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644
한자 養浩帖
영어공식명칭 An Article For Develop Great Spirit
이칭/별칭 「호연지기를 기르기 위한 책」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대구광역시 북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곽명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543년 - 「양호첩」 저자 정구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620년 - 「양호첩」 저자 정구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680년 - 『한강집』 간행
배경 지역 도동서원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서원로 1[도동리 35]지도보기
배경 지역 사수동 - 대구광역시 북구 사수동 지도보기
성격 잡저|교훈서
작가 정구

[정의]

조선 후기 대구 일대에서 강학 활동을 하였던 문신이자 학자인 정구가 호연지기를 기르는 위하여 지은 글.

[개설]

「양호첩(養浩帖)」의 저자 정구(鄭逑)[1543~1620]의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자는 도가(道可), 호는 한강(寒岡)이다. 아버지는 정사중(鄭思中)이며, 어머니는 성주이씨(星州李氏) 이환(李煥)의 딸이다. 이황(李滉)[1501~1570]과 조식(曺植)[1501~1572]의 문인이다. 모든 방면의 학문에 정통하였고, 특히 예학(禮學)에 조예가 깊어 많은 예서(禮書)를 편찬하였다. 정구는 말년에 칠곡 사수(泗水)[현 대구광역시 북구 사수동과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일대]로 이거(移居)하여 후진양성에 힘썼으며, 대구를 포함한 인근 지역의 유학 형성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대구의 연경서원(硏經書院)·도동서원(道東書院) 등 많은 서원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한강집(寒岡集)』이 있다. 『국역 한강집』에 수록된 「양호첩」의 이칭은 「호연지기를 기르기 위한 책」이다.

[구성]

「양호첩」은 호연지기(浩然之氣)를 기르는 방법을 서술한 설명서이다. 북송(北宋)의 성리학자 정호(程顥)[1032~1085]와 정이(程頤)[1033~1107]의 어록을 제자들이 기록한 『이정유서(二程遺書)』의 내용을 발췌하여 요약한 것이다.

[내용]

「양호첩」은 호연지기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는 설명서이며 동시에 호연지기를 기르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는 안내서이다. 정구「양호첩」의 서두에서 “호연지기는 천지의 정기(正氣)이다. 호연지기가 커지면 어디에나 존재하고 강해지면 무엇도 꺾을 수 없다. 바른 도로써 이(理)에 순응하여 기르면 온 천지에 가득 차게 된다. 호연지기는 의(義)와 도(道)에 짝하는 것으로 모두 의에 근본을 두고 도에 있지 않은 것이 없다.”라고 호연지기를 정의하였다. 「양호첩」은 이 정의를 유학(儒學)의 ‘이(理)’, ‘기(氣)’, ‘성(誠)’, ‘의(義)’, ‘경(敬)’ 등의 관념을 활용하여 호연지기를 설명한 작품이다. 예를 들어 ‘사의(私意)’의 개입을 ‘성(誠)’으로 풀어서 설명하고, 호연지기를 ‘의(義)’의 축적으로 설명하며 『맹자(孟子)』와 『중용장구(中庸章句)』를 인용하여 이해를 도왔다. 또한 『이정유서』의 내용을 발췌·요약하면서 설명이 필요한 부분에 있어서는 주석을 달거나 예시를 제시하여 이해를 도왔다.

[특징]

「양호첩」의 내용은 주로 사서(四書)에서 용례를 인용하였고, 호연지기에 대한 설명을 열거하였다.

[의의와 평가]

「양호첩」은 『이정유서』에서 발췌하여 요약한 것이라고 하나, 단순 요약에 그치지 않고 호연지기에 대한 설명을 논문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양호첩」에 인용된 구절은 학습자의 기본서인 사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접근성을 높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