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제6공립심상소학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888
한자 釜山第-公立尋常小學校
영어의미역 Busan No. 6 Public Simsang Primary School
분야 문화·교육/교육,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서구 토성동 2가 24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이가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초등 교육 기관
인가 시기/일시 1919년 2월 22일 - 설립 인가
개교 시기/일시 1919년 4월연표보기 - 개교
폐교 시기/일시 1945년 8월 15일연표보기 - 폐교
최초 설립지 부산제6공립심상소학교 - 부산광역시 서구 토성동 2가 24지도보기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광역시 서구 토성동에 있었던 공립 일본인 교육 기관.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훈은 ‘바르게[성실, 여러 덕의 뿌리], 밝게[본적 요소(本的要素)], 강하게[강건, 활강(活强)의 뿌리]’이다.

[변천]

부산제6공립심상소학교는 1919년 2월 22일에 부산부(釜山府) 토성정[현 부산광역시 서구 토성동 2가]에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4월에 개교하였다. 같은 해 5월 1일에 교육 칙어 등본을 하사받았으며, 동년에 강당 및 남쪽 교사 각 1동을 증축하였다. 1922년 12월 19일에 서쪽에 교사를 1동 증축하였으며, 1923년 10월 29일에는 일본 천황의 어진영(御眞影)을 하사받았다.

1927년 3월 9일에 교지(校地)를 확장하였고, 1928년 9월 30일에 교사의 증축·이전 및 교지 정리에 착수하여 1929년 5월에 완료하였다. 1931년 4월에 부산제1특별경제로 이관되었으며, 1933년 4월 29일에 강당 개축 및 특수실을 증축하였다. 1945년 8월 15일에 일제의 패망으로 폐교되었다. 역대 교장은 반전승정(飯田勝正)[1919~1926], 지전희륙(池田喜六), 중산준지조(中産準之助)[1934년 10월 취임] 등이다.

각 연도별 학급 수와 교원 수, 학생 수는 1920년에 교원 15명, 남학생 346명, 여학생 336명, 1922년에 교원 16명, 남학생 391명, 여학생 423명, 1923년에 교원 18명, 남학생 444명, 여학생 452명, 1924년에 교원 20명, 남학생 457명, 여학생 462명, 1927년에 교원 21명, 남학생 521명, 여학생 538명, 1928년에 교원 22명, 남학생 552명, 여학생 529명, 1929년에 학급 21개, 교원 23명, 남학생 575명, 여학생 556명, 1930년에 학급 22개, 교원 23명, 남학생 609명, 여학생 568명, 1931년에 학급 22개, 교원 25명, 남학생 610명, 여학생 565명, 1932년에 학급 24개, 교원 25명, 남학생 665명, 여학생 680명, 1933년에 학급 24개, 교원 26명, 남학생 642명, 여학생 676명, 1936년에 학급 24개, 교원 27명, 남학생 673명, 여학생 674명이었다.

[교육 활동]

부산제6공립심상소학교는 일본인 아동을 위한 초등 교육을 실시하였다. 교육 방침은 첫째, 국가적 정신을 명확하게 하고 착실 온건한 국민을 양성할 것, 둘째, 입헌적 사상을 함양하고 공민적 인격을 양성할 것, 셋째, 세계적 지위를 밝히고 국제적 정신을 양성할 것, 넷째, 아동의 생활 즉 자체적 활동을 존중하고 개성의 발휘에 힘쓸 것, 다섯째, 과학적 연구의 흥미를 환기하고 지식의 연마에 힘쓸 것, 여섯째, 도덕적 호선(好善)의 심정을 도야하고 고결한 인격을 양성할 것, 일곱째, 예술적 취미의 계발에 유의하고 우미한 품성을 양성할 것, 여덟째, 종교적 신념의 계배에 주의하고 신앙의 생활에 지도할 것, 아홉째, 경제적 사상을 양성하고 근검 치산의 미풍을 조장할 것, 열 번째, 체력의 향상을 도모하고 질실(質實) 강건의 기풍을 양성할 것이다.

교수는 교수세목의 제작과 개정, 교과 연구, 교재 연구, 교법 연구, 독서 타합회, 학용품 연구, 각 교과 학습 지도 계통안 제작, 게시 교육, 관찰대 설치, 미터법 시설, 학교 원표, 기상 관측, 학교원(學校園)[애목원(乃木園), 관상원, 교재원, 실습원, 모래 터와 잔디, 녹음 지도 시설, 뫼 쌓기와 샘물 파기], 동물 사육[양계, 양어, 양토, 양잠, 작은 짐승 따위 기르기, 물에 사는 동물 등], 물에 사는 식물 재배, 온실, 온상, 분재 재배, 문고[전교적, 학급적, 학년적], 아동 음악회, 동화회, 절구회(節句會)[단오절구, 칠석절구, 추제(雛祭)], 도화 장려회, 주산 경려회, 학급 성적물 감상, 전교 성적 감상, 미터 전람회, 작업품 전람회, 견학, 공동 고사, 자습회, 열등생 지도 등의 업무를 보았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

조수의 꽃향기가 높은 항구 부산/ 서쪽에 향기가 풍기는 벚꽃/ 깨끗한 마음을 자랑한다.

[현황]

폐교된 부산제6공립심상소학교 터에는 2013년 현재 토성초등학교가 들어서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