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대구경북학회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5308
한자 大邱慶北學會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혜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2012년 3월 27일연표보기 - 대구경북학회 창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12월 30일 - 대구경북학회 『전환의 도시 대구』 출간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4년 1월 31일 - 대구경북학회 『전환의 도시 대구, 미래와 비전』 출간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4년 4월 - 대구경북학회 학술지 『대구경북연구』 대구경북연구원과 공동 발간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9년 9월 1일 - 대구경북학회 계명대학교와 경북대학교에 교양 강좌 ‘대구경북 지역학’ 개설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9년 12월 30일 - 대구경북학회 『대구경북 잘 알아요?』 출간
성격 연구 전문 단체
설립자 대구경북학회

[정의]

대구광역시에 있는 지역학 연구 단체.

[설립 목적]

대구경북학회(大邱慶北學會)는 대구·경상북도 사회의 지역정체성을 모색하고 지역의 미래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대구 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창립하였다.

[변천]

대구경북학회경북대학교 김영화 교수 등 34명의 지역 대학 교수와 시민 단체 관계자 등이 대구경북학회 창립 준비위원회를 구성하고 2012년 3월 9일 경북대학교에서 모임을 가진 후 2012년 3월 27일 창립하였다. 대구경북학회는 창립 이후 2012년 12월 30일 『전환의 도시 대구』를 출간하였고 2014년 1월 31일 『전환의 도시 대구, 미래와 비전』를 출간하였다.

2014년 4월에는 대구경북연구원과 공동으로 학술지 『대구경북연구』를 발간하였으며 2019년 9월 1일에는 전국 최초로 지역학 교양 강좌인 ‘대구경북 지역학’을 개설하여 계명대학교경북대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하였다. 2019년 12월 30일에는 『대구경북 잘 알아요?』를 출간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대구경북학회는 학술회의, 연구 발표회, 토론회, 강연회 등 개최하고 학회지 및 학술지 등을 발간하고 있으며 대구·경상북도 지역 연구와 관련한 도서, 문헌자료 등을 수집·관리 및 배포하고 있다. 대구경북학회가 2014년 4월 대구경북연구원과 공동으로 발간한 학술지 『대구경북연구』는 2018년 10월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에 선정되었다.

대구경북학회는 학회지 및 학술지 발간을 통하여 대구·경상북도의 사회, 문화, 경제, 행정, 공동체 등에 관한 연구 및 대구·경상북도의 인문 가치와 정신문화에 관한 연구와 대구·경상북도와 타 지역의 비교연구 등에 앞장서고 있다. 대구경북학회는 또한 대구·경상북도 지역 대학생들에게 지역에 대한 이해를 높여 자존감을 살리고 지역 발전을 위한 혁신 인재를 육성하기 위하여 2021년 현재 대구·경상북도 지역 10개 대학교에서 ‘대구경북의 이해’라는 지역학 교양 강좌를 진행하고 있다. 향후 더 많은 대학의 교양 교과과정 및 평생교육 과정으로 확대할 계획을 추진 중이다.

[의의와 평가]

대구경북학회는 비수도권에서는 처음으로 민간 영역의 자발적 지역 연구 모임을 결성하여 대구 지역사회의 변화와 근본 시민정신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한편 개척자 정신으로 대구·경상북도 지역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작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지역 사회학 연구를 통합하는 연구 프로젝트를 실시하여 지역 현안에 대한 ‘싱크탱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지역사회 발전과 대구 지역민들의 삶의 질의 높이는 데 큰 몫을 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