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대구도시계획위원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262
한자 大邱都市計劃委員會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임삼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23년 1월 30일연표보기 - 제1차 대구도시계획위원회 개최
설립 시기/일시 1937년 1월 19일~1월 20일 - 제2차 대구도시계획위원회 개최
성격 식민통치기구

[정의]

일제 강점기 대구광역시의 시가지 계획안을 조사 및 심의하기 위한 식민 통치 기구.

[설립 목적]

조선총독부는 1934년 6월 20일 「조선시가지계획령」을 공포한 이후 시가지 계획 위원회 설치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1935년 11월 4일 ‘조선총독부 시가지계획위원회 규정’에 따라 시가지 계획 위원회를 설치하였다. 시가지 계획 위원회는 각 도시의 ‘시가지 계획 사업’으로 지정된 계획구역, 가로망, 토지구획정리, 용도지역, 녹지지역, 풍치지구, 공업용지 조성, 주택지 경영 등의 결정 혹은 변경 등의 시가지 계획안을 조사 및 심의하였다.

[변천]

대구에서는 1923년 1월 30일 제1차 대구도시계획위원회(大邱都市計劃委員會)가 개최되었고, 이후 1937년 1월 19일부터 1월 20일까지 이틀간 제2차 대구도시계획위원회가 개최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대구부(大邱府)[현 대구광역시]는 1920년대부터 시가지 정리 사업을 진행하였다. 1922년 8월 대구부 당국이 경상남도 토목과장이었던 우에다 마사요시[上田政義]와 오쿠이[奧井亮太郞]가 작성한 「대구부도시계획 개요」를 받으면서 대구부 시가지 정리 사업이 시작되었다. 대구부 당국은 대구도시계획위원회를 구성하였고 1923년 1월 30일 제1차 대구도시계획위원회가 개최되었다. 제1차 대구도시계획위원회는 위원 37명 가운데 21명이 참석하여 대구부 ‘도시계획 조사 규정’을 정하였다.

대구도시계획위원회 위원 37명 중 한국인은 11명[김재환·한익동·서병조·이병학·정재학·서상일·이병우·이재희·정해붕·양익순·이장우]이었고, 일본인은 26명이었다. 한국인 위원은 대구부협의회 의원과 대구구락부 회원이었으며, 대구를 대표할 만한 지주와 자본가들이었다. 1920년대 전반기 대구부의 도시계획은 지역사회에서 최대 이슈로 부각되면서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도시계획을 둘러싸고 한국인과 일본인 사이 민족 간 대립이나 한국인 내 이해관계로 인한 대립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1922년 대구부 내 조선인 최대 밀집 거주지인 남산정[현 중구 남산동]의 시가지 개선을 위한 남산정진흥회의 활동, 1924년 대규모 수해가 발생한 서문시장과 주변 주택 지역의 피해 복구와 대책을 위하여 개최된 대구부수해문제시민대회 등은 대구부 도시계획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대구의 본격적인 도시계획은 조선총독부의 방침에 따라 대구도시계획위원회가 설치된 1937년 무렵부터 추진되었다. 1937년 대구 도시계획은 제2차 대구도시계획위원회가 개최되고, 1937년 3월 조선총독부 고시 제186호로 도시계획에 관한 법령이 공포되면서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대구부 당국은 대구 시가지 계획[구역·가로망·토지구획정리 지구] 결정 이유서를 발표하였다. 결정 이유서에서 확장된 행정구역은 달성군 성북면 4개 동·달서면 중 10개 동·수성면 전체 14개 동이었고 기존 행정구역에 비하여 두 배나 커졌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