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백대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232
영어공식명칭 Baek Daehwan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진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61년 5월 28일연표보기 - 백대환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80년 5월 - 백대환 송원전문대학 1학년 재학
활동 시기/일시 1980년 5월 23일 - 백대환 관을 구하러 전라남도 화순군으로 가던 중 주암마을에서 계엄군으로부터 총격을 받음
몰년 시기/일시 1980년 5월 23일연표보기 - 백대환 사망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7년 6월 - 5.18구묘지에서 국립5.18민주묘지로 이장
학교|수학지 광주제일고등학교 - 광주광역시 북구 독립로237번길 33[누문동 144]지도보기
학교|수학지 송원전문대학[현 송원대학교] - 광주광역시 남구 송암로 73[송하동 365-15]지도보기
활동지 주남마을 - 광주광역시 동구 지원동 지도보기
묘소 국립5.18민주묘지 - 광주광역시 북구 민주로 200[운정동 563]지도보기
성격 5.18민주화운동 유공자
성별
대표 경력 송원전문대학 학생

[정의]

전라남도 광주시에 거주하였던 5.18민주화운동 유공자.

[개설]

백대환[1961~1980]은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송원전문대학[지금의 송원대학교] 1학년 재학 중 시위대에 참여하였다. 5월 23일 시신을 수습할 관을 구하러 전라남도 화순군으로 가는 도중 주남마을[지금의 광주광역시 동구 지원동]에서 계엄군의 총격을 입고 사망하였다.

[활동 사항]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공수부대에 의해 계엄사에 끌려가 고초를 겪었던 백대환은 친구들과 전라남도 광주시 동구 황금동 여관에 숨어 있었다. 그 뒤 백대환은 시민군이 이름을 붙인 '103호'라는 소형 버스를 타고 다니며 광주제일고등학교 동창생들과 시위에 참여하였다.

5월 23일 사망자 수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시신을 담을 관이 부족해졌다. 백대환은 몇몇 사람들과 관을 구하기 위해 시민군 버스를 타고 전라남도 화순군으로 향하였다. 버스가 주남마을을 지나던 중 길목을 지키고 있던 계엄군이 총격을 가하였고, 이때 백대환은 사망하였다. 사망 원인은 좌측 머리 2곳 관통 총상, 가슴 관통 총상, 좌측 둔부, 우측 대퇴부 등 4곳의 총상이었다.

백대환의 시신은 우여곡절 끝에 5월 27일 전남대학교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시신이 이미 심하게 부패되어 가족들조차 알아볼 수 없었다. 이후 가족들은 경찰서에 가서 명단을 확인하고 백대환전남대학교 병원에 있었음을 확인하였으나 시신은 이미 망월묘지공원[5.18구묘지]에 안치된 뒤였다. 1997년 6월 국립5.18민주묘지로 이장되었다.

[묘소]

국립5.18민주묘지에 안장되어 있다. 묘지번호는 2-04이다.

[상훈과 추모]

「5.18민주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에 따라 5.18민주화운동 유공자로 인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