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유희요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123
한자 遊戱謠
영어공식명칭 A Play Song
이칭/별칭 놀이노래,놀이요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서은

[정의]

대구 지역에서 놀이를 할 때 부르거나 기분을 풀고 즐기기 위하여 부르는 민요.

[개설]

대구 지역의 유희요는 다양하게 채록되어 있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내용이 타령류의 악곡들이다. 예를 들면 「새타령」, 「빵구타령」, 「돈타령」, 「담바구타령」, 「방아타령」, 「범벅타령」 등이 있다. 이러한 타령조의 민요들은 특정한 놀이와 관련되기보다는 부르는 사람의 흥을 돋우고 기분을 푸는 기능을 한다.

[내용]

「방아타령」

오~ 방헤야/ 오~방헤야/

이 방아가 누 방아고/ 오~방헤야/

경신년 경신시/ 오~방헤야/

강태공 조작방아/ 오~방헤야/

빙빙돌아 돌방아/ 오~방헤야/

둘이 찧는 가래방아/ 오~방헤야/

하나둘이 찧는 방아/ 오~방헤야/

열두 무리 잡수시요/ 오~방헤야

대구 지역에서 채록된 유희요 중에는 놀이와 관련된 민요도 있는데, 「장기판 노래」나 전래동요 「집 짓기」 등이 그것이다. 특히 「장기판 노래」는 특이하게 장기를 만드는 과정이 그려지고 있다.

「장기판 노래」

청단홍단 백모단 백이숙제는 고소단/

도랑미기는 송낙단 이태백이는 포도단/

산중노단은 국화단 모아노거 망태로다/

망태야 좋다마는 판이 없어 어이할꼬/

아양궁 송역할 때 굽은 남근 제쳐놓고/

곧은 나무 베어다가 사모에 멀기맞처/

깎아노니 판이로다 판이사 좋다마는/

판 가운데 우에 매키던고 매키던고/

홍보덕보 자갈선생 매킷도다/

그 판 이름 무엇인고 멍군 장군

이외에도 「꽃노래」「춘유요」처럼 자연을 노래한 내용이나, 「꽃밭가」「사랑가」와 같이 남녀 간의 사랑을 다룬 내용,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전래동요가 대구 지역 유희요에 포함된다.

음악적으로 보면 지역의 음악어법인 메나리토리를 기본으로 하지만, 경기 지역 민요의 음악어법인 경토리로 구성된 악곡도 있다. 경토리 악곡인 경우 경기 통속민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전국적인 전파 양상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