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640
한자 朴命根
영어공식명칭 Park Myeonggeun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일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09년연표보기 - 박명근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27년 - 박명근 혁우동맹 가담
수학 시기/일시 1928년 - 박명근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 재학
활동 시기/일시 1928년 - 박명근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 동맹휴교 투쟁 전개
활동 시기/일시 1928년 11월 - 박명근 일제 경찰에게 체포
활동 시기/일시 1929년 10월 21일 - 박명근 대구지방법원에서 징역 1년형 언도
활동 시기/일시 1930년 3월 11일 - 박명근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4년형을 언도받고 석방
몰년 시기/일시 1987년연표보기 - 박명근 사망
추모 시기/일시 2016년연표보기 - 박명근 건국포장 추서
출생지 덕산동 - 대구광역시 중구 덕산동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대구 - 대구광역시
학교|수학지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 - 대구광역시 중구 지도보기
활동지 대구 - 대구광역시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정의]

일제강점기 대구 출신의 독립운동가.

[개설]

박명근(朴命根)[1909~1987]은 1909년 3월 2일 지금의 대구광역시 중구 덕산동에서 태어났다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항일 비밀결사 조직인 혁우동맹(革友同盟)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활동 사항]

박명근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 재학 중이던 1927년 12월 장종환(張鍾煥)의 권유로 항일 비밀결사 조직인 혁우동맹에 가담하였고, 1928년 2월 26일 ‘조선의 정치적 독립’, ‘모순된 사회현상 타파’, ‘만일 평등 신사회 건설’을 강령으로 내세운 적우동맹(赤友同盟) 결성에 참여하였다. 4월 30일 적우동맹일우동맹(一友同盟)으로 변경할 때 박명근이월봉(李月峰)과 함께 선전부를 맡았다. 일우동맹은 ‘맑스주의적 혁명 전술의 함양’과 ‘학생운동을 실천적으로 행한다’라는 강령을 채택하였다.

이 무렵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의 일본인 교사가 이순신(李舜臣) 장군을 폄하하는 발언을 하자 박명근을 비롯한 일우동맹원들은 대구고보폭압반대동맹을 만들어 학생 자치, 희생자의 복교(復校), 일본인 교사 파면, 교장 실책 인정 등을 요구하며 동맹휴교 투쟁을 벌였다. 박명근은 동맹휴교 투쟁으로 인하여 1928년 11월 일제 경찰에게 체포되었고, 1929년 10월 21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형을 언도받았다. 박명근은 이에 불복하여 항소하였고, 1930년 3월 11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열린 항소심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4년형을 언도받고 석방되었다.

박명근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 4학년 재학 중 대구 학생 비밀결사 사건으로 인하여 퇴학당하였고, 1931년 1월 22일 레닌기념일과 관련하여 격문을 살포하였다는 혐의로 대구경찰서 고등계 형사에게 체포되었다. 이후 1년 동안 대구형무소에 수감된 상태에서 조사를 받다가 1931년 3월 13일 무혐의로 석방되었다. 박명근은 1987년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박명근의 공적을 기려 2016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