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가신신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5987
한자 家神信仰
영어공식명칭 Gasin-sinang|Religion in House Spirits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현진

[정의]

대구광역시에서 가정을 지켜 주는 집안 곳곳의 신들에 대한 신앙.

[개설]

가신신앙은 집안 곳곳에 가신(家神)이 존재하고 그 신들이 가정을 평안하게 보살펴 준다고 믿는 신앙이다. 대구 지역에 전해지는 가신의 종류는 성주, 삼신, 조상신, 조왕, 터신, 업신, 대문신, 외양신, 측신 등이 있다. 이러한 가신에 대한 신앙은 대구 지역만의 특징적인 모습은 아니고, 어느 지역에서나 쉽게 볼 수 있는 보편적인 신앙 형태이다. 가신들은 공간에 따라 역할이 조금씩 다르지만, 가정의 평안을 돌보는 존재라는 점에서는 같은 의미로 볼 수 있다. 가신에 대한 의례는 대체로 안주인이 주관하였다.

[가신의 종류]

먼저, 성주신은 가장을 보호하는 신이며 가택신의 대표로 볼 수 있다. 성주는 특정 공간이나 특정 역할을 담당하기보다는 집안 전체를 관장하는 신이다. 성주는 한지, 단지, 헝겊 등을 신체로 하여 대청마루, 대들보 등에 따로 모셔 놓기도 하지만 집 자체를 신체로 보기도 한다. 성주에게 바치는 성주상은 마루나 부엌에 차린다. 대체로 음력으로 2월 초하루, 추석, 10월, 가옥의 상량일 등에 의례를 행한다.

삼신은 자손 생산과 아이의 건강을 돌본다고 믿어, 출산 후에는 감사의 표시로 쌀과 미역국, 물을 기본으로 차린 삼신상을 올린다. 이를 삼신상차리기라 한다. 또한 아이가 아플 때 물을 떠 놓고 삼신에게 빌기도 한다. 삼신상에는 쌀과 미역국, 물을 기본으로 올린다.

조상신은 조상단지, 제석 등으로 불리며 일반적으로 안방에 쌀을 담은 작은 단지를 신체로 모시는 형태이다. 대구 지역에서는 조상단지라 하여 안에 찐쌀을 넣기도 하는데 햅쌀이 나면 단지 안의 쌀을 새것으로 갈아 넣는다.

조왕은 부엌에서 모시는 불의 신인데, 모든 부정을 털어 내고 생명력을 불어넣는 존재로 여긴다. 조왕신은 신체가 없는 경우가 많으며 조왕할매라고도 불린다.

터신은 집터를 관장하는 신이며 토지신·터주신·철륭·용단지라고도 부른다.

업신은 재운을 관장하는 신이며, 밖에서 들어오는 존재라 믿어 뱀, 족제비, 두꺼비 등을 신체로 여겼다.

대문신은 외부와 연결되는 공간으로 부정한 기운이 들어오는 것을 막고 복이 들어오게 하는 상징적 존재이다. 출산할 때라든지 동제의 제관으로 선출될 때 등 중요한 일이 있으면 대문에 금줄을 치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측신은 뒷간의 신인데, 다른 가신과 달리 부정적 성격으로 여겨졌다. 뒷간에 빠지면 일명 ‘똥떡’이라 하여 떡을 만들어 측신에게 바치는 행위를 하기도 한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측신의 노여움을 산다고 믿었다. 측신의 신체는 따로 없고 성별도 없지만, 젊은 여신이라는 관념이 있다.

[현황]

대구 지역은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영향과 도시화로 주거 공간이 변화하면서 가신신앙의 흔적을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전통가옥이 거의 남아 있지 않고 아파트나 현대식 주택이 건설되면서 주거 공간의 형태, 공간에 대한 인식이 달라져 가신신앙은 빠르게 사라지는 추세이다. 젊은 층은 가신신앙이 있었는지조차 모르는 경우가 흔하다. 드물게 부모 세대의 의례 경험과 전통을 이어받아 삼신상과 같은 가신신앙 의례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