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0673 |
---|---|
한자 | 釜山廣域市科學敎育院 |
영어공식명칭 | Busan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
분야 | 정치·경제·사회/과학 기술,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연제구 토곡로 70[연산동 3-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송성수,성병창 |
[정의]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과학 교육 지원 기관.
[설립 목적]
부산광역시 과학교육원은 미래 사회를 선도하는 창의 인재 육성과 초·중·고등학교 과학 기술 교육의 내실화를 위해 학생 교육, 교원 연수, 과학 교육 연구 활동을 지원하고, 다양한 과학 행사 및 과학 체험의 장을 제공하여 시민 생활의 과학화에 기여하고자 설립하였다.
[변천]
1983년 12월 5일 「부산학생과학관 설치 조례」[1884호]가 공포되었다. 1986년 3월 1일 부산학생과학관으로 개관하였다. 1990년 7월 12일에 부산과학교육원으로 설치 조례를 변경[제2694]하고 1991년 4월 16일 특수 분야 연수 기관으로 지정[과기 25733-3319호]되었다. 1999년 1월 1일에 부산광역시 조례 제3510호로 부산광역시 교육과학연구원이 설치되면서, 부산과학교육원이 부산광역시 교육과학연구원으로 통합하였다. 2000년 2월 15일 특수 분야[과학 교육 관련] 연수 기관으로 지정되었다. 2004년 3월 1일 부산광역시 과학교육원으로 개편하였다. 2011년 장영실과학고등학교 부지를 이관 받아 2012년 8월부터 별관으로 이용하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광역시 과학교육원의 주요 업무는 교원 연수, 학생 교육, 과학 행사로 구분할 수 있다. 교원 연수에는 초등학교 교사 과학 실험 직무 연수, 중학교 교사 과학 실험 직무 연수, 고등학교 교사 과학 실험 직무 연수, 초등 과학 실험 안전 지도 직무연수, 과학 행사 운영 요원 직무 연수 등이 있다.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 과정으로는 중학교 과학 동산, 고교 과학 탐구 교실, 녹색 성장 교실, 찾아가는 환경 교실, 해양 탐구 교실, 찾아가는 해양 교실, 해양 바이오 교실, 고교 과학 발명 교실, 발명 동아리 교실 등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과학 행사로는 부산 과학 전람회, 부산 학생 과학 발명품 경진 대회, 국제 청소년 과학 창의 대전, 부산 학생 과학 탐구 올림픽, 전국 청소년 과학 탐구 대회, 전국 학생 과학 발명품 경진 대회, 부산 청소년 과학 탐구 토론 대회 등이 있다. 그밖에 부산광역시 과학교육원 과학관을 부설 운영하고 있으며, 과학 교육 정보지인 『부산 과학』을 매년 발간하고 있다.
[현황]
조직은 과학 교육부와 총무부로 이루어져 있다. 과학 교육부는 기획 영재팀, 과학 전시팀, 교육 연수팀으로, 총무부는 총무팀과 학교 공기질 조사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산광역시 과학교육원은 본관과 연수원이 있는 부지 1만 9141㎡와 별관 건물이 있는 부지 955㎡로 구성되어 있다. 본관은 건평 8,840㎡로 지하 2층에 지상 4층 건물이며, 시설은 미래과학실, 기초과학실, 지구환경실, 생명과학실, 우주과학실, 전기에너지실, 생물·화학·물리 실험실, 환경과학실, 시청각자료실, 천체과학실 등이 있다.
연수원 건물은 3,325㎡로 지하 2층에 지상 3층 건물이며 영재교육연구실, 물리실, 화학실, 생물 실험실 및 강의실, 발명 공작실, 목공 공작실 등이 있다. 별관은 6,036㎡로 장영실과학고등학교의 교사와 식당 건물 등을 원형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교사동은 영재사무실, 사무실, 회의실 등으로 이용하며, 식당동은 특별 전시실로 사용하고 있다. 교사동의 일부는 재단법인 진흥원에 임대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광역시 과학교육원은 오랜 기간 동안 학생의 과학 교육, 교원의 과학 연수, 과학 교육 연구 활동을 지원해 왔으며, 다양한 과학 행사 및 과학 체험의 장을 제공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