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340
한자 慶全線
영어공식명칭 Gyeongjeon Lin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윤희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준공 시기/일시 1922년 7월 1일연표보기 - 전남선 송정리-광주 구간 개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22년 12월 1일 - 전남선 광주-담양 구간 개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30년 12월 20일 - 광려선 전 구간 개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36년 12월 16일연표보기 - 경전북부선 전 구간 개통, 순천-송정리 구간이 경전서부선, 순천-여수 구간이 전라선으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0년 5월 31일연표보기 - 경전선 전 구간 정상 운행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1년 3월 2일 - 서울-광주 경유-순천 간 특급열차 운행 개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4년 3월 31일 - 서울-광주 경유-순천 무궁화호 열차 승격 운행 개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4월 1일 - 통일호 운행 중단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7월 5일 - 서울-동대구-순천, 용산-서광주-여수 열차를 제외한 모든 경전선 열차를 RDC[CDC 무궁화 개조동차]로 변경
성격 철도
면적 277.7㎞[영업 거리]|1,435㎜[궤간]|복선[차선]

[정의]

경부선 삼랑진역과 호남선 광주송정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 노선.

[개설]

이 노선은 마산선, 진주선, 광주선이 통합된 철도 노선으로 경상도, 전라도를 연결한 철도라는 뜻에서 두 도의 첫 글자를 따서 경전선이라고 하였다. 영남, 호남 지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인데, 경사가 심하고 곡선 구간이 많으며 개통 이후 개량이 이루어지지 않아 병행하는 고속도로를 운행하는 버스 등에 비하여 수요가 적다. 일례로 하루 1왕복 운행하는 부전-목포 무궁화호는 부전역에서 광주송정역[철도]까지 5시간 30분가량 소요되어, 광주광역시 광주종합버스터미널에서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까지 운행하는 고속버스에 비하여 소요 시간이 2배 이상 걸린다. 2003년부터 경전선 개량과 복선전철 사업이 시작되었으며, 2010년 12월 15일에 삼랑진-마산 구간의 복선전철화가 개통되었다. 2012년 12월 5일에는 마산-진주 구간의 복선전철화가 개통되었고, 2016년 7월 14일에는 진주-광양 간의 복선 비전철화가 개통되었다.

[변천]

경전선의 역사 중 호남지역과 연관되는 연혁을 정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02년 영남지선철도회사에서 삼마철도[삼랑진-마산포] 부설권을 확보하였고, 1918년 7월 13일 남조선철도주식회사 송정리[현 광주송정]-마산포 및 원촌-전주 구간 철도 부설이 허가되었다. 1921년 4월 13일에는 남조선철도주식회사 전남선 송정리-광주 구간을 착공하였으며, 1922년 1월 남조선철도주식회사 전남선 광주-담양 구간을 착공하였다. 1922년 7월 1일 전남선 송정리-광주 구간이 개통되고, 1922년 12월 1일에는 전남선 광주-담양 구간이 개통되었다. 1928년 1월 1일에 조선철도 전남선 송정리-담양 간이 조선국유철도 12년 계획에 의해 국철에 매수되고, 광주선으로 개칭되었으며, 1928년 7월 조선국유철도 12년 계획에 의해 담양-전주 구간 부설 허가를 상실하였다.

1929년 2월 26일에 남조선철도 광려선 광주-보성-여수항 간 철도를 착공하고, 1930년 12월 20일 광려선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1930년 12월 25일 신광주역-여수항역 간 영업이 개시되었고, 1936년 3월 1일 광려선이 국철에 매수되고, 송정리-여수항 구간을 송려선으로 개칭하였다. 1936년 12월 16일 경전북부선 전 구간 개통으로 인해 순천-송정리 구간이 경전서부선, 순천-여수 구간이 전라선으로 개칭되었으며, 1938년 4월 1일 신광주역을 남광주역으로 개칭하였다. 1939년 12월 29일에는 광주선 담양-금지 간 철도를 착공하였으며, 1944년 10월 31일에 광주선 광주-담양 구간이 전쟁물자 공출로 인해 폐선되었다.

광복 후인 1965년 7월 3일에 광주선 지선 광주-금지 구간 착공, 이후 광주-담양 구간을 운영하였으나 적자로 인해 담양-금지 구간 공사가 중단되었다. 1967년 2월 9일 순천-광양 구간이 개통되었고, 1980년 5월 21일에 5.18민주화운동 사태에 따른 봉쇄로 광주송정-순천 구간 운행이 중지되었다가 1980년 5월 31일에 경전선 전 구간이 정상 운행되었다. 1981년 3월 2일에는 서울-광주 경유-순천 간 특급열차 운행이 개시되었고, 1994년 3월 31일 열차 전면개편에 맞추어 서울-광주 경유-순천 무궁화호 열차 승격 운행이 개시되었다. 2000년 8월 10일에는 효천-송정리 구간의 철도를 이설, 서광주역이 신설되고 효천-광주 구간이 폐지, 동송정-광주 구간은 광주선으로 분리 독립하였다.

2001년 9월 6일 호남선 익산-광주 간 전철화 공사로 인한 광주선 전철화 착공으로 북송정삼각선-광주선 분기 2.1㎞의 구간의 전철화가 착공되었고, 2004년 3월 24일에 호남선 복선 전철화 준공으로 북송정삼각선-광주선 분기 2.1㎞ 구간이 단선 전철화되었다. 2004년 4월 1일 통일호 등급 폐지로 해당 열차를 모두 무궁화호로 승격하거나 통근열차로 변경, 영남, 호남 부전-목포 무궁화호 야간열차 폐지, 북송정 분기-광주선 분기 0.8㎞ 구간 KTX가 개통되었다. 2004년 10월 8일에 순천-광양 10.7㎞ 구간 복선 전철화 공사를 착공하였고, 2006년 11월 1일에는 목포 및 광주-부전 간 직통 열차 폐지, 열차 운행 체계를 목포-순천과 순천-부전으로 개편, 광주역 착발 경전선 열차 폐지, 통근열차 폐지를 하였다.

2009년 4월 1일에 송정리역광주송정역으로 개칭하였으며, 2009년 12월 17일 순천역이 신역사 준공과 함께 이전하였다. 2010년 7월 5일 목포-부전 간 직통 열차를 재차 폐지하였고, 전라남도 구간의 경전선 열차 시종착역을 목포역에서 광주송정역으로 변경, 광주역 착발 경전선 열차 부활[왕복 1회 운행], 서울-동대구-순천, 용산-서광주-여수 열차를 제외한 모든 경전선 열차를 RDC[CDC 무궁화 개조동차]로 변경하였다.

[구성]

총길이 277.7㎞이며, 50개 역이 있다. 궤간은 1,435㎜ 표준궤이며, 선로 수는 낙동강과 순천까지 2개, 삼랑진-낙동강과 순천-광주송정 1개로 구성된다.

경전선의 광주 구간에는 동송정역, 서광주역, 효천역이 있다. 동송정역은 현재 운행하지 않는다. 동송정역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우산동[광산구], 삼랑진역 기점 297.9㎞ 되는 곳에 있으며, 광주도시철도 이설 사업과 동시에 광주선과 경전선 분기점의 신호를 제어하기 위해 세워졌다. 서광주역서구 매월동에 자리한 경전선의 철도역이다. 무궁화호와 남도해양관광열차가 정차하며, 경전선 철도 이설과 함께 신설된 역이다. 이설로 사라진 남광주역을 대신해서 만든 역이지만, 역의 이용자 수는 많지 않다. 그 이유는 역이 도심에서 멀고, 인근 주택지와의 접근성도 좋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광주송정역이나 광주역 같은 큰 역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많고, 보성·순천 방면으로는 버스 이용이 편리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효천역은 무궁화호와 남도해양관광열차가 정차하며, 서광주역보다 여객 업무 비중이 높다.

[참고문헌]
  • 코레일(https://www.korail.com)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3.03.13 띄어쓰기 수정 [변천] 12년계획→12년 계획, 개칭되었으며,1928년→개칭되었으며, 1928년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