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8091
한자 金洛衡
영어공식명칭 Kim Nakhyung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일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11년 11월 26일연표보기 - 김낙형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27년 11월 15일 - 김낙형 비밀결사 신우동맹 결성 참여
활동 시기/일시 1927년 12월 14일 - 김낙형 비밀결사 혁우동맹 결성 참여
활동 시기/일시 1928년 2월 26일 - 김낙형 비밀결사 적우동맹 결성 참여
수학 시기/일시 1928년 4월 - 김낙형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 퇴학
활동 시기/일시 1929년 6월 - 김낙형 일제 경찰에게 체포
활동 시기/일시 1929년 8월 7일 - 김낙형 대구지방법원에서 징역 2년형 언도
활동 시기/일시 1930년 3월 11일 - 김낙형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2년에 집행유예 5년형 확정
몰년 시기/일시 2020년연표보기 - 김낙형 대통령표창 추서
출생지 노곡리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노곡리
학교|수학지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 - 대구광역시 지도보기
활동지 대구 - 대구광역시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대표 경력 신우동맹 중앙집행위원

[정의]

일제강점기 대구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김낙형(金洛衡)[1911~?]은 1911년 11월 26일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노곡리에서 태어났다.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항일 비밀결사 조직을 결성하고 활동하였다.

[활동 사항]

김낙형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에 재학 중이던 1927년 2월부터 10월까지 마르크스사상을 연구하는 사상강좌회에 참여하였다. 11월 15일 사상강좌회 강사이던 장홍상(張弘相)[이명 장적우(張赤宇)]의 비밀결사 결성 제안을 수용하여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대구공립중학교·대구농림학교 학생들과 함께 신우동맹(新友同盟)을 결성하였다. 김낙형은 중앙집행위원 겸 제3그룹의 구성원으로 활동하였다.

김낙형신우동맹이 1927년 12월 14일 비밀결사 조직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하여 혁우동맹(革友同盟)으로 전환할 때 선전부를 맡았고, 1928년 2월 26일 혁우동맹적우동맹(赤友同盟)으로 전환할 때에도 권태호(權泰鎬)와 함께 선전부를 맡았다. 김낙형은 1928년 4월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 4학년 재학 중 퇴학 처분을 받았다.

1928년 3월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의 일본인 교사가 이순신(李舜臣) 장군을 폄하하는 발언을 하자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 재학생들은 학생 자치, 희생자의 복교(復校), 일본인 교사 파면, 교장 실책 인정 등을 요구하며 동맹휴학 투쟁을 전개하였다.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 동맹휴학 투쟁으로 인하여 대구 지역 학생 비밀결사 조직이 발각되자 김낙형은 함경남도 장진(長津)으로 피신하였다. 김낙형은 조선일보사 장진 하갈리지국에서 기자생활을 하다가 대구경찰서의 요청으로 하갈경찰서에 구인되었다. 이후 대구경찰서로 압송되었고, 1929년 8월 7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형을 언도받아 대구형무소에 수감되었다. 김낙형은 1심 판결에 불복하여 항소하였고, 1930년 3월 11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열린 항소심에서 징역 2년에 집행유예 5년형이 확정되어 출소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김낙형의 공적을 기려 2020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