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김기운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209
영어공식명칭 Kim Giun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진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62년 6월 22일연표보기 - 김기운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80년 당시 - 김기운 송원고등학교 2학년 재학
활동 시기/일시 1980년 5월 21일 - 김기운 전라남도청 앞에서 5.18민주화운동 참여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0년 5월 21일 이후 - 김기운 행방불명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1년 10월 - 김기운 시신 확인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2년 12월 - 5.18구묘지에서 국립5.18민주묘지로 이장
학교|수학지 송원고등학교 - 광주광역시 남구 송암로 73[송하동 365-7]지도보기
활동지 옛 전라남도청 - 광주광역시 동구 문화전당로 26번길 지도보기
묘소 국립5.18민주묘지 - 광주광역시 북구 민주로 200[운정동 563]지도보기
성격 5.18민주유공자
성별
대표 경력 송원고등학교 학생

[정의]

전라남도 광주시 출신의 5.18민주화운동 유공자.

[개설]

김기운[1962~?]은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송원고등학교 2학년 재학 중 시위에 참여한 뒤 행방불명이 되었다.

[활동 사항]

김기운은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송원고등학교 2학년으로 가족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5월 20일 옆방에서 자취하던 친구와 함께 시위에 참여하였다. 친구의 증언에 의하면 김기운은 5월 21일 전라남도청에서 시위대에 합류하였는데, 계엄군이 시민들을 향해 집단 발포를 하자 전남대학교 병원 방향으로 피신한 뒤 행방불명이 되었다. 5월 27일 5.18민주화운동이 끝난 뒤에도 김기운은 집으로 돌아오지 않았다. 가족들은 김기운을 찾기 위해 전라남도청 부근 상무관과 시내 곳곳, 광주교도소 부근의 야산까지 찾아다녔지만 만날 수 없었다.

1980년 6월 초 가족들은 실종자 신고를 받는다고 하여 실종자로 신고를 하였다. 1995년 12월 21일 「5.18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었고, 법률에 따라 김기운5.18민주화운동 당시 행방불명자로 인정되었다. 2001년 10월 망월묘지공원[5.18구묘지]에 매장되어 있던 11기의 무연고 희생자들의 신원 확인을 위한 유전자 감정이 시작되었고, 그중 김기운의 시신이 확인되었다. 가족들은 20여 년이 흐른 뒤에야 김기운을 찾을 수 있었다. 2002년 12월 국립5.18민주묘지에 안장되었다.

[묘소]

국립5.18민주묘지에 안장되어 있다. 묘지번호는 4-95이다.

[상훈과 추모]

「5.18민주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에 따라 5.18민주화운동 유공자로 인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