월 29일연표보기 - 항도 극장에서 도립 부산 극장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50년 1월연표보기 - 도립 부산 극장에서 부산 극장으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58년 3월 27일 - 부일 영화제 우수 국산 영화 상영 극장상 수상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6년 9월 11일 - 부산 극장 앞이 BIFF 광장으로 명명됨
최초 설립지 부산 극장 -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 5가 18지도보기
현 소재지 메가박스 부산 극장 -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 5가 18지도보기

[정의]

1934년 개관한 지역 최고의 역사를 자랑하는 부산의 향토 극장.

[건립 경위]

1929년 2월 27일에 국제관(國際館), 1930년 11월 10일에 행관(幸館), 1932년 1월 2일에 유락관(遊樂館)이 연이어 화재 사고로 폐관되자 노후화로 낙후된 극장들이 시설 현대화를 위한 재건축을 하게 되었다. 이에 현대 시설을 갖춘 부산 극장이 들어서게 되었다. 1934년 11월 5일에 『남선 일보』 대표 오가와요시조[小川好藏]가 10만 원을 투입, 동경 가부끼좌[가부끼座]를 본떠 부산부 서정 1정목 9번지[현재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 5가]에 개관하였다.

[변천]

처음에는 연극 전용관으로 출범하였으나 1937년에 보래관이 재건축에 들어가자 닛카츠 및 워드사 등의 영화를 배급받아 영화 전용관으로 변신하였다. 이후에 부산 영화 극장[1944년 1월 1일], 항도 극장[1946년 1월 1일], 부산 극장[1947년 5월 11일], 도립 부산 극장[1947년 8월 29일] 등으로 명칭이 개칭되었다. 1950년 1월에 다시 부산 극장으로 명칭을 개칭하여 사용하였다. 6·25 전쟁 중에는 임시 수도 국회 의사당이 되기도 하였다.

1958년 3월 27일에 부일 영화제 우수 국산 영화 상영 극장상을 수상하였다. 1976년에 연재흠이 인수, 1982년 12월 24일에 현대식 극장으로 재신축하고, 1993년에 멀티플렉스 시설로 재탄생하였다. 2009년 4월에 시너스가 부산 극장을 인수하고, 2011년 5월 20일에 시너스가 메가박스에 합병 완료되어 현재 메가박스 부산 극장으로 불리고 있다.

[구성]

대지 면적은 1,072.5㎡이고, 연면적은 1,564.2㎡이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무대는 247.5㎡이며, 총 1,011석의 부산 최초의 대형 극장이다. 1955년에 「양산도」[김기명 감독]를 시작으로 외화 상영 비율을 줄여나가다가 1959년부터는 한국 영화 상영 전용관으로 정착되었다. 7개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7m X 7.5m 대형 스크린을 보유하고 있다.

[현황]

2012년 현재 부산 극장은 BIFF 거리의 중심 극장이며, 대영 시네마와 함께 남포동 극장가를 지켜내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