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홍남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275
한자 洪南淳
영어공식명칭 Hong Namsun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임선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12년 7월 20일연표보기 - 홍남순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30년 - 홍남순 능주공립보통학교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33~1937년 - 홍남순 일본 와카야마 시립 상공학교 유학
활동 시기/일시 1948년 - 홍남순 조선 변호사 시험 합격
활동 시기/일시 1953년 - 홍남순 변호사 개업
활동 시기/일시 1957년 - 홍남순 광주지방법원 판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60년 - 홍남순 광주고등법원 판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61년 - 홍남순 대전지방법원 강경지원장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62년 - 홍남순 광주고등법원 판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63년 - 홍남순 변호사 개업
활동 시기/일시 1964년 - 홍남순 대일굴욕외교 반대투쟁위원회 전라남도 부위원장, 국제인권옹호 한국연맹 전라남도지부 지도위원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67년 - 홍남순 6.8부정선거 전면무효화투쟁위원회 전라남도지부 위원장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69년 - 홍남순 3선개헌반대 범국민투쟁위원회 전라남도 위원장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71년 - 홍남순 민주수호 국민협의회 전라남도 대표이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75년 - 홍남순 민주회복국민회의 전라남도 대표상임위원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77년 - 홍남순 국제사면위원회 전남지부 고문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80년 - 홍남순 민주헌정동지회 중앙위원, 5.18민주화운동 수습대책위원회 위원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84년 - 홍남순 5.18민주화운동 구속자협의회 회장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85년 - 홍남순 5.18민주화운동 기념사업 및 위령탑건립추진위원회 위원장 역임, 한국가톨릭평신도 사도직협의회 정의부문 대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86년 - 홍남순 전남민주회복국민협의회 의장 역임, 대한변호사회 회장 증정 인권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90년 - 홍남순 호남합동법률사무소 대표 변호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93년연표보기 - 홍남순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97년 - 홍남순 심산 김창숙 선생상 수상
몰년 시기/일시 2006년 10월 14일연표보기 - 홍남순 사망
출생지 전라남도 능주군
학교|수학지 월곡의숙 -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효산리 삼지재
학교|수학지 능주공립보통학교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학샘길 12[잠정리 333]
학교|수학지 와카야마 시립 상공학교 - 일본 혼슈 와카야마현
활동지 광주광역시 동구 궁동 지도보기
묘소 국림5.18민주묘지 - 광주광역시 북구 민주로 200[운정동 563]지도보기
성격 법조인|민주화운동가|인권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광주지방법원 판사|광주고등법원 판사|호남합동법률사무소 대표 변호사

[정의]

8.15광복 이후 전라남도 광주시에서 변호사로 일하면서 군사 독재정권에 맞서 민주화운동을 펼친 법조인 겸 인권운동가.

[개설]

홍남순(洪南淳)[1912~2006]은 1912년 7월 20일 전라남도 능주군[지금의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효산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홍창식과 어머니 박도남의 2남 1녀 중 장남이며, 1941년 윤이정과 결혼하여 7남매를 두었다. 1957년 광주지방법원 판사, 1960년 광주고등법원 판사를 역임하였다. 판사 시절 이전부터 전라남도 광주시에서 변호사로 일했었는데, 판사직을 그만둔 뒤 1963년 다시 변호사 사무실을 개업하였다. 변호사로 일하면서 줄곧 독재에 맞서서 싸우고, 인권을 위해 일하였다. 1970년대에는 유신독재와 투쟁하였고, 1980년대 이후에는 5.18민주화운동 진상 규명과 민주화 활동에 매진하였다.

[활동 사항]

홍남순은 어려서 할아버지 홍승규에게 한문을 배웠고, 1924년 할아버지가 돌아가신 뒤 1927년 월곡의숙(月谷義塾)에 입학하였다. 이후 능주공립보통학교[지금의 능주초등학교]에 편입학하여 1930년 3월에 졸업하였다. 그리고 1933년 일본 와카야마[和歌山] 시립 상공학교에 입학하여 1937년 3월 졸업하였다.

1948년 조선 변호사 시험에 합격하여 전라남도 광주부[지금의 광주광역시 동구 궁동]에서 변호사 사무실을 개업하였다. 1949년 군법무관에 임관하여 1953년 대위로 만기제대 후 전라남도 광주시에서 다시 변호사 사무실을 개업하였다. 1957년 광주지방법원 판사, 1960년 광주고등법원 판사를 거쳐 1963년 다시 변호사로 일하였다. 홍남순은 변호사로 일하면서 줄곧 독재정권을 비판하며 민주화를 위해 싸웠다.

1964년 대일 굴욕외교 반대투쟁위원회 전라남도 부위원장, 국제인권옹호 한국연맹 전라남도지부 지도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66년 호남푸대접 시정대책위원회 위원장, 1967년 6.8부정선거 전면무효화투쟁위원회 전라남도지부 위원장, 1969년 3선개헌반대 범국민투쟁위원회 전라남도 위원장으로 활동하였다. 이때 3선개헌반대 투쟁위원회 창립대회를 마친 뒤 옛 전라남도청 앞에서 광주지방법원[지금의 5.18민주화운동기록관]까지 피켓 시위 행진하다가 경찰에 체포되었으나 석방되었다.

1971년 민주수호 국민협의회 전라남도 대표이사로 활동하였고, 1973년 지식인 15인 시국선언에 참여하였다. 같은 해 12월 개헌청원 백만인서명운동 전라남도 책임을 맡았는데, 이 사건으로 중앙정보부에 연행되어 조사를 받고 3일 만에 풀려났다. 박정희 정부는 긴급조치 1호와 2호를 발동하고 이어서 6호까지 발동하였다. 1975년 민주회복 국민회의 전라남도 대표상임위원, 1977년 국제사면위원회 전라남도지부 고문을 맡았다. 1978년 민주주의와 민족통일을 위한 국민연합 집회 참석 중 경찰에 연행되었다가 석방 후 다시 참석하였다.

박정희가 사망하고 신군부가 권력을 장악한 뒤에는 1980년 2월 민주헌정동지회 중앙위원과 광주 5.18민주화운동 수습대책위원회 위원 등을 맡았다. 5월 27일 5.18민주화운동이 진압된 뒤 체포되어 무기징역이 언도되었다가 15년으로 감형되었고, 1981년 12월 25일 형집행정지로 석방되었다.

1984년 광주 5.18민주화운동 구속자협의회 회장, 1985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사업 및 위령탑건립추진위원회 위원장, 1986년 전라남도민주회복국민협의회 의장 등을 맡았다. 2006년 10월 14일 사망하였다.

[묘소]

국립5.18민주묘지에 안장되어 있다.

[상훈과 추모]

1985년 2월 29일 한국가톨릭평신도 사도직협의회 정의부문 대상, 1986년 대한변호사회 회장 증정 인권상, 1997년 심산 김창숙 선생상 등을 수상하였다. 1993년에는 민주화와 인권을 위해 헌신한 공로를 기리어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여하였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3.03.15 내용삭제 [이칭별칭] 인권운동의 대부 삭제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