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5383
한자 尹永奎
영어공식명칭 Yun Yeonggyu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진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35년 10월 10일연표보기 - 윤영규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60년 - 윤영규 한국신학대학 재학
활동 시기/일시 1960년 - 윤영규 한국신학대학에서 4.19혁명 수습위원 활동
활동 시기/일시 1961년 - 윤영규 영흥중학교 교사 재직
활동 시기/일시 1976년 - 윤영규 긴급조치 9호 위반으로 구속
활동 시기/일시 1980년 - 윤영규 5.18민주화운동 수습대책위원회 위원 활동
활동 시기/일시 1986년 - 윤영규 '5.10교육민주화 선언' 주도
활동 시기/일시 1989년 5월 - 윤영규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창립 주도
몰년 시기/일시 2005년 3월 31일연표보기 - 윤영규 사망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5년 4월 - 국립5.18민주묘지 안장
출생지 전라남도 광주부 광주천변
학교|수학지 한신대학교 - 경기도 오산시 한신대길 137[양산동 400]
활동지 영흥중학교 - 전라남도 목포시 삼각로43번길 9[상동 55]
활동지 광주동성고등학교 - 광주광역시 남구 서문대로627번길 20[진월동 406]지도보기
활동지 광주여자상업고등학교 - 광주광역시 남구 서문대로627번길 20[진월동 406]지도보기
묘소 국립5.18민주묘지 - 광주광역시 북구 민주로 200[운정동 563]지도보기
성격 교육자|5.18민주화운동 유공자
성별
대표 경력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초대 위원장|5.18기념재단 이사장

[정의]

전라남도 광주 출신의 5.18민주화운동 유공자이자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초대 위원장.

[개설]

윤영규(尹永奎)[1935~2005]는 1960년 한국신학대학[지금의 한신대학교] 재학 시절 4.19혁명 수습위원, 1976년 광주YMCA에서 청소년 동아리를 지도하다가 긴급조치 9호 위반으로 구속, 1980년 광주여자상업고등학교 재직 시절 5.18민주화운동 수습대책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하였다. 1986년 「5.10교육민주화 선언」을 주도하면서 교육민주화운동을 시작하였고, 1989년 5월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창립의 결실을 맺었다. 윤영규는 참교육 실천과 민주화를 실현하기 위해 네 차례의 투옥과 수배를 되풀이하는 수난의 길을 걸어왔다.

[활동 사항]

윤영규는 1935년 전라남도 광주부 광주천변[지금의 광주광역시 남구]에서 태어나 한국신학대학을 졸업하였다. 한국신학대학 재학 시절인 1960년 4.19혁명 수습위원으로 활동하였다. 대학 졸업 후에는 1961년 전라남도 목포시에 있는 목포영흥중학교[지금의 영흥중학교]에서 교사 생활을 시작하였다.

1976년 광주기독교청년회[광주YMCA]에서 청소년 동아리를 지도하다가 긴급조치 9호 위반으로 구속된 뒤, 1980년 광주상업고등학교[지금의 광주동성고등학교]에서 광주여자상업고등학교로 전보되었다. 이때부터 윤영규의 민주화 역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1980년 5.18민주화운동이 일어나자 홍남순 변호사, 송기숙 교수 등과 함께 수습대책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다가 8개월 동안 옥고를 치렀다. 1986년에는 전국기독교청년회 중등교육자협의회 회장으로 '5.10교육민주화 선언'을 주도하면서 교육계의 민주화운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이때에도 4개월 동안 옥고를 치러야 했다. 1987년 9월 민주교육추진 전국교사협의회를 결성하였고, 1989년 5월 교육 민주화운동의 결실인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의 창립을 주도하였다.

2000년에는 민주화운동의 원로로서 5.18기념재단 이사장으로 「민주화 유공자법」 제정에 공을 들였다. 2005년 3월 31일 심근경색으로 사망하였다.

[묘소]

국립5.18민주묘지에 안장되었다. 묘지번호는 5-51이다.

[상훈과 추모]

「5.18민주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에 따라 5.18민주화운동 유공자로 인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