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마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31017
한자 大馬島
영어공식명칭 Daemado
이칭/별칭 대마도(大亇島),망치섬,대마팔리도(大亇八里島)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대마도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철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대마도 - 전라남도 진도군
해당 지역 소재지 대마도 -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대마도리지도보기
성격 유인도
면적 2,458,207㎡
높이 173m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대마도리에 속하는 유인도.

[개설]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는 대마도(大馬島)는 진도군의 남서부에 자리한 개발 대상 섬이다. 완만한 경사지의 구릉지로 이루어져 있고, 돈대산[179m]에서 돈대지 유지(遺址)가 확인되었다. 남쪽 주변에 외항도, 시하도, 건널목섬을 부속 섬으로 거느리고 있다.

대마도가 속하는 대마도리는 2024년 기준 58가구, 83명[남 39명, 여 44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1600년대 초 경기도 광주에서 양주허씨(楊州許氏)가 이주하였으며, 같은 시기에 강릉함씨(江陵咸氏)의 관매도 입도조 함재춘의 후손이 이곳으로 이주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 대마도 마을 뒷산은 말을 기르는 ‘마장(馬場)’이라 불렀으며, 산 옆 능선을 ‘마장제’라 불렀다. 돈대지 유지는 모두 유실되어 그 흔적을 찾기 어렵지만, 『1872년 지방지도』에 돈대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대마도의 서북간에 칼로 깎아지른 듯이 절경을 이루는 ‘빠진골’이라는 절벽이 있다. 옛날에 대마도에 장오딸이라는 여인이 있었는데, 사랑하는 연인이 뱃길을 떠나 돌아오지 않자 그리워하다가 절벽에서 뛰어내려 죽었다고 한다. 그래서 이곳을 ‘장오딸이 빠져 죽은 곳’이라고 하여 ‘장오딸 빠진골’, ‘빠진골’이라고 불렀다.

[명칭 유래]

대마도는 대마도(大亇島)라고도 쓰며, 망치섬, 대마팔리도(大亇八里島)라고도 한다. 지형이 큰 말처럼 생겨서 대마도라 불렀다고도 한다. 『호남지도(湖南地圖)』에는 대마팔리도로 나오고, 『지승(地乘)』과 『1872년 지방지도』에는 대마도(大亇島)로 표기되어 있다. 『호구총수(戶口總數)』에는 대마도가 제도면 대마팔리(大亇八里)에 속했고, 1912년에 조도면에 속하면서 대마도(大馬島)로 개칭되었다고 나온다. 조선시대에는 대마도와 소마도에서 군마를 길렀다.

[자연환경]

대마도의 북동쪽에는 하조도가 있고, 동쪽에는 관매도, 남서쪽에는 거차군도, 북서쪽에는 관산도가 자리하고 있다. 대마도의 지형은 두 개의 산지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마치 커다란 원숭이가 오른손에 큰 횃불을 들고 있는 형상이다. 대마항이 중앙부에 자리하고 있다. 이곳 중앙부는 섬의 가장 큰 만입부로 안쪽은 갯벌이 퇴적되어 있고 바깥쪽은 산지로 둘러싸여 톳 양식장이 있다. 해안선의 만입 굴곡이 심한 편으로 외해에 노출된 해안은 암석 해안으로 해식애가 발달한 반면, 서쪽의 만입부는 반달형의 해변이 발달하였다. 대마도의 최고봉[173m]을 중심으로 구릉성 산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다양한 해안 지형과 암석 경관을 볼 수 있지만 토양층이 얇아 지층에는 물이 부족하다.

[현황]

대마도가 속한 대마도리는 2024년 기준 58가구, 83명[남 39명, 여 44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조도초등학교 대마분교장이 있으나 휴교 중이다. 대마도에는 해수담수화 시설이 설치되어 있고, 인근 섬에서 전기를 공급받고 있다. 가을이면 상습적으로 물 가뭄에 시달렸는데, 이러한 사정을 감안한 국가에서 도서 지역 식수원 개발 사업에 우선적으로 투자해 저수지를 갖추게 되었다. 대마도의 저수지는 식수원치고는 바닷가 바로 옆에 있는 것이 특이하지만 염분은 없다고 한다. 섬 내 소량의 논은 모두 천수답이다. 밭에서는 주로 쑥을 재배하여 소득을 올린다. 콩이나 고구마도 소량 경작한다. 주 소득원은 어업으로 여름에는 장어, 농어, 우럭 등을 잡고, 겨울에는 돔을 잡는다. 가사리, 미역, 톳 등의 해조류가 채취된다. 진도군조도면대마도보건진료소가 있으며, 정기 여객선으로 섬사람호가 진도와 대마도를 오간다.

[참고문헌]
  • 『진도군지』 (진도군·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2007)
  • 국토지리정보원, 『한국지명유래집』-전라·제주편(진한엠앤비, 2015)
  • 『진도통계연보』 (진도군, 2023)
  • 『한국섬진흥원 출범 3년 백서』 (행정안전부 한국섬진흥원, 2024)
  • 공공데이터포털_행정안전부_유인도서현황(https://www.data.go.kr/data/15042646/fileData.do)
  • 지오빅데이터 오픈플랫폼(https://data.kigam.re.kr)
  • 해양수산부 무인도서 종합정보제공(http://uii.mof.go.kr)
  • About전남의섬(https://islands.jeonnam.go.kr/jnia/ad/si/selectSrchIslaList.do)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