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040
한자 指空-
영어공식명칭 Jigong Stony Slope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영평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경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지공너덜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영평리
해당 지역 소재지 지공너덜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지도보기
성격 너덜
면적 약 42,000㎡
높이 700~1,100m
약 150m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과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영평리에 걸쳐 있는 바윗덩어리밭.

[명칭 유래]

지공(指空)은 승려 법호에서 비롯되었다는 설이 있다. 산비탈을 따라 미끄러져 내린 돌밭 틈을 의미한다는 설도 있다.

[자연환경]

무등산 정상 천왕봉 남사면에 석영안산암질과 응회암 덩어리가 사면을 뒤덮고 있다. 화순군 이서면 영평리 산 88-1번지 일대 높이는 700~1,100m로 무등산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한 너덜이다. 폭은 150m 정도이며, 혀[舌] 모양을 이루며, 총 면적은 약 42,000㎡이다. 노출된 단애가 10여m 높이를 이루며, 단애 아래의 암괴 표면의 결정이 보인다. 본디 색을 가진 암괴가 토양과 함께 있고, 완만한 경사를 이루면서 부근 너덜지대와 연결된다.

[현황]

너덜의 평균 경사는 20°~35°로 거의 직선상의 사면이나, 윗부분은 약간 콘벡스(convex) 형태 사면이고, 하부는 콘케이브(concave) 모양 사면이다. 암괴 입경은 0.5~1m 정도이고, 4~5m의 거력도 있다. 너덜의 주변부는 낙엽활엽수인 신갈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진달래, 철죽이 자생하고 있다. 하계 식생이 무성하게 자라나 너덜이 축소된 느낌을 준다. 장불재에서 규봉으로 이어지는 등산로변에는 너덜로 만들어진 석굴이 보이며, 지장암, 석불암도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