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254 |
---|---|
한자 | 長箭洞 |
영어의미역 | Jangjeon-dong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기혁 |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장전(長箭)이란 ‘긴 화살’이라는 뜻으로, 금정산 성안의 죽전 마을과 같이 화살대를 만드는 대나무가 많이 생산되어 붙여진 이름이다.
[형성 및 변천]
장전동(長箭洞)은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 북면 장전리로 기재되어 있다. 1914년 동래부에서 동래군과 부산부로 분리되며 장전리와 소정리[소정은 소하정(蘇蝦亭)이라는 금정산 기슭에 있는 정자에서 비롯된 지명이고, 소하리는 신선이 놀았다고 붙여진 이름] 2개 마을이 합해져 북면 장전동이 되었다. 1942년 동래군 북면에서 부산부로 편입되며 동래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57년 구제가 실시되며 동래구로 직제가 개편되었다. 1970년 장전동은 장전 1동과 장전 2동, 장전 3동으로 분동되었으며 1988년 이후 금정구 관할이 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이 되었는데, 장전 1동은 장전 마을을 중심으로, 장전 2동·장전 3동은 소정 마을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자연 환경]
금정구의 서남쪽에 위치한다. 서로는 금정 산지가 있고, 동쪽은 오륜동과 서동, 북쪽은 구서동, 남쪽은 동래구 온천동과 접한다. 서쪽은 대부분 금정 산지의 동쪽 산록에 해당된다. 금정산에서 남쪽으로 이어지며 축조된 금정산성의 동쪽 성벽을 경계로 금성동과 접한다. 이곳에서 발원한 소하천이 동쪽으로 흘러 온천천에 유입한다. 산록 완사면의 중앙부에 부산대학교가 입지하며. 이외의 지역은 대부분 주거지로 이용된다. 동쪽에는 온천천이 북에서 남으로 흐른다.
[현황]
장전동의 행정동은 장전 1동, 장전 2동, 장전 3동이다. 2023년 12월 현재 면적은 6.02㎢이며, 인구는 2만 2,764가구에 총 4만 3,598명으로 남자가 2만 1,760명, 여자가 2만 1,838명이다. 장전동 관내 교육기관으로 부산대학교가 있다. 금정산 자락에 위치하여 비교적 쾌적한 주거 환경을 이룬다. 부산대학교가 있어 부산 고등 교육의 중심지이다. 지하철 1호선과 중앙 대로가 관통하며 부산대학교 앞은 상가가 밀집하여 있다. 온천동에서 금성동을 연결하는 산성 고개길이 이곳을 지난다. 관내에 금정산성을 다시 쌓은 것을 기념하기 위해 1808년(순조 8)에 세운 금정산성 복설비[부산광역시 기념물 제15호]가 있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4.09.12 | 현행화 |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
2022.11.14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22 | 현행화 |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6.02㎢이며, 인구는 2만 2,228가구에 총 4만 7,219명으로 남자가 2만 3,203명, 여자가 2만 4,016명이다 |
2020.05.28 | 현행화 |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6.02㎢이며, 인구는 2만 1,692가구에 총 4만 8,415명으로 남자가 2만 3,761명, 여자가 2만 4,654명이다 |
2019.05.02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14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