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401414 |
---|---|
한자 | 河濱李氏 |
영어공식명칭 | Habin Yi Clan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경상북도 성주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감병훈 |
경상북도 성주군에서 이거(李琚)를 시조로 하고 이선동(李善仝)의 후손들을 입향조로 하는 세거 성씨.
하빈 이씨(河濱李氏)는 이거를 시조로 하고, 이선동의 후손들을 입향조로 하는 성씨이다. 이선동이 금릉군(金陵郡) 노동(老洞)[현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광명리]에 세거한 이후, 그의 후손들이 성주, 김천, 장암, 용암, 귀성, 대덕, 대방, 광명 등지에 흩어져 살고 있다.
하빈 이씨의 시조는 이거이다. 그는 1174년(명종 4)에 발생한 조위총(趙位寵)의 난이 일어났을 때, 무신정권에 반대하고자 서경유수군(西京留守軍) 측에 가담하여 정중부(鄭仲夫)[1106~1179] 및 이의방(李義方)[?~1174]과 싸웠다. 훗날 무신정권이 무너진 후 재조명되어 복권(復權)을 받고 하빈군(河濱君)에 봉해졌다. 이에 후손들이 하빈을 관향(貫鄕)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전하고 있다.
하빈 이씨는 전국에 18개의 분파를 두고 있는데, 그중에서 성주 지역에 정착한 파는 김산파(金山派)이다. 김산파의 파조인 이선동은 세종 때 남해현령(南海縣令)을 제수 받았다. 이후에 세조가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분개하여 고향인 금릉으로 낙향하여 절개를 지켰다. 그의 후손들이 성주, 장암, 용암, 귀성, 대덕 등 인근 각지로 이주하면서 가세(家世)를 넓혀 나갔는데, 11세손 이의필(李儀泌), 14세손 이득암(李得堷)·이득지(李得地), 17세손 이태항(李泰恒), 이태하(李泰夏)[1658~1721] 등이 크게 문명을 떨쳤다.
2015년 인구통계에 의하면 경상북도 성주군 내에 75명이 세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