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564 |
---|---|
한자 | 釜山地方郵政廳 |
영어공식명칭 | Busan RCO |
이칭/별칭 | 부산우편국 감독과,부산체신분장국,부산지방체신국,부산체신청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연제구 법원북로 33[거제동 1473]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강성훈 |
[정의]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 정부 기관.
[설립 목적]
우편, 전기 통신, 전파 관리, 우편환, 우편 대체, 체신 예금, 체신 보험 및 전신 전화 수탁 업무에 관한 사무를 시행하여 국민 생활의 편익을 증진하고 국민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1906년 1월 10일 부산광역시 중구 창선동 1가 부산우편국 내에 부산우편국 감독과[경상남북도와 전라남도 관할]로 개소하였다. 1910년 3월 25일 중구 중앙동 3가로 이전하였고, 1934년 10월 1일 부산체신분장국으로 독립하였다. 1940년 1월 30일 부산지방체신국으로 개칭하였고, 1944년 10월 5일 서구 아미동 1가로 이전하였다. 1949년 8월 13일 부산체신청으로 개칭하였고, 11월 22일 광주체신청 개청으로 전라남도와 제주도를 이관하였다.
1950년 11월 1일 미군의 주둔으로 청사가 징발 당해 중구 중앙동 3가의 부산우체국 청사로 이전하였고, 1953년 11월 27일 부산역전 대화재로 청사가 소실되어 11월 29일 서구 부용동 3가의 경상남도청 청사로 이전하였다. 1954년 2월 15일 중구 대창동 3가의 임시 청사로 이전하였다가, 1955년 5월 11일 서구 아미동 1가 청사로 이전하였다. 1971년 1월 9일 대구체신청 개청으로 경상북도를 이관하였고, 1975년 2월 7일 동래구 망미동으로 이전하였다.
1975년 6월 7일 동구 범일동으로 이전하였고, 1977년 6월 10일 남구 남천동으로 이전하였다. 1981년 12월 26일 부산진구 가야동으로 이전하였고, 1982년 1월 1일 한국전기통신공사 설립으로 전신 전화 업무를 이관하였다. 1989년 3월 23일 중구 중앙동 3가로 이전하였고, 2005년 6월 27일 연제구 거제동의 현 청사로 이전하였다. 2011년 5월 30일 부산지방우정청으로 명칭 변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주요 사업은 우편, 우편환, 우편 대체, 우체국 쇼핑, 우체국 예금, 우체국 보험 사업 등이다. 우편 업무에는 국내 우편, 우체국 쇼핑, 우체국 택배, 국제 특급 우편[EMS], e-그린 우편, 우체국 경조 카드, 꽃 배달 서비스, 열차권 예매, 기타 특수 취급 우편, 우편물 종적 조회 안내, 상품권 판매 등이 포함된다. 우체국 예금에는 입출금이 자유로운 예금, 목돈 마련 예금, 세금 우대 예금, 비과세 상품 등의 상품이 있고, 우체국 보험에는 질병 상해 치료비 보장 보험, 노후 준비 연금 보험, 목돈 마련 보험, 저소득층 등을 위한 공익형 보험 등이 있다. 우체국 전자 금융 및 해외 송금 서비스, 공과금 수납 등의 금융 서비스 등도 실시하고 있다.
[현황]
2012년 현재 관할 구역은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이며, 지방우정청장 아래, 우정 사업국[우정 계획과, 우편 영업과, 우편 물류과], 사업 지원국[총무과, 인력 계획과, 회계 정보과], 금융 영업실[예금 영업과, 보험 영업과, 금융 검사과] 등의 조직에 총 108명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관할 구역 내 우체국은 483개국, 우편 취급국은 149개소 등이 있으며, 집배원 1,767명을 포함한 7,843명의 직원[부산 3,217명, 울산 923명, 경상남도 3,703명]을 총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