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057 |
---|---|
한자 | 大渚二洞 |
영어의미역 | Daejeo 2[i]-dong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기혁 |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대저(大渚)라는 지명은 낙동강 어귀에 형성된 ‘큰 모래톱’에서 비롯되었다.
[형성 및 변천]
대저2동은 『여지도서(輿地圖書)』[1757]의 『양산군읍지(梁山郡邑誌)』에 ‘대상하동방(大上下同坊)’에 속해 있었으며, 이 중 대하면이 지금 대저2동의 소덕(小德)·덕두(德頭)·도도(桃島)·맥도(麥島)·사두(沙頭)·설만(雪滿)의 6개 마을에 해당된다. 1906년(고종 41) 경상남도 김해군에 편입되며 대저면이 되었다. 1973년 대저면이 대저읍으로 승격되었고, 1978년 부산직할시 북구에 편입되면서 대저 1동과 대저2동으로 분동되었다. 1983년 북구 지역 일부가 부산직할시 강서출장소로 독립되었고, 1989년 강서출장소가 김해군 가락면과 농산면, 의창군 천가면을 편입하여 강서구로 승격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 2동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대저2동은 대저도의 동부 중앙과 맥도를 포함하고 있다. 서로는 강동동, 북으로는 대저 1동과 접한다. 동으로는 낙동강에 접하고, 대저도와 맥도 사이에는 맥도강이 흐르며, 강변에는 인공 제방이 축조되어 있다. 제방이 축조되며 강변을 따라 있던 취락들이 제방 안쪽으로 이전하였다. 남쪽에서는 맥도강이 낙동강으로 유입된다.
대저2동은 낙동강 삼각주에 위치해 대부분 평야 지역이며, 대부분의 수로는 경지 정리로 직선화되었다. 지질 구성은 주로 자갈, 모래, 진흙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빙기 해수면 상승으로 두꺼운 제4기 충적층이 퇴적되어 있다. 지표면에서부터 점차 하부로 내려갈수록 상층에는 모래층이 퇴적되고, 그 하층에는 점성토층, 그리고 이 점성토층 하부에는 다시 모래층이 퇴적되었다. 그 하부에는 사력층[자갈로 이루어진 지층]이 있고, 사력층 하부에는 자갈 또는 자갈이 혼재된 풍화가 심한 층이 있으며, 그 아래에 기반암층이 있다. 홍수가 일어날 때마다 침수가 잦아 조선 후기의 양안(量案)에 농지 대부분이 4~6등급이었다. 일제 강점기 대동 수문과 제방을 축조한 이후 농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졌다.
[현황]
대저 2동은 벼농사와 채소 농업을 주로 하며, 김해국제공항이 있어 항공 교통의 중심지이다. 2023년 12월 현재 면적은 29.26㎢이고, 인구는 3,547가구에 총 6,644명으로 남자가 3,737명, 여자가 2,907명이다. 자연 마을로 군라 마을, 금호 마을, 도도 본리 마을, 덕두 본리 마을, 동방 마을, 동덕 마을, 동협 마을, 등구 마을, 본맥도 마을, 사두 본리 마을, 상방 마을, 상납청 마을, 설만 마을, 소덕 하리 마을, 송백 마을, 순서 마을, 신노전 마을, 신소 마을, 신평 마을, 염막 마을, 용두 마을, 월포 마을, 입소 마을, 작지 마을, 정관 마을이 있다. 덕두와 사두는 이 일대에서 초기에 형성된 마을이다. 사두리는 지금의 김해 국제공항 자리에 있어 1974년 비행장을 확장할 때 토지가 수용당하였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4.09.20 | 현행화 |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
2022.11.14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22 | 현행화 | 2020년 12월 현재 면적은 29.25㎢이고, 인구는 3,614가구에 총 7,248명으로 남자가 4,074명, 여자가 3,174명이다 |
2020.05.28 | 현행화 | 2019년 12월 현재 면적은 29.25㎢이고, 인구는 3,685가구에 총 7,741명으로 남자가 4,361명, 여자가 3,380명이다 |
2019.05.02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03.14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