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3656 |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작품/음악·공연 작품 및 영상물 |
지역 | 광주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염승한 |
창작|발표 시기/일시 | 2011년![]() |
---|---|
초연|시연장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광역시 북구 북문대로 60[운암동 328-16]![]() |
성격 | 5월 연극 |
양식 | 뮤지컬 |
작가(원작자) | 김균형 |
작곡가 | 이정대 |
감독(연출자) | 이정대 |
출연자 | 강동우|이승용|오정준|이상희|양선아|김양희|김화영|최보희|이솔 |
5.18민주화운동이 군림하려는 인간과 세상을 지배하는 존재로서의 인간이 지니는 원초적 권력욕에서 비롯되었음을 은유한 뮤지컬 형식의 5월 연극.
「아, 광주!」에서는 권력욕을 과거, 현재, 미래를 통틀어 인간 욕심의 본질이라고 설명한다. 권력욕이 역사적으로 계속해서 반복되어 왔다는 것을 보여 주면서 인간의 권력욕을 항상 경계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던져 주고 있다.
「아, 광주!」는 극단 유피씨어터가 2011년 광주평화연극제에 출품한 작품으로, 2011년 5월 8일 광주문화예술회관에서 공연하였다.
지구의 탄생과 생명의 탄생, 인간의 탄생이라는 생명의 역사를 몸짓으로 표현한다. 세상을 지배한 인간은 끊임없이 남의 것을 빼앗아 자기 것으로 만드려는 욕심을 가지고 있다. 욕심 중 다른 사람 위에 군림하려는 권력욕은 인간의 역사를 관통하는 욕심을 마임과 오브제를 통하여 표현한다.
「아, 광주!」는 5.18민주화운동이 인간의 권력욕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에 항상 경계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강조하고 있다. 배우들은 탄생과 좌절, 고독과 탐욕, 권력 갈등과 충돌의 이미지를 말과 노래, 춤으로 보여 준다. 특히 오브제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데, 흰 천은 탯줄이나 바리케이드가 되거나 올가미가 되어 사람들을 구속하고, 장미는 사람들이 서로 차지하려고 하는 물욕의 대상과 어린왕자의 친구이자 희망으로 대변되면서 다양한 이미지를 형상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