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72년에 제작된 경기도 가평군을 그린 지도. 『1872년 지방지도』 「가평군지도」 는 1871년(고종 8) 읍지도 등상령(謄上令)에 따라 1872년 가평군에서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채색지도이다. 지도의 크기는 가로 25.4㎝, 세로 35.8㎝이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1872년...
-
1842년에 편찬된 경기도 가평군의 읍지. 『가평군읍지(加平郡邑誌)』[1842]는 필사본 1책으로 1842년(헌종 8)에 간행되었는데, 표제와 내제는 ‘가평군읍지’이다. 책의 크기는 가로 21.4㎝, 세로 30.2㎝이며, 행자수는 12행 25자이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가평군읍지』[1842]는 방리(坊里...
-
1899년에 편찬된 경기도 가평군의 읍지. 『가평군읍지(加平郡邑誌)』는 1899년(광무 3) 중앙 정부에서 각 지방의 읍지를 작성하여 보내라는 읍지 상송령에 따라 가평군에서 편찬하였다. 『가평군읍지』[1899]는 필사본 2책으로 간행되었다. 표제는 ‘광무3년기해5월일가평군읍지성책(光武三年己亥五月日加平郡邑誌成冊)’으로 되어 있어 『가평군읍지성책』으...
-
1991년에 간행된 경기도 가평군의 지리·역사·정치·산업·사회·문화 등을 집대성한 향토지. 『가평군지(加平郡誌)』[1991]는 가평군지편찬위원회에서 1988년부터 자료를 수집하고 집필하여 1991년에 간행되었다. 『가평군지』는 가평군의 지리적 특징을 이해하고, 고대부터 현대에 걸쳐 가평군의 역사와 정치, 산업, 사회, 문화 등을 포괄적으로 서술하였다....
-
2006년에 간행된 경기도 가평군의 자연·역사·인물·민속·정치·사회 등을 집대성한 향토지. 『가평군지(加平郡誌)』[2006]는 가평군사편찬위원회에서 1991년 간행된 『가평군지』의 내용을 수정 보완하기 위하여 2002년부터 현지조사, 자료수집·검토 등을 거쳐 2006년에 간행되었다. 『가평군지』는 가평군의 지리적 특징을 이해하고, 고대부터 현대에 걸쳐 가평...
-
1871년에 편찬된 『경기읍지』에 수록된 경기도 가평군의 읍지. 『경기읍지(京畿邑誌)』는 1871년(고종 8) 전국적인 읍지 편찬 사업에 따라 경기도 관내 각 고을의 읍지가 합철되어 제작되었다. 「가평읍지(加平邑誌)」는 6책 중 2책에 수록되어 있다. 『경기읍지』는 필사본 6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책의 크기는 가로 20.1㎝, 세로 30.0㎝이다. 서울대학교...
-
1842년 편찬된 『경기지』에 수록된 경기도 가평군의 읍지. 『경기지(京畿誌)』는 1842년(헌종 8) 경기도 33개 군현과 영종진(永宗鎭)의 읍지가 합철되어 제작되었다. 「가평읍지(加平邑誌)」는 4책 중 2책에 수록되어 있다. 『경기지』는 필사본 4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책의 크기는 가로 20.3㎝, 세로 30.3㎝이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
-
조선 후기에 제작된 『광여도』에 수록된 경기도 가평군의 지도. 『광여도(廣輿圖)』는 18세기에 제작된 관찬 군현지도집이 민간에 유출되면서 만들어진 지도집으로 추정되고 있다. 「가평군지도(加平郡地圖)」는 7책 중 1책에 수록되어 있는데, 오늘날의 가평읍, 청평면, 상면, 조종면, 북면 일대가 그려져 있다. 『광여도』는 채색필사본 7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평군...
-
1861년 김정호가 제작한 『대동여지도』에 수록된 경기도 가평군의 지도.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는 김정호(金正浩)가 1861년(철종 12)에 목판본 22첩으로 제작한 전국 지도첩이다. 「가평군지도(加平郡地圖)」는 12첩 3면과 13첩 4면에 묘사되어 있는데, 오늘날의 가평읍, 청평면, 상면, 조종면, 북면 일대가 포함되어 있다. 『대동여지도』는 분첩절첩식(...
-
조선 전기에 간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수록된 경기도 가평현의 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은 노사신(盧思愼)·강희맹(姜希孟)·양성지(梁誠之) 등이 왕명을 받아 1481년(성종 12)에 편찬한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을 1530년(중종 25)에 이행(李荇)·윤은보(尹殷輔)·신공제(申公濟) 등이 증보하여 55권 25책으로 완성한 관찬 지리지이다. 「...
-
조선 후기에 제작된 『여지도』에 수록된 경기도 가평군의 지도. 『여지도(輿地圖)』는 18세기 중엽에 제작된 회화식 군현지도집이다. 「가평군지도(加平郡地圖)」는 6책 중 1책에 수록되어 있는데, 오늘날의 가평읍, 청평면, 상면, 조종면, 북면 일대가 그려져 있다. 『여지도』는 채색필사본 6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평군지도」는 크기가 가로 19㎝, 세로 26.5...
-
18세기 중엽에 편찬된 『여지도서』에 수록된 경기도 가평군의 읍지. 『여지도서(輿地圖書)』는 1757년(영조 33)부터 1765년(영조 41) 사이에 전국 각 읍에서 편집하여 올려 보낸 읍지를 홍문관 주관으로 성책(成冊)한 전국 지리지이다. 『여지도서』「가평군지지(加平郡地誌)」는 55책 중 2책에 수록되어 있다. 『여지도서』는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이...
-
조선 후기에 제작된 『팔도군현지도』에 수록된 경기도 가평군의 지도. 『팔도군현지도(八道郡縣地圖)』는 영조대 동일한 크기의 20리 방안에 통일된 기호를 사용하여 제작된 대축척 군현지도이다. 「가평지도(加平地圖)」는 3책 중 1책에 수록되어 있는데, 가로 5칸, 세로 7칸의 방안에 그려져 있다. 『팔도군현지도』는 채색필사본 3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평지도」는...
-
18세기 중엽에 제작된 『해동지도』에 수록된 경기도 가평군의 지도. 『해동지도(海東地圖)』는 1750년대 초에 제작된 관찬 회화식 군현지도집이다. 「가평군지도(加平郡地圖)」는 8책 중 1책에 수록되어 있는데, 오늘날의 가평읍, 청평면, 상면, 조종면, 북면 일대가 그려져 있다.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91호로 지정되었다. 『해동지도』는 채색필사본...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개곡리와 북면 이곡리를 연결하는 교량. 가북교(加北橋)는 가평천을 가로지르는 교량이다. 교량의 북쪽 부분은 국도 제75호가 통과하는 가평군 북면 이곡리, 남쪽 부분은 가평읍 개곡리에 속한다. 가북교는 가평읍과 북면을 연결하는 교량이라는 데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가북교는 길이가 145m, 폭이 7.5m, 유효폭이 6.5...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일리(可逸里)는 가평군 설악면 15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가일1리, 가일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아래가정, 윗가정, 대일 등이 있다. 가일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가정리(可亭里)와 대일리(大逸里)에서 한 글자씩 따서 형성된 지명이다. 가일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에 있는 친환경 레저 시설. 가평 스카이라인 짚와이어는 가평읍에서 남이섬으로 이동할 수 있는 관광 레저 시설로, 2010년 11월 개장하였다. 짚-와이어(Zip-wire)란 나무와 나무, 또는 계곡과 계곡 사이 또는 평지에 설치된 기둥을 와이어로 연결하여 도르래를 타고 활강하는 시설로서 미국, 캐나다 등에서는 일반화된 익스트림 스포츠의 일종...
-
경기도 가평군의 명소를 6개의 테마 코스로 연결한 길. 가평 올레는 가평의 자연과 친환경시설이 어우러지며 각각의 테마를 가지고 있는 총 76㎞의 6개 코스로 구성된 길이다. 가평 올레는 가평군이 제주 올레길의 ‘올레’라는 명칭 사용을 승인받아 관광과 체험이 어우러지는 휴양 지역을 설립하기 위하여 2010년 개장하였다. 가평 올레는 가평 지...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대곡리에 있는 공설 운동장. 가평 종합운동장은 가평군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체육활동 시설로써 가평군민에게 항시 개방되는 공설 운동장이다. 가평 종합운동장은 가평군민의 체력 향상 및 생활 체육 활성화를 위한 장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설립하였으며, 다양한 스포츠 대회의 유치를 통해 여가 인구 유입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체육...
-
경기도 동북부 지역에 있는 군. 가평군은 경기도의 동북부에 자리하고 있으며, 강원도 춘천시 및 화천군, 홍천군과 경계를 이루는 지역이다. 동쪽으로는 북한강, 몽덕산, 가덕산, 북배산, 계관산이 강원도 춘천시와 경계를 이루고, 왕터산에서 보리산에 이르는 산줄기는 강원도 홍천군과 가평군의 경계를 형성한다. 해발고도 1,000m를 넘는 산지가 많은 북쪽은 석룡산에서...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사룡리와 청평면 고성리를 연결하는 교량. 가평대교(加平大橋)는 북한강을 가로지르는 왕복 2차로 교량이다. 교량의 북쪽 부분은 가평군 청평면 고성리, 남쪽 부분은 설악면 사룡리에 속한다. 가평대교는 가평군에서 가장 상징적인 교량이라는 데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가평대교는 길이가 720m, 폭이 14.3m, 유효폭이 11....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에 있는 철로를 이용한 체험용 관광 시설. 가평레일바이크가 운영되는 철로는 경춘선 강원도 구간을 무궁화, 통일호, 비둘기호라는 이름의 열차가 지난 70여년 간 달렸던 경춘선 옛 철길을 그대로 이용하였다. 가평레일바이크는 가평군에 새로운 즐길 거리를 창출함으로써 관광 욕구와 편의 충족으로 지역 경제 및 사회·문화관광 분야에 활력을...
-
경기도 가평군 상면 덕현리에 있는 썰매장. 가평사계절썰매장은 가평군민들의 사계절 내내 물썰매와 눈썰매를 이용하며 즐길 수 있는 썰매장이다. 가평사계절썰매장은 가평군민들의 여름철과 겨울철 여가 향유를 위하여 설립하였다. 가평사계절썰매장은 2011년 개장하였으며 겨울에는 눈썰매장으로, 여름에는 물썰매장으로 개장하여 활용되고 있다....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삼회리에 있는 생태 복원지. 가평삼회 생태복원지구는 천연기념물인 원앙과 왕은점표범나비 등 생태적 가치를 지닌 법적보호종이 서식하는 공간이다. 2000년을 기점으로 팔당상수원의 수질보호 및 생태복원을 위하여 토지를 매수하고 2011년 복원 및 개장하였다. 가평삼회 생태복원지구는 기존에 세워진 옹벽이 하천과 육상간을 단절시키면서 생...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대곡리에 있는 공공 야구 시설. 가평야구장은 가평군민의 건강증진과 야구인들의 경기장 활용을 위해 조성된 경기장으로, 가평군 시설관리공단에서 관리 및 운영하고 있다. 가평야구장은 2015년 제1차 경기도 지역균형발전 기본계획에 의한 가평체육시설 확충으로, 2018년 3월 설립하였다. 가평야구장은 2018년 3월 총 50...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달전리에 있는 경춘선의 철도역. 가평역(加平驛)은 수도권 전철의 출발역인 서울특별시 망우역 기점 51.8㎞ 지점에 있으며, 춘천 방향의 굴봉산역과 서울 방향의 상천역 사이에 위치한다. 가평역은 가평군의 중심지인 가평읍에 자리하고 있어 가평을 대표 역명으로 사용하였다. 북한강 변에 있는 자라섬과 남이섬으로 진입할 수 있는 길목에...
-
경기도 가평군에 속하는 법정읍. 가평읍(加平邑)은 가평군 중동부에 위치한 읍으로 14개 법정리[읍내리, 대곡리, 달전리, 상색리, 하색리, 두밀리, 경반리, 승안리, 마장리, 개곡리, 이화리, 산유리, 복장리, 금대리]와 31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동쪽으로는 북한강을 사이에 두고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및 서면, 서쪽으로는 조종면, 남쪽으로는 청평면, 북쪽...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대곡리와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서천리를 연결하는 철교. 가평철교(加平鐵橋)는 북한강을 가로지르는 교량으로, 서울특별시 망우역에서 강원도 춘천시 춘천역으로 이어지는 수도권 전철 경춘선이 통과한다. ‘경춘선 복선 전철화 사업’이 마무리되면서 옛 철교는 통행이 이루어지지 않고 새로 건설된 철교가 이용되고 있다. 가평철교는 공식 이름이...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대곡리에 있는 시외 및 군내버스 터미널. 가평터미널은 가평군에서 다른 지방으로 운행하는 시외버스 및 가평군 내에서 운행하는 군내버스가 여객을 승하차시키는 곳으로 ‘가평버스터미널’로도 불린다. 진흥고속이 가평터미널을 운영한다. 가평터미널은 1965년 11월 29일 최초로 건립되었으며, 1987년 4월 30일 가평읍 대곡리에 새로...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대성리에 있는 골프장. 가평파크골프장은 가평군 시설관리공단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2017년 9월 가평군 청평면 대성리에 있다. 가평파크골프장은 건전여가 선용의 기회제공과 건강한 노후생활 및 친목도모와 생활체육종목 확산 및 계층 간의 연대감을 형성하는 사회분위기 조성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가평파크골프장은 파크(Park)와 골프(Go...
-
조선시대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상천리에 있었던 역참. 감천역(甘泉驛)은 조선시대 한양에서 동해안의 평해 지방으로 연결되던 평해로의 일부인 평구도에서 관할했던 12개 역 가운데 하나이다. 평구도(平丘道)는 지금의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던 평구역을 중심으로 설치된 역로였는데, 한양의 동남쪽으로 향하던 역로였던 만큼 한강 수운에 접한 지방을 통과했다. 감천역은 역이...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에 속하는 법정리. 개곡리(開谷里)는 가평군 가평읍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개곡1리, 개곡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가일, 능우동, 율미촌, 달개지, 줄길리 등이 있다. 개곡리에는 마을이 열린다는 뜻이 담겨 있다. 이것은 개곡리를 흐르고 있는 계곡의 모습이 대군을 이끄는 장수가 좁은 협곡을 빠져나가 허허벌판으로...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읍내리와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서천리를 연결하는 교량. 경강교(京江橋)는 북한강을 가로지르는 왕복 4차로 교량이다. 교량의 서쪽 부분은 가평군 가평읍 읍내리, 동쪽 부분은 춘천시 남산면 서천리에 속한다. 경강교는 국도 제46호가 통과하는 구간으로, 경기도와 강원도 경계에 있는 다리라는 의미로 명명하였다. 경강교는 19...
-
경기도 가평군 상면 행현리에 있는 자연 수목원. 경기도 잣향기푸른숲은 경기도 가평군 일대의 축령산[879m]과 서리산[825m] 자락에 있는 산림휴양공간으로, 축령산과 서리산 일대에 조성된 수령(樹齡) 80년 이상의 잣나무림이 분포하고 있는 자연 수목원이다. 경기도 잣향기푸른숲은 피톤치드가 가득해 쾌적한 곳으로, 잣나무 숲을 활용한 다양한 산림치유...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에 속하는 법정리. 경반리(鏡盤里)는 가평군 가평읍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경반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말구리, 배골, 내곡, 백학동, 회목동, 갈곡리 등이 있다. ‘경반’은 거울처럼 맑은 물이 반석 위에 떨어진다는 뜻으로, 경반리는 경반계곡에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한다. 경반리는 조선시대에 가평군 군내면(郡內面) 승안...
-
경기도 가평군을 경유하여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역에서 강원도 춘천시 춘천역을 연결하는 수도권 전철. 경춘선(京春線)은 1939년 7월 25일 사설 철도회사인 경춘철도(京春鐵道)에 의해 개통되어 당시 경성과 춘천을 잇는 간선철도로 이용되었다. 지금은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ITX-청춘 열차가 운행한다. 경춘선은 철도 개설 당시 노선의 출발역이 있던 경성...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고성리(高城里)는 가평군 청평면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고성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방터, 고재, 종곡, 어래실 등이 있다. 고성리는 높은 고개가 있었기 때문에 ‘고성’ 또는 ‘고재’라 부르던 것에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고성리는 조선시대에 가평군 남면 고성리였다. 1914년 행정구...
-
경기도 가평군에 있는 하천 또는 도로 등을 통과할 목적으로 설치된 인공 시설물. 가평군에는 2018년 기준으로 고속국도, 국도, 지방도, 군도 등에 교량이 모두 146개소 설치되어 있으며, 총 길이는 1만 6,815.5m에 달한다. 고속국도에는 16개, 국도에는 80개, 국가지원지방도에는 4개, 지방도에는 25개, 군도에는 21개의 교량이 있다. 도로의 위계가...
-
경기도 가평군에 있는 주요 도로와 철도 및 교통수단과 관련된 시설. 가평군은 청평댐이 건설되기 이전에는 북한강 수운을 이용한 교통이 활발했다. 근대에는 철도 및 자동차 도로의 개설로 가평과 다른 지방을 연결하는 교통이 편리해졌다. 가평군을 통과하는 도로에는 고속국도·일반국도·지방도 등이 있고, 철도에는 서울에서 춘천을 오가는 경춘선이 있다. 가평군을...
-
경기도 가평군을 경유하여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강원도 춘천시까지 연결되는 국가지원지방도.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는 총 연장이 54.1㎞이다. 가평군에서는 설악면 이천리에서 설악면 위곡리까지 15.8㎞ 구간이 포함된다. 국가지원지방도는 우리나라의 지방도 가운데 주요 도시, 항만, 공업시설, 관광지 등의 교통 유발 시설을 연결한다. 고속국도 및 일반국도 등의 기간...
-
경기도 가평군을 경유하여 수도권을 순환하는 국가지원지방도.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는 총 연장이 264.0㎞이며, 가평군에서는 청평면 대성리 2.6㎞ 구간이 포함된다. 국가지원지방도는 우리나라의 지방도 가운데 주요 도시, 항만, 공업시설, 관광지 등의 교통 유발 시설을 연결한다. 고속국도 및 일반국도 등의 기간 도로를 보조하는 도로이며, 대통령령에 의해 노선이...
-
경기도 가평군을 경유하여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송정리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당동리까지 연결되는 국도. 국도 제37호는 총 연장이 448.2㎞이며, 가평군에서는 설악면·청평면·상면·조종면을 경유하는 53.220㎞ 구간이 포함된다. 국도의 노선번호는 남북 방향은 홀수, 동서 방향은 짝수를 부여한다. 국도 제37호는 남북 방향의 도로로서, 기점인 경상남도 거창...
-
경기도 가평군을 경유하여 인천광역시 중구 북성동2가에서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상리까지 연결되는 국도. 국도 제46호는 총 연장이 281.7㎞이며, 가평군에서는 청평면과 가평읍을 경유하는 29.1㎞ 구간이 포함된다. 국도의 노선번호는 남북 방향은 홀수, 동서 방향은 짝수를 부여한다. 국도 제46호는 동서 방향의 도로로서, 기점인 인천광역시와 종점인 강원도 고성군...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신천리에서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사창리까지 연결되는 국도. 국도 제75호는 총 연장이 85.0㎞이며, 가평군에서는 설악면·청평면·가평읍·북면을 경유하는 74.8㎞ 구간이 포함된다. 국도의 노선번호는 남북 방향은 홀수, 동서 방향은 짝수를 부여한다. 국도 제75호는 남북 방향의 도로로서, 기점인 경기도 가평군과 종점인 강원도 화천군의 이름을...
-
경기도 가평군에 1938년까지 있었던 법정면. 군내면(郡內面)은 가평군 가평읍의 옛 이름이다. 조선시대에는 가평군 군내면(郡內面)이었다. ‘군내면’은 가평군 읍치가 있는 중심지이기 때문에 붙여진 지명이다. 군내면은 객사촌(客舍村), 향교리(鄕校里), 중촌(中村), 경반리(鏡盤里), 승안산(升安山), 하마장리(下馬場里), 상마장리(上馬場里), 개곡리(...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에 속하는 법정리. 금대리(金垈里)는 가평군 가평읍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금대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비령대, 원댕이, 쇠터, 하금대 등이 있다. ‘금대’는 과거에 쇠[金]를 캐던 쇠터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금대리 일대는 청평댐을 막기 이전까지만 해도 사금(沙金)이 많이 채취되었다고 한다. 금대리는 조선시대에 가평군...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에 있는 가평읍과 남이섬을 오가는 배의 가평 지역 선착장. 남이섬은 행정구역상 춘천에 소속되어 있는 북한강 유역의 테마파크이다. 남이섬 가평 선착장은 2011년 집와이어 설립 전까지 가평군 가평읍 달전리에 있는 선착장이 남이섬으로 출입하는 유일한 출입구였다. 남이섬 가평 선착장은 행정구역상 가평에 있다. 남이섬 가평 선착장은 남이...
-
경기도 가평군 상면 덕현리에서 조종천을 가로지르는 교량. 다원교(茶院橋)는 가평군 상면 덕현리에 있는 자연마을인 다원동에서 유래하였다. 다원동은 조선시대 이곳에 다원(茶院)을 설치하여 관가를 왕래하는 관리와 행인들의 휴식처로 이용되었다는 데에서 생긴 이름이다. 다원교는 길이가 150.9m, 폭이 11m, 유효폭이 10m, 높이가 9m이다. 경간 수는...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에 속하는 법정리. 달전리(達田里)는 가평군 가평읍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달전1리, 달전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달전지, 안반지 등이 있다. ‘달전’은 산을 뜻하는 달, 둘레를 뜻하는 전이 합쳐져 산 둘레에 있는 마을을 뜻하는 지명이 되었다. 또한 대곡리에 비해 논이 적고 밭이 많다고 해서 전(田) 자에, 댐이 건설되...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달전리에 있는 나루터. 달전리나루는 예전부터 4일과 9일에 열리는 가평장으로 화전민들을 운송하던 나루였다. 1980년대까지 농민과 학생들의 교통수단이었던 배가 드나들었고, 달전리에서 강원도 홍천군 마곡까지 왕복하는 여객선도 운행되었다. 북한강 가의 흰모래가 가평읍까지 펼쳐지는 곳으로, 강원도 춘천 방면에서 서울로 가는 수로의 요충지였다....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에 속하는 법정리. 대곡리(垈谷里)는 가평군 가평읍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대곡1리, 대곡2리, 대곡3리, 대곡4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오목촌, 갱골, 터일, 새말 등이 있다. 대곡리는 마을의 지형이 집터로 잘 다듬어져 있다고 해서 ‘대곡’, 또는 ‘터일’이라 부르던 것에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대곡리...
-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보리(大報里)는 가평군 조종면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대보1리, 대보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대금이, 은계, 다보산 등이 있다. 대보리는 지역에 대보단(大報壇)이 있기 때문에 붙여진 지명이라고 한다. 대보리는 조선시대에 가평군 조종하면 상대리(上大里)·하대리(下大里)·다복촌(多卜...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대성1리에 속한 희복마을 만들기 사업 참여 마을. 대성1리 소돌마을은 2017년 현장포럼을 통해 ‘주민들이 모두 모여 소통하고 서로서로 돌보는 대성1리’라는 비전을 새웠다. 또한 ‘지식으로 물들이는 마을’, ‘함께 어울리는 마을’, ‘경제가 회복되는 마을’, ‘녹색문화가 있는 마을’이라는 4대 목표를 설정하고 추진하였다. 대성1...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대성3리에 속한 희복마을 만들기 사업 참여 마을. 대성3리 오리동은 2017년 ‘살기 좋고 놀기 좋은 자급자족 마을 만들기’라는 비전을 세웠다. 또한 ‘산과 강이 조화를 이루는 경관 마을’. ‘활기가 넘치는 공동체 마을’. ‘스스로 자립하는 풍요로운 마을’이라는 3대 목표를 설정하였다. 대성3리 오리동은 남양주군 화도읍 수동에서...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성리(大成里)는 가평군 청평면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대성1리, 대성2리, 대성3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안대성, 원대성, 원천동, 웃소돌말, 큰갈울 등이 있다. 대성리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먼저 조선시대 때 당시 명나라 사신이 무인산을 지나던 중, 뿌연 물이 계곡으로 흘...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대성리에 있는 관광지. 대성리 국민관광지는 1968년 대성리가 국민관광지로 지정되며 자연시설을 보존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대성리 국민관광지로 지정된 대성리는 1980년대부터 1990년대 대학생들의 대표적인 MT 장소였으며, 2006년 김혜수 주연의 영화 「바람피기 좋은 날」의 배경지이다. 2010년부터 국민관광지 지정 이후 개...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대성리에 있는 경춘선의 철도역. 대성리역(大成里驛)은 수도권 전철의 출발역인 서울특별시 망우역 기점 32.4㎞ 지점에 있으며, 춘천 방향의 청평역과 서울 방향의 마석역 사이에 위치한다. 대성리역은 청평면 대성리에 자리하고 있어 비롯된 역명이다. 대성리역은 경춘선이 복선 전철화되면서 과거의 역 건물을 없애고 새롭게 건립...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대성리에서 대성현을 통과하는 터널. 대성터널은 터널이 위치한 청평면 대성리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대성터널은 청평면 대성리와 남양주시 수동면을 연결하는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의 확장공사를 하는 과정에서 2005년에 건립되었다. 대성터널은 상행선과 하행선이 모두 하나의 터널을 통과하며, 왕복 2차로로 개설되었다. 대성터...
-
경기도 가평군 상면 덕현리에서 조종천을 가로지르는 교량. 덕현교(德峴橋)는 가평군 상면에 같은 이름을 가진 교량이 두 개 있다. 하나는 옛 국도 제37호 구간에서 조종천을 건너 북쪽으로 개설된 교량이고, 다른 하나는 2011년 개통된 국도 제37호에 개설된 교량이다. 덕현교는 상면 덕현리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옛날 천연두에 걸린 환자를 누에 치는 덕...
-
경기도 가평군 상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현리(德峴里)는 가평군 상면 10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덕현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광신, 구정, 다원리, 조가터 등이 있다. 덕현리는 큰 고개를 뜻하는 ‘덕현’에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덕현리는 조선시대에 가평군 조종상면 덕현리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면 덕현리 전체...
-
경기도 가평군 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도대리(道大里)는 가평군 북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도대1리, 도대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관청리, 삼포벌, 대촌, 선바위, 익근리 등이 있다. 도대리는 큰 도가 이 지역에 실재한다는 의미를 가지는데, 적목리의 아래에 있어 큰 도가 머무는 곳이라는 뜻을 포함하지만 그 유래를 정확히 알 수는...
-
경기도 가평군에 있는 사람이나 자동차 또는 물자의 이동을 위해 설치된 길. 도로(道路)는 자동차나 사람, 재화 등이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오갈 수 있도록 만들어진 일정한 너비를 가진 땅위의 선을 가리킨다. 도로는 물자의 운송뿐만 아니라 지식과 문화가 이동하여 전파되거나 군사들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정보 교환 및 교류를 촉진한다. 가평군에는 고...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에 속하는 법정리. 두밀리(杜密里)는 가평군 가평읍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두밀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삼거리, 윗두밀, 샛두밀, 삼일 등이 있다. 두밀리는 봉우리를 뜻하는 두, 셋의 우리말 밀이 합쳐져 세봉우리, 삼거리 동네를 뜻하는 지명이 되었다. 또한 두밀리는 이곳으로 가는 길이 같은 개울을 열두 번을 건너야 하...
-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일리(馬日里)는 가평군 조종면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마일1리, 마일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보래곡, 보름골, 밭마일, 동막골 등이 있다. 마일리는 지역이 마봉 아래에 위치하고 있어 ‘마일’로 불리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마일리는 조선시대에 가평군 조종하면 마일리였다. 1914년...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에 속하는 법정리. 마장리(馬場里)는 가평군 가평읍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마장1리, 마장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각담말, 송정, 하마장, 당묵개 등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전국 각 지역에 역(驛)이 설치되어 지방관리나 연락관이 사용할 수 있는 말을 상주시켰으며, 군마와 역마를 기르고 훈련시키는 장소를 ‘마장’이라 불렀다...
-
경기도 가평군 북면과 조종면에 있는 군립공원. 명지산 군립공원은 경기도 가평군 북면과 조종면에 걸쳐 있는 명지산에 지정된 군립공원이다. 명지산 군립공원은 가평군이 재정 자립 및 주민소득 향상의 일환으로 1991년 9월 30일 ‘명지산 군립공원’으로 지정하였으며, 민자예산 150억 원 가량을 포함해 총 165억 원을 들여 주차장 및 상하수도 시설과 편...
-
경기도 가평군 북면 목동리와 이곡리를 연결하는 교량. 목동교(沐洞橋)는 가평천을 가로지르는 교량이다. 교량의 북쪽 부분은 가평군 북면 목동리, 남쪽 부분은 북면 이곡리에 속한다. 목동교는 북면 목동리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목동(沐洞)은 마을 앞으로 흐르는 하천에서 선녀들이 목욕을 하여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목동교는 길이가 125m, 폭이...
-
경기도 가평군 북면 목동리에 있는 근린공원. 목동근린공원은 가평군이 가평군민의 보건 및 휴양, 정서생활의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조성된 공원이다. 목동근린공원은 지역주민의 쾌적하고 건강한 생활 영위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목동근린공원은 1974년 설립하였으며 운동시설을 비롯하여 놀이터, 전망대, 휴게시설 등이 조성되었다. 목동근...
-
경기도 가평군 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목동리(沐洞里)는 가평군 북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목동1리, 목동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선황당, 죽둔리, 싸리재, 범바위 등이 있다. 목동리는 사람이나 짐승의 목 중 앞부분을 의미하는 길목에 위치한 동네라는 ‘멱골’ 또는 ‘목동’이라 부르던 것에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에 속하는 법정리. 묵안리(墨安里)는 가평군 설악면 15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묵안1리, 묵안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즉음, 조항, 묵안, 국수터 등이 있다. 묵안리은 마을 입구에 검은 바위가 있어서 ‘먹바위’ 또는 ‘묵안’, ‘묵암’이라 부르던 것에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묵안리는 1914년...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묵안리에 속한 희복마을 만들기 사업 참여 마을. 묵안리 초롱이둥지마을은 2018년 ‘신나고 즐겁게 어울려 살아가는 초롱이 둥지마을’이라는 비전을 세웠고, 문화와 배움을 통해 서로를 아끼는 숲속 문화마을을 만들어 갈 것을 목표로 세웠다. 묵안리 초롱이둥지마을은 청정지역에 산다는 초롱새와 금강초롱꽃처럼 맑고 깨끗한 자연을 가진 마을...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에 속하는 법정리. 미사리(彌沙里)는 가평군 설악면 15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미사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운담, 장성배기, 미사, 앞버덩 등이 있다. 미사리는 지역에 미륵불이 있어서 ‘미사’ 또는 ‘메수내’라 부르던 것에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미사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양평군 북하도면(...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미사리와 강원도 홍천군 서면 마곡리를 연결하는 터널. 미사터널은 2009년 7월 15일 서울양양고속도로가 강일나들목에서 춘천분기점 구간이 부분 개통됨에 따라 왕터산을 통과하기 위하여 건설되었다. 미사터널은 터널이 위치한 설악면 미사리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미사터널은 서울 방향과 양양 방향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으며, 각...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방일1리에 속한 희복마을 만들기 사업 참여 마을. 방일리의 양지뱅여울마을은 마을 입구에 흐르고 있는 벽계천의 옛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방일1리 양지뱅여울마을은 방일초등학교 앞에 정자를 리모델링해서 양지카페를 만들고, 마을 개울을 정비, 활용하여 2㎞의 마을 둘레길을 조성할 계획을 세웠다. 희복마을 만들기 사업은 크게...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에 속하는 법정리. 방일리(訪逸里)는 가평군 설악면 15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방일1리, 방일2리, 방일3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음방, 양방, 평촌, 이문안, 전위골 등이 있다. 방일리는 지역에 큰 골짜기가 있어서 ‘밤일’ 또는 ‘방일’이라 부르던 것에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또는 옛날부터 밤이 많이 나는...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고성리에 있는 나루터. 배나들이나루는 양근으로 통하는 중요한 나루로, ‘양진(兩津)’으로도 불린다. 1871년(고종 8) 편찬된 『가평군읍지(加平郡邑誌)』에는 가평군의 진도(津渡) 중에 하나로 남면의 ‘양진’을 소개하고 있는데, 배나들이나루가 이곳으로 비정된다. 조선 말기까지 가평군에서 운영하던 진선(津船) 1척이 있었다. 관문과 40리...
-
경기도 가평군 북면 백둔리와 제령리를 연결하는 교량. 백둔교(柏屯橋)는 가평천을 가로지르는 교량이다. 교량의 서쪽 부분은 가평군 북면 백둔리, 동쪽 부분은 북면 제령리에 속한다. 백둔교는 북면 백둔리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백둔(柏屯)’은 이 일대에 잣나무가 많아 ‘잣둔지’ 또는 ‘백둔’이라 부른 데에서 생긴 지명이라고 한다. 백둔교는 길...
-
경기도 가평군 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백둔리(柏屯里)는 가평군 북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백둔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고암, 구나무골, 평반리, 한터, 양지말 등이 있다. 백둔리는 마을에 잣나무가 많아서 ‘잣둔지’ 또는 ‘백둔’이라 부르던 것에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백둔리는 조선시대에 가평군 북면 백둔리였다. 1914...
-
경기도 가평군 북면 백둔리에 속한 희복마을 만들기 사업 참여 마을. 백둔리 고암마을은 2018년 ‘주민과 주민을 이어주는 고암길 만들기’라는 비전을 세우고 희복마을 만들기 사업에 참여하였다. 백둔리 고암마을은 마을 서쪽 좁은 골짜기에 높은 산과 바위가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백둔리 고암마을은 ‘고암 옛길 복원 사업’ 1단계...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호명리에 있는 나루터. 범우리나루는 1871년(고종 8) 편찬된 『가평군읍지』에는 가평군의 진도(津渡) 중에 하나로 서면의 청평천(淸平川)을 소개하고 있는데, 범우리나루가 이곳으로 비정된다. 조선 말기까지 가평군에서 운영하던 진선(津船) 1척이 있었다. 1929년 조선총독부에서 간행한 『조선하천보고서』에서는 청평천나루가 가항 선박 100석...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에 속하는 법정리. 복장리(福長里)는 가평군 가평읍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복장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학익동, 가래골, 복장포 등이 있다. 복장리는 복골에서 유래한 지명으로, 이 지역의 하천이 북한강으로 유입될 때 긴 포구의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생긴 것으로 추정된다. 복장리는 조선시대에 가평군 남면 복장...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복장리에 속한 희복마을 만들기 사업 참여 마을. 복장리 행복마을은 2017년 ‘주민 모두 복(福)을 오래[長] 받는 건강하고 활기찬 복장리’라는 마을 비전을 세우고 희복마을 만들기 사업에 참여하였다. 복장리 행복마을의 지명은 안쪽 마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복장리 행복마을은 화합하는 마을, 깨끗한 마을, 역량있는...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복장리에 있는 나루터. 복장리나루는 마을의 주요 산업은 농업이지만, 서울로 가는 배가 자주 드나들어 이를 이용한 생필품 교환이 활발한 나루였다. 복장리나루는 ‘복골’, ‘긴 복골’이라고도 불린다. 조선 후기부터 마을 사람들 모두가 잘 살고 평안하여 후세까지 마을의 복이 오래 지속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장(長)’ 자를 붙여 ‘장...
-
경기도 가평군 상면에 속하는 법정리. 봉수리(熢燧里)는 가평군 상면 10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봉수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봉수, 윗봉수, 물골 등이 있다. 봉수리는 예전에 이곳에 봉수대가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 전해진다. 봉수리는 조선시대에 가평군 조종상면 봉수리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면 봉수리 전체가...
-
경기도 가평군에 속하는 법정면. 북면(北面)은 가평군 북쪽에 위치한 면으로 8개 법정리[목동리, 소법리, 화악리, 도대리, 적목리, 백둔리, 제령리, 이곡리]와 13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동쪽으로는 강원도 춘천시 서면과 화천군 사북면, 서쪽으로는 조종면과 포천시 일동면, 남쪽으로는 가평읍, 북쪽으로는 포천시 이동면 및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과 접한다....
-
경기도 가평군에서 북한강 수운이 쇠퇴하면서 새롭게 등장한 경춘가도 및 경춘선의 육상 교통에 관한 이야기. 가평군은 한반도의 중부 지방을 동서 방향으로 관통하는 북한강이 통과하는 곳이다. 북한강은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의 양수리에서 남한강과 합류하여 한강을 이루며 서울을 지나 서해로 유입한다. 북한강을 따라 이동하던 수운은 과거 강원도 춘천을 중심으로...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금대리 비령대에 있는 나루터. 비령대나루는 춘천시 남산면 방하리와 강을 두고 맞닿은 비령대마을에 있는데, 춘천으로 넘어가는 나루였다. 비령대(秘靈垈)는 예전에 마을 주민들이 명당자리라고 하여 땅을 빌어 집을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 지명이라고 전해진다. ‘빌어터’라고 불리기도 했다. 즉, ‘비령대’는 빌어터의 한자식 표기라고 할 수...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고성리에 있는 청소년수련원 겸 테마공원. 쁘띠프랑스는 ‘작은 프랑스’라는 뜻으로 한국 안에 작은 프랑스 문화마을을 세워 자라나는 아이들의 꿈을 키우는 공간이자 어른들에게는 동심을 떠올리게 하는 동화 같은 공간을 제공하며,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의 다양한 문화체험과 공연을 즐기고, 프랑스의 모든 것을 보고, 즐기고, 체험할 수 있는 프랑스 테...
-
경기도 가평군에서 젊은 남녀의 애절한 사랑에 관한 전설을 간직한 연인산이 품은 이야기. 연인산(戀人山)은 가평군의 중부에 자리하며, 가평읍 승안리·북면 백둔리·조종면 상판리의 3개 읍면이 만나는 경계부에 있는 해발고도 1,068m의 산이다. 이곳에는 이루지 못한 젊은 남녀의 애틋한 사랑 이야기가 전설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이후 이 산은 사람들의 사랑과 소망...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에 속하는 법정리. 사룡리(沙龍里)는 가평군 설악면 15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사룡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용문천, 자잠, 건너자잠, 은고개 등이 있다. 사룡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사점리(沙店里)·소사리(小沙里)와 용문천리(龍門川里)에서 한 글자씩 따서 형성된 지명이다. 사룡리는 1914년 행정구역...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에 속하는 법정리. 산유리(山柳里)는 가평군 가평읍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산유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유동, 원수골, 산유동, 갈치골 등이 있다. 산유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산유동(山踰洞)과 유동(柳洞)에서 한 글자씩 따서 형성된 지명이다. 산유리는 조선시대에 가평군 남면 산유동과 유동이었다....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산유리 유동에 있는 나루터. 산유리나루는 조선 후기 산유리 주민들의 농업 또는 어업용 목선과 똑딱선[통통배]이 드나들던 나루이다. 산유리는 조선시대에는 가평군 남면 산유동(山楡洞)과 유동(柳洞)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남면 산유동·유동 전체와 복장포 일부가 통합되어 남면 산유리가 되었다. 이때 산유동과 유동에서...
-
경기도 가평군 상면 덕현리에 있는 관광지. 산장 관광지는 경기도 가평군 상면에 있는 약 12만㎡ 규모의 관광지이다. 조종천과 100여 종이 넘는 야생화가 공원에서 자라며, 다양한 숙박시설과 운동장, 야외 공연장 등이 있어 각종 워크숍과 여행이 가능한 관광지이다. 산장 관광지는 경기도 가평군 상면에 12만㎡의 규모로 조종천을 품고 있으며, 대한민국에...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삼회리(三會里)는 가평군 청평면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삼회1리, 삼회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소야골, 야말, 사기막, 아랫퇴주, 큰골, 절골 등이 있다. 삼회리는 지역에 큰 무덤이 있어서 ‘쇠무덤’ 또는 ‘세모듬’이라 부르던 것에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삼회리는 1914년...
-
경기도 가평군 상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동리(霜洞里)는 가평군 상면 10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상동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서리골, 돌아우, 불기 등이 있다. 상동리는 연동역에서 윗연동, 아래연동, 연동으로 분리되었다가 윗연동(연상동)과 연동 사이에 영창대군 태실이 들어오면서 태봉동이 생기게 되어 윗연동과 연동이 끊어지게 됐다. 이후 연상동...
-
경기도 가평군에 속하는 법정면. 상면(上面)은 가평군 서쪽에 위치한 면으로 10개 법정리[연하리, 항사리, 행현리, 임초리, 덕현리, 태봉리, 상동리, 율길리, 봉수리, 원흥리]와 14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남동쪽으로는 청평면, 남서쪽으로는 남양주시 수동면, 서쪽으로는 포천시 내촌면, 북쪽으로는 조종면 및 포천시 화현면과 접한다. 상면은 고려시...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에 속하는 법정리. 상색리(上色里)는 가평군 가평읍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상색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연갈리, 포회촌, 태봉 등이 있다. 상색리는 이두식 문자 색현(色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빛고개라고 읽는다. 상색리는 조선시대에 가평군 서면 색현리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내서면(內西面) 연...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상천4리에 속한 희복마을 만들기 사업 참여 마을. 상천4리 감천마을은 2018년 ‘감동과 추억이 샘솟는 마을’이라는 비전을 세우고 희복마을 만들기 사업에 참여하였다. 상천4리 감천마을은 조선시대 왕이 사냥을 하다가 들릴 정도로 물맛이 좋은 샘이 있다고 하여 유래한 이름이라 전해진다. 상천4리 감천마을은 마을 내 노인회...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천리(上泉里)는 가평군 청평면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상천1리, 상천2리, 상천3리, 상천4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감천, 삼봉터, 초옥동, 중감천, 수리재 등이 있다. ‘상천’은 상감천(上甘泉)의 준말로 맛이 좋은 샘이 있어 유래한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상천리는 조선시대에 가평군 서면 상감...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상천리에 있는 경춘선의 철도역. 상천역(上泉驛)은 수도권 전철의 출발역인 서울특별시 망우역 기점 44.7㎞ 지점에 있으며, 춘천 방향의 가평역과 서울 방향의 청평역 사이에 위치한다. 상천역은 청평면 상천리에 자리하고 있어 비롯된 역명이다. 상천역 동남쪽의 호명산 정상부에 호명호수가 있기 때문에 ‘호명호수’라는 이름도 병기하고 있...
-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판리(上板里)는 가평군 조종면 7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상판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귀목, 장재울, 행랑말, 샛말 등이 있다. 상판리는 너르막골[板幕洞]의 윗부분이기 때문에 웃너르막골 또는 상판막동, 상판동라 부르던 것에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상판리는 조선시대에 가평군 조종하면 상...
-
경기도 가평군을 경유하여 서울특별시 강동구에서 강원도 양양군까지 연결되는 고속국도. 서울양양고속도로는 총 연장이 150.2㎞이며, 가평군에서는 설악면을 경유하는 14.320㎞ 구간이 포함된다. 고속국도의 노선번호는 동서축의 경우 끝자리를 짝수 번호로 하여 남쪽부터 부여한다. 서울양양고속도로는 국토를 동서 방향으로 종단하는 간선도로이기 때문에 ‘60번’의 노선번...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에 속하는 법정리. 선촌리(仙村里)는 가평군 설악면 15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선촌1리, 선촌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된섬, 석촌, 울업, 탐선 등이 있다. 선촌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탐선리(探仙里)와 석촌리(石村里)에서 한 글자씩 따서 형성된 지명이다. 한편, 신선이 놀던 자리가 울업산 신선봉에 있다...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에 속하는 법정리. 설곡리(雪谷里)는 가평군 설악면 15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설곡리 하나이다. 자연마을로는 중촌, 성곡, 왕방, 유분동 등이 있다. 설곡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소설리(小雪里)와 성곡리(城谷里)에서 한 글자씩 따서 형성된 지명이다. 설곡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양평군 북상도...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설곡리에 속한 아람마을 만들기 사업 참여 마을. 설곡리 옻샘마을은 2018년 ‘전통문화와 함께하는 다정다감 설곡 옻샘마을’이라는 마을 비전을 세우고 아람마을 1단계인 ‘희망마을’로 선정되었다. 설곡리는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 때 소설리·성곡리 전체와 음방리·양방리 각 일부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소설과 성곡의 이름을 따...
-
경기도 가평군에 속하는 법정면. 설악면(雪岳面)은 가평군 남쪽에 위치한 면으로 15개 법정리[신천리, 선촌리, 회곡리, 사룡리, 송산리, 미사리, 위곡리, 창의리, 엄소리, 설곡리, 묵안리, 가일리, 방일리, 천안리, 이천리]와 28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동쪽으로는 양평군 단월면과 강원도 홍천군 서면, 서쪽으로는 청평면과 양평군 서종면, 남쪽으로는 양평군...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선촌리에 있는 공공 야구 경기장. 설악야구장은 가평군민들의 야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2014년 12월 개장한 야구 전용 경기장이다. 가평 시설관리공단에서 운영 및 관리를 맡고 있다. 설악야구장은 가평군 설악면 주민들의 체육활동 증진을 위하여 설립된 사회인 야구장이다. 설악야구장은 재단법인 데상트스포츠재단으로부터 6...
-
경기도 가평군 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소법리(所法里)는 가평군 북면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소법1리, 소법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상남종, 하남종, 달골, 손일 등이 있다. 소법리는 소(沼)와 범[虎, 범바위]의 뜻으로 불러오던 것을 한자의 음(音)만을 따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또는 마을에 차조기가 많이 나서 약재로 많이 쓰여...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송산2리에 속한 희복마을 만들기 사업 참여 마을. 송산2리 물미연꽃마을은 2017년 ‘아름다운 호수와 숲 속 물미 사람들이 만드는 명품 힐링마을’이라는 마을 비전을 세웠다. 또한 ‘따뜻한 마을을 나누다’, ‘건강한 자연을 가꾸다’. ‘아름다운 경제를 만들다’라는 3대 목표를 추진하고 있다. 송산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에 속하는 법정리. 송산리(松山里)는 가평군 설악면 15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송산1리, 송산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수산, 황골, 오장골 등이 있다. 송산리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송리(松里)와 수산리(水山里)에서 한 글자씩 따서 형성된 지명이다. 또는 소나무가 많아 솔리, 또는 솔미라 부르던 것에서 유...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송산리와 미사리를 연결하는 터널. 송산터널은 2009년 7월 15일 서울양양고속도로가 강일나들목에서 춘천분기점 구간이 부분 개통됨에 따라 칼봉산을 통과하기 위하여 건설되었다. 송산터널은 터널이 위치한 설악면 송산리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송산터널은 서울 방향과 양양 방향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으며, 각 방향 모두 2차로의...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승안2리에 속한 희복마을 만들기 사업 참여 마을. 승안2리 아홉마지기마을은 2018년 ‘맑은 자연 속에 교류와 생활이 아름다운 가평 아홉마지기마을’이라는 비전을 세웠다. 승안2리 아홉마지기마을은 용추구곡(龍湫九谷)과 승안리의 발원지인 연인산의 옛 이름 ‘아홉마지기’는 해발 1,068m로 중부권에서는 비교적 높은 산으로 상류 부근...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에 속하는 법정리. 승안리(升安里)는 가평군 가평읍 14개 법정리 중 하나로 행정리는 승안1리, 승안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로는 점말, 자리터, 우무동, 조옥동 등이 있다. 승안리는 마을 전체가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생긴 이름으로 추정하고 있다. 승안리는 조선시대에 가평군 군내면(郡內面) 승안산리(僧安山里)였다....
-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신상3리에 속한 희복마을 만들기 사업 참여 마을. 신상3리 다정다감마을은 2017년 ‘다가가면 정겹고 다가가면 감동이 있는 가평 다정다감마을’이라는 마을 비전을 수립하였다. 또한 ‘주민 나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