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대구-중국 우한시 우호협력 결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3439
한자 大邱-中國 -市 友好協力 結緣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은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6년 3월 24일 - 대구-중국 우한시 우호협력 결연

[정의]

대구광역시와 중국 우한시 간에 맺은 우호 협력 협약.

[개설]

대구-중국 우한시 우호협력 결연(大邱-中國武漢市友好協力結緣)은 2016년 3월 24일 대구광역시와 중국 우한[武漢]시 간에 맺은 우호 협력이다.

중국 우한시는 양쯔강 중류에 있는 도시이다. 2020년 추계 면적은 8,494.4㎢, 인구는 836만 4977명이며, 후베이성의 성도(省都)이다. 한커우[漢口], 우창[武昌], 한양(漢陽) 세 도시가 합쳐져 만들어진 도시이다.

우한은 1911년 중국 신해혁명(辛亥革命)의 발상지이자 신해혁명이 봉기한 도시, 적벽대전(赤壁大戰)이 발발한 곳이다.

우한시는 1949년 5월 중국 공산당이 우한을 장악하여, 중국 제일 첫 직할시로 선정되었다. 1958년 톈진조약에 의하여 개항되어 형성된 조계지 중심으로 상업, 금융업이 발전하여 ‘동방의 시카고’로 불린다.

우한시는 중국 화중 지역의 정치, 경제, 금융, 문화, 교통의 중심지이며, 대학교가 89개로 베이징 다음으로 대학교가 많은 도시이다. 우한시의 주요 산업으로는 철강, 광통신, 석유화학, 자동차,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이 있으며, 대구와 같은 무더운 여름 날씨 때문에 난징[南京], 충칭[重慶]과 더불어 ‘중국 3대 화로(火爐)’로 불린다. 우한시의 연평균 기온은 15.8도~17.5도, 1월 평균기온 0.4도, 7월, 8월 평균기온은 28.7도이다.

[결과]

우한시는 청주시와 자매도시 체결을, 대구광역시와 대전광역시와는 우호협력도시 체결을 하였다.

2011년 기준 우한 진출 한국 기업은 대한항공, 기업은행, 포스코 등 27개 사이다. 주우한 대한민국 총영사관이 2010년에 개관하였고, 우한 총 교민 수는 유학생 500명 포함 약 700여 명이다.

[참고문헌]
  • 대구광역시청(http://www.daegu.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