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연경서원기문 편액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4457
한자 硏經書院 記文 篇額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구본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술 시기/일시 1567년 - 연경서원기문 저술
간행 시기/일시 1613년 11월연표보기 - 연경서원기문 편액 제작
발견|발굴 시기/일시 2016년 4월 - 연경서원기문 편액 이숙량의 후손가에서 발굴
간행처 연경서원 -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 지도보기
저자 이숙량(李叔樑)
규격 220×30㎝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에 있었던 연경서원의 건립 과정을 담은 기문 편액.

[개설]

연경서원(硏經書院)은 1563년(명종 18)에 건립을 시작하여 1564년에 상량을 하고 1565년에 완공되었다. 2년 후 1567년(명종 22)에 이숙량(李叔樑)[1519~1592]이 건립의 전말을 기록한 「기문」을 지어 강당에 편액(扁額)하여 게시하였다. 이때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지은 「기문후기(記文後記)」도 함께 편액하였다. 두 기문은 임진왜란 중에 연경서원과 함께 소실되었다. 1602년(선조 35)에 애련당(愛蓮堂)을 지어 서원의 일부를 중건하였다. 1613년(광해군 5)에 사당을 지어 퇴계 이황을 봉안할 때 다시 「기문」과 「기문후기」를 제작하여 편액하였다. 연경서원 중건을 감독한 모당(慕堂) 손처눌(孫處訥)은 자신이 쓴 『모당일기』 1613년 11월 19일에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서원에 있었다. 종일 칭찬하고 나무라며 감독하였다. 현판을 새기는 공인(工人)의 솜씨가 뛰어났다. 그래서 기뻤다. 「기문」과 「발문(跋文)」[기문 후기]을 새겨서 애련당에 편액하였다. 「기(記)」는 고(故) 이상사(李上舍) 숙량(叔樑)이 지은 것으로 낙재(樂齋) 서사원(徐思遠)이 글씨를 썼다. 「발문」은 퇴계(退溪) 이선생(李先生)이 지은 것인데 판윤(判尹) 김상용(金尙容)이 글씨를 썼다. ‘연경서원(硏經書院)’과 ‘시습재(時習齋)’, ‘양정헌‘(養正軒)’ 등 무려 10여 개의 편액은 죽은 벗 도경익(都慶益)이 모사하여 보관하여 둔 것이니 하늘이 숨기고 귀신이 보호한 것이리라. 새겨서 모두 달았다.”

연경서원은 1871년(고종 8)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이후 기문과 기문후기의 행방을 알 수 없었는데, 2016년 4월에 이숙량의 후손가(後孫家)에서 발굴되었다. 「기문」과 「발문」의 내용은 『매암문집』과 『퇴계문집』에 수록되어 있다.

[저자]

연경서원 기문을 쓴 이숙량은 안동 예안 출신으로 자(字)는 대용(大用), 호는 매암(梅巖), 본관은 영천(永川)이다.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24세에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며, 39세에 대구로 이사하였다. 43세 되던 1563년(명종 18) 대구 지역의 유림들이 연경서원을 건립할 때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서원이 완공된 후 「연경서원기(硏經書院記)」를 지었다.

[편찬/간행 경위]

연경서원기문 편액연경서원의 건립 과정에 대한 기록으로 임진왜란 때 소실된 후 1613년에 다시 제작하였다.

[형태/서지]

연경서원기문 편액은 소나무 판자 길이 220㎝, 높이 30㎝에 기문을 음각으로 새겼다.

[구성/내용]

연경서원기문 편액에는 연경서원의 건립 과정과 재원, 부사의 지원 등이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연경서원기문 편액은 대구 최초의 서원인 연경서원의 건립 과정을 알 수 있게 하는 자료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