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5664
한자 初等學校
영어공식명칭 Elementary School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임삼조

[정의]

대구광역시에 있는 초등교육 기관.

[개설]

대구 지역에서 본격적으로 초등교육이 실시된 시기는 1899년 근대 교육기관이 설치되면서부터이다.

[구한말 초등교육(1899~1910)]

1895년 「교육입국조서」와 「홍범14조」가 공포되면서 근대 교육과 근대 학제가 실시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었다. 1895년 7월 초등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소학교령」과 교사 양성을 목적으로 한 「한성사범학교관제」가 공포되면서 본격적인 초등교육의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다.「소학교령」이 공포된 이후 서울·부산·대구 등 주요 지역에 관공립 소학교가 설립되었다.

대구 지역에는 1899년부터 초등교육 기관이 설립되면서 근대 교육이 시작되었다. 1899년 4년 달성학교(達城學校)와 1899년 6월 흥화학교(興化學校) 대구지교가 설립된 이후 1900년 대남소학교(大南小學校)[현 대구종로초등학교]와 1902년 신명여자소학교(信明小學校)[현 신명여자중고등학교], 1904년 달동의숙(達東義塾)과 양규학당(養奎學堂) 등의 사립학교가 세워졌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국권 회복을 위한 애국계몽운동이 전개되었다. 애국계몽운동의 요체는 ‘실력’과 ‘힘’을 길러 일본제국주의로부터 국권을 회복하는 것이었다. 국권 회복의 방법 가운데 하나가 바로 신교육 운동이었다.

대구 지역에서도 대구광문사·대동광문회·대구광학회·달성친목회 등과 같은 애국계몽 단체가 생겨나 신교육 운동을 전개하였으며, 근대 교육기관이 설립되었다. 또한 1906년(광무 10) 3월 ‘흥학조칙(興學詔勅)’이 반포되자 경상북도관찰사 신태휴(申泰休)는 ‘흥학훈령(興學訓令)’을 발표하였고 신교육 사조를 보급하기 위한 근대 학교가 대구 지역에 설립되기 시작하였다.

1906년 대구사립양성학교, 1907년 사립 일신학교[현 대구화원초등학교사립 수창학교[현 대구수창초등학교대구양성여학교, 1908년 사립 성립학교[현 효성초등학교]·인수학교·노동야학교·대구사립달서여학교, 1909년 협성학교·명신학교[현 대구복명초등학교]·달명학교 등이 설립되었다.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 초등교육의 변화를 잘 보여 주는 것이 바로 명칭이다. 일제는 1905년 통감부를 설치한 뒤 1906년 8월 27일 「보통학교령」[칙령 44호]을 반포하여 소학교를 보통학교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심상과와 고등과를 통합하고 5년~6년의 수업연한을 4년으로 단축하였다. 조선인의 교육 기회를 축소하여 우민화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1938년 3월 제3차 「조선교육령」을 공포하여 보통학교를 소학교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제3차 「조선교육령」에서는 황국신민화 교육을 강조하였다. 일제는 황국신민화 정책을 바탕으로 충량(忠良)한 황국신민(皇國臣民)을 육성하여야 했기 때문에 일본인 초등교육 기관의 명칭과 조선인 교육기관의 명칭을 통일시킬 필요성이 있었다.

결국 1941년 소학교를 국민학교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조선인을 전시체제에 동원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1943년 3월에는 제4차 「조선교육령」을 공포하였는데 전시 동원 체제하에서 한인 학생들을 일본의 군국주의 전쟁에 참여시키기 위한 교육령이었다. 교육 목적의 주안점을 ‘황국의 도에 따른 국민 연성’에 두고 황민화교육을 강화하였으며 동화교육을 군사 목적에 합치시키는 교육체제로 개편하였다. 결국 모든 교육기관의 수업연한이 축소되었고, ‘조선어’와 ‘조선 역사’는 전면 금지되었다.

일제강점기 대구 지역의 초등교육 기관은 공립 국민학교 6개 교, 사립 국민학교 5개 교, 간이학교 4개 교 등 총 15개 교였고 학생수는 1만 5706명이었다. 공립 국민학교는 대구덕산공립국민학교[현 대구초등학교]·대구수창공립국민학교[현 대구수창초등학교]·대구서부공립국민학교[현 대구서부초등학교]·대구달성공립국민학교[현 대구달성초등학교]·대구남산정공립국민학교[현 대구남산초등학교]·대구삼립정공립국민학교[현 대구삼덕초등학교]였다.

사립 국민학교는 희도국민학교[현 대구종로초등학교], 효성국민학교[현 효성초등학교], 대구해성국민학교, 대구복명국민학교[현 대구복명초등학교], 남명국민학교였다. 간이학교는 대구덕산공립국민학교 부설 봉산정간이학교, 대구수창공립국민학교 부설 팔운정 간이학교, 대구서부공립국민학교 부설 서부간이학교, 대구남산정공립국민학교 부설 남산정 간이학교였다.

[현대]

1. 해방공간기

1945년 8월 15일 광복 직후 대구 지역 초등학교(初等學校) 수는 20개 교였다. 일제강점기 일본인 초등학생이 다닌 1급 공립 국민학교 5개 교가 전환되었기 때문이다. 해방 후 학교와 학급수는 일제강점기와 같은 반면 취학아동의 증가로 학교 수와 교사 수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2. 1950년대

1952년 6월 교육자치제가 실시되면서 교육의 자주성, 독립성, 전문성을 가져와 교육의 발전이 가속화되었다. 또한 6개년 의무교육 추진에 따라 취학률도 높아졌다. 1959년 대구 지역 초등학교의 현황을 보면 국립 2개 교, 공립 42개 교, 사립 1개 교로 총 44개 교였다. 1945년 광복 당시 20개 교와 비교하면 15년 만에 두 배 넘게 증가하였다.

3. 1960년대

1961년 5·16군사정변 이후 박정희 정부는 조국 근대화의 슬로건을 내걸고 인간 개조 운동을 교육에서 강조하면서 1963년 2월 15일 교육과정의 전면 개편을 가져왔고 민족중흥과 국가 발전을 위한 교육이 강조되었다. 특히 1968년에는 ‘국민교육헌장’의 선포,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 등이 실시되면서 초등교육의 방향과 질적변화가 크게 일어났다.

1960년대 후반기 초등교육은 양적으로 성장한 시기였다. 1960년대 후반 대구 지역 초등학교의 현황을 보면 1967년에는 46개 교, 1969년에는 55개 교로 증가하였다. 학교 수가 증가하였음에도 교실 수 부족 현상은 줄어들지 않았다. 특히 경상북도 인근 지역에서는 중등 교육기관 부족 현상으로 상급학교 진학이 어려워지자 초등학교 때부터 전학을 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일어났다. 또한 이촌향도현상이 본격화하면서 대구 지역의 초등학교는 부족할 수밖에 없었다. 대안으로 3부제나 2부제 수업을 실시하여 학급 과밀화 현상과 학교 수 부족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4. 1970년대

1970년대는 학교 수와 학생수, 취학아동 수가 반비례한다. 급속한 산업화로 도시인구가 급증함에 따라 대구 지역의 학교 수와 학생수는 증가하였다. 1970년 국립 2개 교, 공립 50개 교, 사립 4개 교 등 총 59개 교였고 학급수는 2,024학급이었다. 1979년에는 국립 2개교, 공립 57개교, 사립 4개교 등 총 63개 교였으며 학급수는 3,097학급이었다. 10여 년간 학교는 4개 증가하였는데 학급수는 1,073개 증가함에 따라 학급 과밀화 현상이 해소되고 있었다. 반면 가족계획의 홍보, 새마을운동과 경제성장에 의한 의식 변화에서 오는 출산 감소 등으로 취학아동 수는 줄어들었다.

5. 1980년대

1980년대는 1980년 7월 30일 학교교육 정상화 및 과열 과외 해소 법안 등을 포함한 ‘7·30교육개혁’ 조치가 시행되면서 초등교육의 질적 향상을 가져왔다. 1985년 교육개혁심의회는 교육의 당면문제 해결과 교육선진화 구현을 위하여 교육 전반에 걸친 기본 정책과 장단기 교육 발전 계획을 수립하였다.

1982년을 기점으로 학급 과밀화 현상은 해소되고 있었지만 아직도 과밀학급이 많았다. 2부제수업 학교가 1981년에는 63개 교에서 1989년에는 75개 교로 증가하였다. 학교 설립이 증가하였음에도 학급 과밀화 현상이 해결되지 않은 배경에는 1960년대 이후 대도시 인구 증가로 인한 아동 수 증가, 학교 설립용 부지 확보의 어려움, 재정 부족 등으로 교육에 대한 투자가 미흡하였기 때문이다.

[현황]

2021년 기준 대구 지역의 초등학교는 국립 2개 교, 공립 229개 교, 사립 4개 교로 총 235개 교가 있다. 지역별로 보면 중구 10개 교[국립 1·공립 8·사립 1], 동구 33개 교[공립 32·사립 1], 서구 17개 교[공립 17], 남구 11개 교[공립 11], 북구 41개 교[공립 41], 수성구 34개 교[공립 33·사립 1], 달서구 56개 교[국립 1·공립 54·사립 1], 달성군 33개 교[공립 33]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