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홍순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263
영어공식명칭 Hong Sungwon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진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60년 11월 28일연표보기 - 홍순권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80년 2월 - 홍순권 광주제일고등학교 졸업
활동 시기/일시 1980년 5월 18~19일 - 홍순권 5.18민주화운동 참여
활동 시기/일시 1980년 5월 20~27일 - 홍순권 5.18민주화운동 시민학생수습대책위원회 위원 활동
몰년 시기/일시 1980년 5월 27일연표보기 - 홍순권 사망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0년 6월 초 - 5.18구묘지 안장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7년 5월 - 5.18구묘지에서 국립5.18민주묘지로 이장
학교|수학지 광주제일고등학교 - 광주광역시 북구 독립로237번길 33[누문동 144]지도보기
활동지 옛 전라남도청 - 광주광역시 동구 문화전당로 26번길 지도보기
묘소 국립5.18민주묘지 - 광주광역시 북구 민주로 200[운정동 563]지도보기
성격 5.18민주화운동 유공자
성별
대표 경력 재수생|시민학생수습대책위원회 위원

[정의]

전라남도 광주시에 거주하였던 5.18민주화운동 유공자.

[개설]

홍순권[1960~1980]은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대학 진학을 준비하던 재수생이었다. 5월 18일부터 줄곧 시위에 참여하다가 5월 20일부터는 옛 전라남도청에서 숙식하며 시민학생수습대책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5.18민주화운동 마지막 날인 5월 27일에 계엄군이 전라남도청에 대대적으로 진입하면서 홍성규는 계엄군의 총격을 받아 사망하였다.

[활동 사항]

홍순권은 1980년 당시 광주제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 진학을 준비하던 재수생이었다. 5월 18일부터 줄곧 시위 현장에 있었으며, 시민들에게 민주화 투쟁에 동참할 것을 호소하였다. 5월 21일 이후부터 홍순권은 계엄군이 잠시 퇴각하자 전라남도청에서 시민학생수습대책위원회 위원으로 참여하여 전라남도청에서 숙식하며 시위를 이어갔다. 홍순권5.18민주화운동 마지막 날인 5월 27일 새벽, 전라남도청에서 계엄군의 총격을 받아 사망하였다. 사망 원인은 우측 전 흉부 맹관 총상, 측상박부 총상 등이었다.

계엄군들은 전라남도청에서 발견된 시신들의 검시를 마친 뒤 망월묘지공원[5.18구묘지]에 가매장하였다. 따라서 가족들은 홍성규가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었다. 6월 초가 되어서야 가족들에게 홍순권이 사망하여 망월묘지공원에 있으니 확인하라는 연락이 왔다. 가족들은 홍순권의 시신을 확인한 뒤 망월묘지공원에 안장하였다. 1997년 5월 국립5.18민주묘지로 이장되었다.

[묘소]

국립5.18민주묘지에 안장되어 있다. 묘지번호는 2-52이다.

[상훈과 추모]

「5.18민주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에 따라 5.18민주화운동 유공자로 인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