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문화관광 정책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3450
한자 文化觀光 政策
영어공식명칭 Culture and Tourism Policies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선

[정의]

대구광역시에서 시행하는 문화·관광 분야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

[비전과 주요 전략]

대구광역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문화관광 정책의 비전은 시민 모두가 함께 누리는 문화·체육·관광이다. 주요 전략은 문화로 행복한 글로벌 문화예술 도시, 미래 주도형 뉴 콘텐츠(new contents) 중심 도시, 스포츠로 일상이 즐겁고 건강한 도시, 지방 관광 뉴 트렌드(new trend) 선도 도시 등이다.

[문화예술 추진 방향]

대구광역시 문화예술 정책의 추진 방향은 시민문화권을 중심으로 하는 패러다임의 전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발굴 추진, 대구의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가치 재조명 등이다. 이를 위하여 시민문화의 접근성 제고, 예술가의 창작 권리와 지위 보장을 위한 기반 강화, 유네스코 음악 창의 도시(創意都市) 브랜드의 세계화, 글로벌 문화인프라 확충, 대구 시민정신의 계승 발전, 인물·역사·문화예술 등 현창(顯彰) 사업 및 DB화 등의 과제를 설정하고 있다.

문화예술정책의 추진 주체는 대구광역시청 문화체육관광국의 문화예술정책과와 문화콘텐츠과이며, 대구문화재단이 문화예술 관련 정책의 실행 주체로서 대구광역시와 문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관광산업 추진 방향]

대구광역시의 문화관광 정책의 추진 방향과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두가 누릴 수 있는 여행객 친화 환경 조성을 위하여 대구광역시 동성로에 종합 관광 안내소를 설치한다. 24시간 무인관광안내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며, 대구시티투어 버스를 확대 개편한다. 둘째, 해외 관광시장 다변화를 통한 질적인 성장과 관련된 과제로 해외 맞춤형 관광마케팅을 시도하며, 대구 지역 특화 관광상품 육성과 글로벌 관광 홍보 확산을 통하여 대구의 해외 인지도를 높인다. 셋째, ‘대구관광’ 브랜드의 강화 방안으로 연령별·타깃별 맞춤형 관광상품을 개발하고, 관광도시 인지도 확산을 통하여 ‘대구관광’의 위상을 강화시킨다. 넷째, 지속가능한관광 기반을 구축하는 방안으로 지역 특성에 맞는 관광 콘텐츠와 상품을 개발하고, 대구관광 상징 콘텐츠를 발굴한다. 다섯째, 체류형 관광인프라 확충을 위하여 대구관광 종합 발전 계획 선도 사업의 추진 및 테마가 있는 관광 명소를 조성하고, 관광지 및 관광특구 지정을 추진한다.

문화관광 정책의 추진 주체는 대구광역시청 문화체육관광국 관광과가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대구관광뷰로, 대구광역시 관광협회, 대구전시컨벤션센터[EXCO], 대구시설공단 등이 관광사업을 위탁하여 수행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