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호망질소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287
영어공식명칭 Homangzil-sori|Homi song
이칭/별칭 「아시논매기소리」,「애벌논매기소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서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2002년 이전 - 「호망질소리」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에서 채록
채록지 「호망질소리」 채록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지도보기
가창권역 대구광역시 - 대구광역시
성격 민요
기능 구분 농업 노동요
형식 구분 선후창 형식
가창자/시연자 유성준

[정의]

대구광역시에서 전승되는 농업 노동요.

[개설]

「호망질소리」는 논매기 중에서도 호망[호미]로 하는 애벌 논매기 때 부르는 노동요이다. 「아시논매기소리」, 「애벌논매기소리」라고도 일컫는다. 사설에도 나타나듯이 주로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영천 지역에서 불리는 소리이다.

[채록/수집 상황]

2002년 출판된 김광순의 저서 『한국구비문학』 제2권에 따르면, 「호망질소리」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에서 가창자 유성준으로부터 채록되었다. 채록 시기는 책이 출판된 시기인 2002년, 또는 그보다 이전일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구성 및 형식]

「호망질소리」는 선후창 형식으로 부른다.

[내용]

남산동에서 채록된 「호망질소리」에는 해당 지역명이 뚜렷하게 드러난다. 사설은 다음과 같다.

“대구 영천 도문에 호맹이 손을 놀려라/ 업치는 잡히고 대구야 잡어다 밀쳐라/ 황새야 덕새야 니 어디 자고서 여기 왔나/ 수양청천 버들 숲에 이 가지 저 가지 자고 왔다.”

[의의와 평가]

「호미질소리」는 여러 지역에 다양하게 전승되는데, 「호망질소리」는 대구와 영천을 중심으로 불리는 「아시논매기소리」이며, 지역에서 전승되는 소중한 「논매기소리」 중 하나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