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218
한자 金城洞
영어의미역 Geumseong-dong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기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법정동
면적 8.43㎢
가구수 476가구
인구(남, 여) 1,053명[남 502명|여 551명]
변천 시기/일시 1896년 - 경상남도 양산군 좌이면 금성리
변천 시기/일시 1910년 - 경상남도 양산군 좌이면 금성리에서 경상남도 양산군 북면 금성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경상남도 양산군 북면 금성리에서 경상남도 양산군 좌이면 금성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18년 - 경상남도 양산군 좌이면 금성동이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면에 속함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동래군 구포면이 부산직할시 부산진구에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78년 - 부산직할시 동래구로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88년 - 부산직할시 금정구로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금정구 금성동에서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으로 개편
법정동 금성동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금성(金城)이란 지명은 금정산성[사적 제215호] 안에 있는 동네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한다.

[형성 및 변천]

금성동(金城洞) 지역은 조선 후기에 동래군 서면 지역이었다. 1896년(고종 33) 경상남도 양산군 좌이면 금성리가 되었다가 1910년 북면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좌이면 금성동이 되었다가 1918년 동래군 구포면(龜浦面)에 속하였고, 1963년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관할에 편입되었다. 1978년 동래구에 편입되었다가 1988년 금정구 관할이 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금성동금정 산맥에 위치해 있다. 북쪽에는 정산의 최고봉인 고당봉(姑堂峰)[801.5m]이 있으며, 남쪽에는 원효봉[687m]·의상봉·파리봉·상계봉 등 600m 높이 내외의 산지가 이어진다. 이 능선은 낙동강수영강의 분수계가 되며, 낙동강의 지류인 대천(大川)이 낙동강으로 유입한다.

[현황]

금성동금정구의 북쪽에 위치한 동으로,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2023년 12월 현재 면적은 8.43㎢이며 인구는 451가구에 총 937명으로 남자가 469명, 여자가 468명이다. 동 전체가 국가지정 사적 제215호인 금정산성[국내 최대의 산성으로 원래 신라 시대 왜적을 막기 위하여 축조된 것으로 보이며, 1703년(숙종 29) 경상 감사 조태동(趙泰東)이 석축으로 개축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으로 둘러싸여 있다. 자연 마을로 공해 마을·죽전(竹田) 마을·중리(中里) 마을 등이 있는데, 성안 분지에 있는 세 개의 마을을 합쳐 산성 마을이라 부른다. 금성동은 산성 막걸리로 유명하며 술의 원료인 누룩은 마을의 특산물이다. 매년 금정제(金井祭)라는 산악인 축제가 열린다. 관내에 부산학생교육원, 금성초등학교 등이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4.09.09 현행화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2022.11.17 현행화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2021.03.22 현행화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8.43㎢이며 인구는 488가구에 총 1,094명으로 남자가 532명, 여자가 562명이다
2020.05.28 현행화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8.43㎢이며 인구는 490가구에 총 1,130명으로 남자가 549명, 여자가 581명이다
2019.04.30 2019년 현행화 현황(인구 등) 현행화
2018.03.14 2018년 현행화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현황 일부 서술 수정.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