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시벌논매기소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221
영어공식명칭 Sibeol-Nonmaegi-sori|Song of Weeding a Rice Paddy
이칭/별칭 「세벌논매기소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서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2002년 이전 - 「시벌논매기소리」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에서 채록 2
채록지 「시벌논매기소리」 채록지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지도보기
가창권역 대구광역시 - 대구광역시
성격 민요|노동요
기능 구분 농업노동요
형식 구분 선후창 형식
가창자/시연자 김경애

[정의]

대구광역시에서 전승되는 농업노동요.

[개설]

「시벌논매기소리」는 논에서 김을 맬 때 부르는 노동요인 「논매기소리」 중에서도 마지막으로 하는 세 번째 논매기인 세벌매기를 할 때 부르는 노래이다. 세벌의 대구 사투리가 시벌이다.

[채록/수집 상황]

2002년 출판된 김광순의 저서 『한국구비문학』 제2권에 따르면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2동에서 가창자 김경애로부터 「시벌논매기소리」가 채록되었다. 채록 시기는 책이 출판된 시기인 2002년, 또는 그보다 이전일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구성 및 형식]

「시벌논매기소리」는 선후창 형식으로 부른다.

[내용]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시벌논매기소리」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먼저 합창, 선창, 후창의 순서대로 소리하는 전반부와 “우야절사 우야허허”를 반복하는 후반부가 있다. 전반부는 “[합창] 아 이에 에에/ [선창] 에 헤이 올라가자 올라가자/ [후창] 상사/ [합창] 아 이에 에에/ [선창] 에 헤이 시금털털 개설구나/ [후창] 상사/ [선창] 에 헤이 맛도 좋고 연할래라/ [후창] 상사/ [합창] 아 이에 헤헤/ [선창] 에 헤이 찌그덕 찌그덕 용두마리/ [후창] 상사/ [선창] 에 헤이 올라가매 한숨 짓고/ [후창] 상사/ [선창] 에 헤이 내려오매 눈물 진다/ [후창] 상사 잘한다/ [합창] 이 후후후후 이 후후후후”로 이어지다가 후반부로 넘어가 “우야절사 우야허허/ 우야절사 우야허허/ 우야절사 우야허허/ 우야절사 우야허허/ …… / 어 잘한다”로 마무리된다. 후반부는 논매기를 거의 마무리하는 단계에서 빠르게 부르는 대목인데, 논매기가 마무리됨을 알리는 소리이기도 하다.

[의의와 평가]

대구광역시에서 전승되는 「시벌논매기소리」는 논매기의 마무리 단계에서 부르는 소리이다. 「논매기소리」의 다양성과 함께 「시벌논매기소리」의 특징을 잘 드러내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