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2738 |
---|---|
한자 | 大渚中學校 |
영어의미역 | Daejeo Middle School |
이칭/별칭 | 대저중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공항로811번가길 46[대저동 2039]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철환 |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미래를 선도해 나갈 실력인과 기본에 충실한 예절 바른 인격인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봉사’이다.
[변천]
1954년 9월 4일에 명인학원 인가로 명인중학교로 출발해, 1957년 10월 6일에 영도구 신성동 2가에서 현 위치인 강서구 대저동으로 이전하였다. 1962년 8월 17일에 대저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78년 2월 15일에 경상남도에서 부산광역시로 편입되었으며, 1987년 3월에 대저학원이 인가됨으로써 대저학원의 유지 경영 학교로 운영되고 있다. 2012년 10월 1일에 우청석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 제59회 졸업식을 통해 52명이 졸업하여 총 6,208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대저중학교는 3열매[지식, 재능, 인성] 육성 프로그램을 시행함으로써 첫째, 지식을 나누는 학교와 학생을 만드는 교실 속 작은 교실[또래 교사], 교과 심화 동아리 활동, 학습 플래너 기록·관리 등 학생들의 지식 함양에 역점을 두고 있다. 둘째, 재능을 나누는 학교와 학생을 만드는 창의·인성 교육, 재능을 키우는 창제 활동, 개인별 맞춤식 방과 후 활동으로 학생들의 재능을 키우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셋째, 인성을 나누는 학교와 학생을 만드는 심성을 키우는 봉사 활동, 올바른 민주 시민 교육, 사회적 기부 문화 함양 교육에 역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교육 활동을 바탕으로 학교장은 참여와 소통, 자율과 책임 경영을 바탕으로 학생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 주고, 교사에게 보람과 긍지를 느끼게 하며, 학부모에게 신뢰와 믿음을 주는 비전 있는 학교를 만드는 데 주력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작곡 김달겸]
내 고장 김해 벌은 성스런 터전/ 낙동강 사시사철 푸른 기슭에/ 우뚝이 자리 잡은 우리 배움터/ 장하다 높은 이상 여기 싹튼다/ 배워서 몸과 맘 알뜰히 닦아/ 빛내자 대저중학 우리의 전당.
2. 교목: 느티나무이다. 느티나무는 잎이 무성하고 병충해가 없으며 수명이 길고, 어렸을 때는 볼품이 없지만 커갈수록 티가 나는 나무라 해서 느티나무라 한다. 대저중학교 학생들이 느티나무처럼 미래의 주인공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서 교목으로 선정하였다.
3. 교화: 진달래이다. 진달래의 꽃말은 ‘사랑과 기쁨’, ‘절제’이다. 진달래의 꽃말처럼 대저중학교 학생들이 학업에 임할 때에는 항상 기쁜 마음으로 하고, 생활에서는 절제할 줄 아는 사람이 되라는 의미에서 교화로 선정하였다.
[현황]
2013년 현재 총 6학급에 126명[남 76, 여 50]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2학급에 54명[남 27, 여 27], 2학년은 2학급에 42명[남 28, 여 14], 3학년은 2학급에 30명[남 21, 여 9]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13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3명으로 총 18명이 근무하고 있다. 과학실, 과학 준비실, 도서실, 컴퓨터실, 영어실, 가사실, 미술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