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400733 |
---|---|
한자 | 李賢求 |
영어공식명칭 | Lee Hyeon-gu |
이칭/별칭 | 희겸(希謙),혜인(兮人)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경상북도 영주시 |
시대 | 근대/근대 |
집필자 | 권대웅 |
출생 시기/일시 | 1862년![]() |
---|---|
활동 시기/일시 | 1896년 - 이현구 선성의진 참여 |
관련 사건 시기/일시 | 1940년 - 이현구 창씨개명 항거 |
몰년 시기/일시 | 1940년![]() |
추모 시기/일시 | 1995년![]() |
출생지 | 이현구 출생지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동부리 |
거주|이주지 | 이현구 이주지 -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 유전리
![]() |
거주|이주지 | 이현구 이주지 -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 생현리
![]() |
활동지 | 이현구 활동지 -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 생현리
![]() |
묘소 | 이현구 묘소 -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 유전리
![]() |
성격 | 의병 |
성별 | 남 |
개항기 영주 지역에 정착한 의병.
이현구(李賢求)[1862~1940]는 을미의병기 선성의진(宣城義陣)에 참여하였으며, 일제강점기 때에는 창씨개명에 항거하여 단식을 진행하다 순국하였다.
이현구의 본관은 진성(眞城), 자는 희겸(希謙), 호는 혜인(兮人)이다. 이황(李滉)[1501~1570]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이명호(李命鎬), 어머니는 권연하(權璉夏)[1813~1896]의 딸 안동권씨(安東權氏)이다. 1862년 8월 25일 경상도 예안현 의동면 교동(校洞)[지금의 안동시 도산면 동부리]에서 출생하였다.
이현구는 어린 시절 큰형 이선구(李善求)[1856~1922]로부터 학문을 배웠다. 1895년 8월 명성황후 시해 사건에 이어, 1895년 11월 단발령이 공포되자 전국 각지에서 이른바 을미의병이 일어났다. 이 무렵 안동 일대에서도 의병 봉기를 촉구하는 통문이 돌았다. 그중에서도 가장 먼저 예안통문이 돌면서, 1896년 1월 선성의진이 결성되었는데, 대장은 이만도(李晩燾)[1842~1910], 부장은 이중린(李中麟)[1838~1917], 선봉장은 이인화(李仁和)[1858~1929]가 맡았다. 이때 이현구도 서기를 맡은 이선구와 함께 적극적으로 의병활동을 전개하였다.
이현구는 1899년 풍기군 봉현면 이전리(泥田里)[지금의 영주시 봉현면 유전리]로 거주지를 옮겼으며, 한동안 후진 양성에 주력하였다. 1910년 9월 이만도가 단식 끝에 순절하자, 자결을 시도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 후 폐양립(蔽陽笠)을 쓰고 죄인을 자처하며 은둔생활을 하였다. 1934년 영주군 안정면 생현리로 이주한 후, 안상봉(安相鳳)·황영래(黃永來)[1897~1922]·김동진(金東鎭)[1867~1952]·황영조(黃永祖) 등 영주 지역 유생들과 도의(道義)로 교유하였다. 1940년 일제의 창씨개명에 항거하여 단식·순국하였다.
이현구의 문집으로 『혜인집(兮仁集)』이 전한다.
이현구의 묘소는 영주시 봉현면 유전리 천부산에 있다.
이현구는 1995년 건국훈장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1945년 11월 7일 각처 유림 500여 명이 생현계(栍峴稧)를 창립하여 순절기념사업을 추진하였다. 1970년 9월 1일 혜인이현구선생순절기념사업추진위원회는 영주시 안정면 생현리에 ‘혜인이현구선생순절비(兮仁李賢求先生殉節碑)’와 비각을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