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277
한자 李韓烈
영어공식명칭 Lee Hanyeol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임선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66년 8월 29일연표보기 - 이한열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79년 2월 - 이한열 광주동산초등학교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82년 2월 - 이한열 광주동성중학교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85년 2월 - 이한열 광주진흥고등학교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86년 3월 - 이한열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입학
활동 시기/일시 1986~1987년 - 이한열 연세대학교 만화사랑 동아리 활동
활동 시기/일시 1987년 6월 9일 - 이한열 연세대학교 앞 시위에서 전투경찰로부터 최루탄 피격
몰년 시기/일시 1987년 7월 5일연표보기 - 이한열 사망
추모 시기/일시 2004년 - 이한열기념관 건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7년 7월 - 5.18구묘지 안장
출생지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남정리
거주|이주지 전라남도 광주시
학교|수학지 광주동산초등학교 - 광주광역시 동구 준법로 16[지산동 231-2]지도보기
학교|수학지 광주동성중학교 - 광주광역시 남구 서문대로627번길 20[진월동 391-4]지도보기
학교|수학지 광주진흥고등학교 - 광주광역시 광산구 왕버들로 307[신창동 638-5]지도보기
학교|수학지 연세대학교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신촌동 134]
묘소 5.18구묘지 - 광주광역시 북구 수곡동 산 29-2 지도보기
성격 민주화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연세대학교 학생

[정의]

연세대학교 정문 앞 시위 중 전투경찰이 쏜 최루탄에 맞아 6.10민주항쟁의 기폭제가 된 전라남도 광주시 출신의 민주화운동 열사.

[개설]

이한열(李韓烈)[1966~1987]은 전라남도 광주시에서 광주동산초등학교, 광주동성중학교, 광주진흥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1987년 연세대학교 경영학과에서 대학생활을 하던 당시 한국 사회는 5.18민주화운동 진상 규명과 개헌을 통한 대통령 직선제 등 민주화에 대한 요구가 들끓던 시기였다. 연세대학교에서도 민주화 시위가 있던 날, 교문 밖으로 진출하려던 시위대를 향해 전투경찰이 발사한 최루탄에 이한열이 머리를 맞고 쓰러졌다. 이 사건은 6.10민주항쟁의 기폭제가 되었으며, 이후 군사정권의 막을 내리는 제9차 헌법개정이 이루어졌다.

[활동 사항]

이한열은 연세대학교 경영학과에 입학하여 만화사랑 동아리 활동을 하는 등 평범한 대학생활을 보내고 있었다. 이한열이 대학에 다니고 있을 때는 5.18민주화운동 진상 규명과 개헌을 통한 대통령 직선제 등 민주화에 대한 요구가 들끓었던 시기이었다. 이런 분위기에서 1987년 1월 14일 서울대학교 학생 박종철이 서울특별시 용산구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물고문으로 사망하였다. 경찰은 "'탁' 하고 책상을 쳤더니 '억' 하고 쓰러졌다."고 발표하여 국민들을 분노케 하였다.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을 은폐하려던 정부를 규탄하는 시위가 전국적으로 벌어졌고, 1987년 6월 10일에는 '고문살인 은폐 규탄 및 호헌 철폐 국민대회'가 개최될 예정이었다. 이날은 또한 민주정의당이 당 대회를 열어 노태우를 민주정의당 대통령 후보로 지명할 예정이기도 하였다.

이한열은 1987년 6월 9일 '6.10대회 출정을 위한 범연세인 총궐기대회'에 참가하였다. 연세대학교 정문 앞으로 진출하려는 학생들과 교문 진출을 막으려는 전투경찰이 대치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때 일부 전투경찰이 최루탄을 허공으로 발사해야 하는 규정을 어기고 학생들을 향해 수평으로 발사하였다. 이한열은 뒷머리에 최루탄을 맞아 두개골 골절상을 입고 쓰러졌다. 병원으로 옮겨진 이한열은 7월 5일 뇌손상이 회복되지 않은 채 합병증인 폐렴이 발생하여 21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이한열 최루탄 피격 사건'은 6.10민주항쟁의 기폭제가 되었다. 이것은 군사정권의 종식을 의미하는 노태우의 6.29선언으로 이어졌으며, 1987년 10월 27일 대통령 직선제를 담은 제9차 헌법개정이 이루어졌다. 장례식은 7월 9일 민주 국민장(國民葬)으로 치러졌으며, 전국적으로 160만 명의 추모 인파가 이한열의 죽음을 애도하였다. 장례가 끝나고 이한열은 광주직할시 북구 망월동 망월묘지공원[5.18구묘지]에 묻혔다.

[묘소]

광주광역시 북구 수곡동 산 29-2 망월묘지공원 제3묘역에 안장되었다.

[상훈과 추모]

이한열의 희생을 기리기 위해 2004년 연세대학교 근처에 이한열기념관이 세워졌고, 2010년부터 이한열기념사업회가 운영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