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신우동맹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515
한자 新友同盟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일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26년 9월 - 사회과학연구회 결성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27년 2월부터 - 신우동맹 사상강좌회 개최
설립 시기/일시 1927년 12월연표보기 - 신우동맹 결성
개칭 시기/일시 1927년 12월연표보기 - 신우동맹에서 혁우동맹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28년 2월 - 혁우동맹에서 적우동맹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28년 4월 30일연표보기 - 적우동맹에서 일우당으로 개칭
해체 시기/일시 1928년 9월연표보기 - 일우당 해산
개칭 시기/일시 1928년 9월 - 일우당을 해산하고 우리동맹 결성
성격 학생운동

[정의]

일제 강점기 대구광역시에서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 학생들이 결성한 비밀 결사.

[설립 목적]

신우동맹(新友同盟)은 식민지 노예교육을 반대하고 사회과학을 연구하여 독립운동에 매진하려는 목적으로 결성되었다.

[변천]

1926년 대구 6·10만세운동 이후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현 경북중고등학교] 학생들은 1926년 9월 사회과학연구회를 결성하였다. 사회과학연구회신간회 대구지회 회원으로 구성된 강사들의 지도로 1927년 2월부터 비밀리에 사상강좌회를 개최하였다. 사상강좌회 회원들은 1927년 12월 마르크스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학생운동 비밀결사인 신우동맹을 결성하였다.

회원이 점차 늘자 일제의 추적을 피하기 위하여 신우동맹을 결성한 달과 같은 달인 12월 야체이카[공산당 조직의 기본 단위인 세포의 러시아어] 조직 방식을 채택하는 동시에 신우동맹에서 혁우동맹(赫友同盟)으로 비밀결사의 명칭을 바꾸었다. 1928년 2월에는 혁우동맹에서 적우동맹(赤友同盟)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28년 4월 30일 적우동맹에서 일우당(一友同盟)[일우동맹(一友同盟)]으로 명칭을 하였다가 1928년 9월에는 일우당을 해산하고 이덕주(李德柱)·김영수(金永壽) 등이 우리동맹을 새로이 결성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신우동맹은 당수 장적우, 책임비서 윤장혁, 중앙 집행위원 조은석·백대륜 외 4명으로 간부진을 구성하고 강령으로 ‘우리는 마르크스주의적 혁명 전술의 함양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는 피압박민족의 해방운동을 한다’ 등을 채택하였다. 신우동맹은 강령에 따라 사회과학을 기반으로 하는 학생운동의 전술을 강화하고, 학생운동이 민족운동의 한 축을 담당하기 위한 역량 강화를 위하여 노력하였다.

[의의와 평가]

신우동맹은 사회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학생운동을 펼치며 민족운동의 역량 강화에 기여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