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윤홍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8154
한자 尹洪烈
영어공식명칭 Yoon Hongryul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일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3년연표보기 - 윤홍렬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20년 - 윤홍렬 도쿄에서 조선민우사 발기인으로 참여
활동 시기/일시 1921년 10월 - 윤홍렬 대구청년회 가입
활동 시기/일시 1923년 6월 - 윤홍렬 조선민립대학기성회 대구지방부 집행위원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24년 4월 - 윤홍렬 동아일보사 전무이사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47년 - 윤홍렬 남조선과도입법위원으로 활동
몰년 시기/일시 1947년 2월 19일연표보기 - 윤홍렬 사망
출생지 대구 - 대구광역시
학교|수학지 달성학교 - 대구광역시
학교|수학지 메이지학원 - 일본 도쿄시
활동지 대구 - 대구광역시
성격 언론가|사회활동가
성별 남성
본관 파평
대표 경력 동아일보 대구특파원|민립대학설립 대구지방부 집행위원

[정의]

일제강점기 대구 출신의 언론가이자 사회활동가.

[개설]

윤홍렬(尹洪烈)[1893~1947]은 1893년 대구에서 태어났다. 일제강점기 대구에서 언론인으로 활동하며 활발한 시회활동을 전개하였다.

[가계]

윤홍렬의 아버지는 윤필오(尹弼五)이고, 동생은 허무당(虛無黨) 사건을 일으켰던 독립운동가 윤우열(尹又㤠)이다.

[활동 사항]

윤홍렬은 아버지 윤필오가 교장으로 있던 달성학교(達城學校)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東京]로 유학하여 와세다[早稻田]고등학원을 거쳐 메이지[明治]학원 법과에서 수학하였다. 1920년 도쿄에서 유승흠(柳承欽)·최태욱(崔泰旭)·오상현(吳相鉉) 등과 함께 주식회사 조선민우사(朝鮮民友社)를 발기하여 언론 활동을 시작하였다. 귀국한 뒤에는 1921년 10월부터 대구청년회에서 활동하였다. 1922년 12월 대구여자공립보통학교 이전이 사회문제가 되었을 때에는 대구부 당국과의 협의를 위한 시민대표로 선출되었다. 1923년 6월 조선민립대학기성회 대구지방부 설립에 참여하고 집행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7월 1일부로 서상일(徐相日)이 지국장으로 있던 동아일보사 대구지국의 대구특파원으로 발령을 받았다. 11월 말에는 만경관에서 열린 사립 명신여학교를 위한 음악회에 참여하여 명신여학교의 존립을 감성적으로 호소하는 감상담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윤홍렬은 1924년 4월 무렵 동아일보사의 임시 주주총회에서 전무이사로 선출되었고, 6월 서울에서 결성된 언론집회압박탄핵회에 참여하고 13명의 실행위원 중 한 사람으로 선임되었다. 10월 동아일보사 제3회 주주총회에서 이사로 선출되었고, 도쿄특파원으로 파견 중이던 11월 고베[神戶]에서 일본을 방문한 쑨원[孫文]을 취재하였다. 1931년 10월 재만동포문제협회의의 지방위원으로 선정되었고, 1934년 서울에서 여자의학전문학교 설립 운동이 일어났을 때 발기 준비위원으로 참여하였다.

윤홍렬은 광복 후 대구시보사 사장으로 언론 활동을 펼쳤고, 1947년에는 남조선과도입법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윤홍렬은 1947년 2월 19일 사망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