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3434
한자 大邱-中國 -市 姊妹結緣
영어공식명칭 Sister Relationship between Daegu and NIngbo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성영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3년 6월 8일 - 대구광역시-중국 닝보시 자매결연 체결

[정의]

대구광역시와 중국 닝보시 간의 교류 협력.

[개설]

대구-중국 닝보시 자매결연(大邱-中國寧波市姊妹結緣)은 2013년 6월 8일 대구광역시와 중국 닝보[寧波]시 간에 체결한 교류 협력이다.

닝보시는 중국 저장성 동남부에 있다. 2020년 기준 면적 9,816㎢, 인구 411만 6209명의 도시이다. 7000년의 역사를 지닌 문화의 발상지이면서 당나라 때부터 신라, 일본, 동남아 일부 국가와 무역한 세계 5위 규모의 저우산항[舟山港]을 보유하고 있는 국제물류 도시이다.

중국 내 화물 물동량이 1위에 이르는 물류 허브로서, 2019년 인구가 34만 명 증가하여 인구 증가 폭이 큰 도시 4위를 기록하기도 하였다.

2018년 기록에 의하면 닝보시 GDP가 전년 대비 7.0% 증가하여 1조 745억 5000만 위안을 기록하였는데, 2017년 1인당 GDP는 12만 4017위안이었다. 산업구조는 1차 산업 2.8%, 2차 산업 51.3%, 3차 산업이 45.9%의 비중이며, 항구 물류, 조선 제지, 자동차 제조, 가전제품, 석유화학공업, 식품가공 등의 산업 등이 발달하였다.

닝보시는 따뜻하고 습한 아열대성 기후로 사계절이 뚜렷하고 자원이 풍부하다. 주요 자원으로는 형석, 명반석, 석고, 규석, 화강암과 같은 광산자원과, 해역 면적 약 9,758㎢, 섬 531개, 섬 총면적 524.07㎢에 이르는 해양자원이 있다.

닝보시는 해외 14개국과 자매도시 협력, 47개국와 우호도시 협력을 체결하였는데, 한국과는 2013년 대구광역시와 자매도시를, 2007년 광주광역시, 2006년 대전광역시와 우호도시 체결을 맺었다. 한국 기업은 한화케미컬, 삼성중공업 등이 진출하여 있다.

[결과]

대구광역시와의 교류 관계를 살펴보면, 2019년 9월 22일~27일 대구예술제에 닝보시 문화예술단 12명이 사진, 미술품, 수공예품 등 예술작품을 전시하였고, 2019년 1월 16일~17일 계명대학교 중국교류센터 과장 등 2명을 포함한 ‘대구·닝보 대학 간 대표단’이 닝보를 방문하여 유학 프로그램 추진에 대하여 협의를 하였다. 2019년 1월 20일~22일 화마오국제학교 이사장 등 12명을 포함한 ‘대구·닝보 대학 간 대표단’이 대구 계명대학교 등을 방문하여 유학 프로그램 추진에 대하여 협의를 하였다.

2019년 7월 31일~8월 4일 ‘대구·닝보 청소년교류팀’ 20명이 홈스테이, 한국 및 대구 문화 체험 등을 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를 방문하였고, 2019년 11월 21일~23일 닝보시 종합행정집법국 2급 순시원 등 6명이 ‘쓰레기 처리 및 재활용 벤치마킹’의 목적으로 대구광역시를 방문하는 등, 대구광역시와 닝보시 간의 교류가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다.

[참고문헌]
  • 대구광역시청(http://www.daegu.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