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메기매운탕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5887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음식물/음식물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태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최초 조리|제조 시기/일시 1995년 - 손중원원조논메기매운탕집 허가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6년 - 논메기매운탕 대구10미 선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3년 - 논메기매운탕 마을 대구광역시에서 착한골목으로 선정
지역 내 재료 생산지 논메기양식장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지도보기
성격 향토음식
재료 논메기|미나리|고춧가루|마늘
계절 사계절

[정의]

대구광역시 일대의 논에서 키운 논메기로 끓인 매운탕.

[개설]

다시마와 무로 우려낸 육수에 논에서 양식한 살아 있는 메기와 마늘, 고춧가루를 듬뿍 넣어 얼큰하게 끓이는 대구식 신개념 매운탕이다.

[연원 및 변천]

논메기매운탕은 1990년대 초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의 손중헌이 농촌의 소득원을 찾다가 농촌지도소의 도움을 받아 키운 논메기로 만들기 시작한 매운탕이다. 손중헌은 1992년 6월 1일 경상남도 창원군 대한양식장에서 메기 치어 6,000마리를 구입하여 논에 넣어 키우기 시작하면서 논농사 대신 메기 양식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판로를 찾지 못하고 고전하다가 논메기 유료낚시터를 만들었고, 낚시꾼들이 잡은 논메기를 손 씨의 집에서 직접 끓여 먹었다. 낚시꾼들의 매운탕에서 아이디얼 얻은 손중헌은 양식장 옆의 비닐하우스에 매운탕집을 만들어 전통적인 방식으로 매운탕을 끓여 판매하기 시작하였다. 손 씨가 끓인 논메기 매운탕은 주재료인 논메기를 황토 논에 지하수가 아닌 낙동강 물을 채워 새우, 미꾸라지, 플랑크톤을 먹이로 풀어 키운 덕분에 논메기의 육질이 자연산에 가까워 양식 메기보다 쫄깃하고 민물고기 특유의 비린내가 적고, 얼큰하면서 깊은 맛으로 유명세를 타기 시작하였다.

[만드는 법]

1. 싱싱한 논메기의 내장, 아가미, 지느러미를 제거한 후 진액을 깨끗이 씻어 낸다.

2. 무와 다시마로 육수를 우려 낸다.

3. 우려 낸 육수에 논메기를 통으로 넣어 끓이다가 삶은 단배추, 삶은 토란, 대파를 넣고 끓인다.

4. 당면, 부추, 새송이버섯과 고춧가루, 된장, 소금, 마늘, 산초 가루를 넣고 한소끔 더 끓인다.

[현황]

논메기매운탕은 1995년 손중원원조논메기매운탕집이 매운탕집 허가를 받은 후 손중헌의 가게가 있는 마을[달성군 다사읍 부곡리] 전체 25가구 중 14가구가 매운탕집을 열었을 만큼 붐을 일으켰다. 2013년에는 대구광역시 선정 착한골목으로 ‘논메기매운탕마을’이 선정되었다. 2020년 10월 현재 대구도시철도 2호선 문양역부곡리 일대에는 20여 개의 논메기매운탕집이 성업 중이다. 문양역 광장에서 식당까지 태워다 주는 승합차가 독특한 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논메기매운탕은 현대에 생긴 음식이다. 전라도에서는 오모가리탕이라 하여 뚝배기에 끓이는 민물매운탕이 유명한 데 비하여 대구에서는 스테인리스 냄비에 매운탕을 끓여 내는 것이 특징이다. 대구광역시청이 선정한 대구10미 중 하나로 대구 지역을 대표하는 향토음식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