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9432
한자 黃鷺
영어공식명칭 Bubulcus ibis
영어의미역 Cattle Egret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동물/동물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지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조류
학명 Bubulcus ibis
생물학적분류 동물계˃척삭동물문˃조강˃황새목˃백로과˃황로속
서식지 초지|가축 방목장|논|습초지
몸길이 50㎝
새끼낳는시기 5월 중순~7월 상순

[정의]

부산광역시에 서식하는 백로과의 여름 철새.

[형태]

황로의 몸길이는 약 50㎝이고, 전체적으로 흰색이다. 여름철에 머리와 목은 황색을 띤다. 황로는 쇠백로·중백로 등의 백로속과는 달리 황로속에 속한다. 백로속에 비하여 머리는 둥글며 목이 짧고 부리도 짧고 두툼한 것이 다르다. 여름 철새이기에 야외에서 구분할 때는 황색의 깃털 때문에 쉽게 구분되기는 하나, 여름이 지나면 황색이 없어져 구분이 쉽지 않다. 다리는 검은색으로 쇠백로와 구별이 된다.

[생태 및 사육법]

우리나라에서 흔하게 번식하는 여름 철새이다. 초지나 가축 방목장, 논 습지, 습초지 등지에서 서식한다. 일반적으로 백로류는 물가에서만 먹이를 찾지만, 황로는 초지에서 곤충류를 잡아먹는 경우도 많다. 번식기 이외에는 10마리 내외의 작은 무리를 흔히 볼 수 있다. 보통 논 습지에서 볼 수 있는데, 때로는 쇠백로나 중대백로 등의 무리에 끼어 있을 때도 있다. 번식은 왜가리, 중대백로, 쇠백로 등과 함께 무리를 지어 번식한다. 둥지를 트는 나무는 소나무, 참나무류, 아까시나무 등 교목을 이용한다. 지상에서 2~10m 높이의 가지에 죽은 나뭇가지를 모아 접시 모양으로 만든다. 산란기는 5월 중순~7월 상순이고 한배의 산란 수는 3~5개이다. 먹이는 곤충류, 양서류, 파충류, 어류, 갑각류[새우], 설치류 등을 먹는다.

[현황]

지구상에 서식하는 백로과의 조류는 61종으로, 이 중 17종이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다. 황로속으로 황로 1종이 분포한다. 번식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인도·버마·중국 남부·일본 남부·타이완·필리핀 등지에서 하며, 류큐 제도·필리핀 등지에서 월동한다. 부산광역시에서는 도시 외곽에 남아있는 논 습지에서 먹이를 먹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으며 강서구 범방동에서 번식한 기록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