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7172
한자 李周洪詩碑
영어의미역 Monument of Poem for Yi Juhong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9[청룡동 산2-5]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손남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시비
양식 비|시비
관련인물 비|시비
재질 비|시비
크기 비|시비
소유자 비|시비
관리자 비|시비
건립 시기/일시 1996년 1월 8일연표보기 - 건립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906년 5월 20일연표보기 - 이주홍 출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987년 1월 3일연표보기 - 이주홍 사망
현 소재지 범어사 문화의거리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9[청룡동]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 문화의 거리에 있는 아동 문학가 이주홍의 시비.

[개설]

향파(向破) 이주홍(李周洪)은 1906년 5월 20일 합천에서 태어났다. 1920년 한영중학원을 졸업하고 광복 후 동래중·고등학교를 거쳐 1949년부터 부산수산대학[현 부경대학교] 교수로 부임하였다. 1972년 퇴임 후 1987년 1월 3일 세상을 떠났다. 1928년 『신소년』에 「뱀 새끼의 무도」로 등단한 이후 지역에서 작품 활동과 문인 양성, 문단의 발전에 힘썼다.

1966년 『문학 시대』를 주재하고 ‘갈숲’과 ‘윤좌’ 동인으로 활동하였으며, 부산아동문학회를 창립하였다. 1957년 부산시 문화상, 1979년 경상남도 문학상, 대한민국 예술원상, 대한민국 문화 훈장, 1983년 불교 아동 문학상, 1984년 대한민국 문학상 아동 문학 본상 등을 수상하였으며 1987년 사망한 해에 3·1 문학상을 수상하였다.

[건립 경위]

부산광역시 금정구청의 문화의 거리 조성 사업으로 범어사를 따라 내려오는 길 오른편에 차례대로 김정한 문학비, 이주홍 문학비, 고두동 문학비, 김대륜 그림비, 김종식 그림비를 1994년부터 1998년까지 매년 1기씩 세웠다. 이주홍 시비(李周洪詩碑)는 1996년 1월 8일 조성되었다.

[형태]

기단 위에 화강암으로 된 좌대가 있고, 그 위에 자연석으로 된 비신(碑身)이 있다. 자연석으로 된 비신에 세로쓰기로 글자를 새겼다. 비신은 높이 180㎝, 너비 100㎝, 두께 40㎝이며 좌대는 높이 130㎝, 너비 70㎝, 두께 70㎝이다.

[금석문]

「감꽃」

“말갛게 쓸어 놓은/ 골목길 위에/ 감꽃이 떨어졌다./ 하나 둘 셋/ 감꽃은 장난감의/ 황금 목걸이/ 실에 꿰어 목에 거는/ 자랑 목걸이/ 어디서 자박 자박/ 소리 나잖니/ 흔아야가 오기 전에/ 어서 줍자 얘.”

[현황]

이주홍 시비는 범어사 문화의 거리에 있어 범어사를 찾는 시민들이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부산광역시 금정구청에서 소유하여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주홍 시비에는 다음과 같은 글귀가 새겨져 있다. “향파 이주홍 선생은 해방 공간, 전후의 혼란기에 부산 문학을 굳건히 지켜 일생을 마감하신 자랑스런 향토 문학가이다. 그의 문학적 업적을 기려 금정구에서는 부산의 대표적 정서 어린 이 길목에 이주홍 문학비를 세우고 그의 문학적 업적을 영원히 기념하고자 한다.” 이주홍 시비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 2동 낙동 제방 옆, 기장 백운 공원묘지, 동래구 온천동 금강 공원, 남구 대연동 부경대학교 내에도 세워져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