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731016 |
---|---|
한자 | 公州元曉寺所藏經典一括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우금티로 431-16[금학동 323-3]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박범 |
문화재 지정 일시 | 2013년 4월 22일![]()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공주 원효사 소장 경전 일괄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 삭제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4년 5월 17일 - 공주 원효사 소장 경전 일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에서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 |
소장처 | 원효사 - 충청남도 공주시 우금티로 431-16[금학동 323-3]![]() |
성격 | 기록유산 |
간행자 | 봉서사[『현수제승법수-봉서사본』]|용천사[『현수제승법수-용천사본』] |
문화재 지정 번호 |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금학동 원효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전기에 간행된 경전.
[개설]
공주 원효사 소장 경전 일괄 에는 모두 3종의 경전이 포함되어 있는데, 『대방광불화엄경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 『현수제승법수-봉서사본(賢首諸乘法數-鳳栖寺本)』, 『현수제승법수-용천사본(賢首諸乘法數-龍泉寺本)』이다. 공주 원효사 소장 경전 일괄은 2013년 4월 22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24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가 삭제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에서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되었다.
[편찬/간행 경위]
『대방광불화엄경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은 간기(刊記)가 없어 정확한 간행 시기는 알 수 없으나 판식(板式)과 종이 및 인쇄 상태 등을 고려해 보면 임진왜란 이전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수제승법수-봉서사본』은 명나라에서 구입한 판본을 저본으로 하여 1500년(연산군 6)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산에 있는 봉서사(鳳栖寺)에서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현수제승법수-용천사본』은 1572년(선조 5) 전라남도 담양군에 있는 용천사에서 목판본으로 간행한 것이다.
[구성/내용]
『대방광불화엄경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은 『대방광불화엄경』 40권 중 권24에 해당하는 것이다. 『대방광불화엄경』 중에서 『보현행원품』만을 따로 뽑아서 간행한 것이다. 일종의 요약본인 셈이다. 『현수제승법수-봉서사본』은 대장경에 실려 있는 법수(法數)를 명수(名數)의 순서로 재배열하여 엮은 사전에 해당한다. 이 경전은 당나라 승려인 현수(賢首)가 엮은 책인데 현수가 지은 책은 전래되지 않으며, 명나라 승려인 행심(行深)이 다시 편집한 것이다.
[의의와 평가]
공주 원효사 소장 경전 일괄 은 조선 전기 불교 연구 및 임진왜란 이전 목판 인쇄술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