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715
한자 徐相懽
영어공식명칭 Seo Sanghwanㄹ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일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88년 9월 24일연표보기 - 서상환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15년 1월 15일 - 서상환 재건 달성친목회 결성 참여
활동 시기/일시 1919년 5월 - 서상환 일제 경찰에게 체포
활동 시기/일시 1920년 3월 22일 - 서상환 대구고등법원에서 면소 판결로 석방
활동 시기/일시 1952년 - 서상환 법무부장관 역임
몰년 시기/일시 1968년 5월 25일연표보기 - 서상환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90년연표보기 - 서상환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출생지 통영 - 경상남도 통영시
학교|수학지 니혼대학 - 일본 도쿄시
활동지 대구 - 대구광역시
활동지 서울 - 서울특별시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대표 경력 법무부 장관

[정의]

일제강점기 대구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정부 관료.

[개설]

서상환(徐相懽)[1888~1968]은 1888년 9월 24일 지금의 경상남도 통영시에서 태어났다. 1910년대 재건 달성친목회에서 활동하였으며, 광복 후에는 법무부장관을 역임하였다.

[활동 사항]

서상환은 일본 도쿄[東京]로 유학하여 니혼대학[日本大學] 전문부 법과를 졸업하였다. 1915년 1월 15일 대구 안일암(安逸庵)에서 서상일(徐相日) 등과 함께 재건 달성친목회[조선국권회복단]를 결성하였다. 1919년 3·1운동이 전국으로 확산되자, 대구를 방문하여 서상일·윤상태(尹相泰)재건 달성친목회 구성원들을 만나 조선의 정세를 전망하였다. 서상환은 고향인 통영에서 5~6만 원 상당의 독립운동 자금을 모금하여 달라는 요청을 받고 통영의 부호 서상호(徐相灝)와 협의하였다. 또한 고향에서 동지 규합을 위하여 활동하였으나, 1919년 5월 무렵 정진영의 밀고로 서상환을 비롯한 재건 달성친목회 관련자들이 체포되었다. 서상환은 9월 23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제령 제7호」 위반 혐의로 구류 처분을 받았고, 1920년 3월 22일 대구고등법원에서 면소 판결로 석방되었다.

서상환은 1934년 변호사 시험에 합격하여 법조인으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광복 후 미군정청 경상남도 고문을 맡았으며, 경상남도 내무국장을 지냈다. 1949년 3월 서울고등검찰청 검사장으로 있을 때 부산을 방문하여 선거 부정에 대하여 경고하였다. 1950년 6월 22일 검찰총장에 취임하였으며, 1952년 3월 5일부터 1954년 6월 29일까지 제6대 법무부장관을 역임하였다. 서상환은 1968년 5월 25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서상환의 공적을 기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