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간돌칼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676
이칭/별칭 마제석검(磨製石劍)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고대/초기 국가 시대
집필자 민선례

[정의]

대구광역시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의 돌을 갈아 만든 칼.

[개설]

간돌칼[마제석검(磨製石劍)]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석기로 무기로 사용되거나 지배자의 권위를 상징한다.

[내용]

간돌칼은 곧은 날을 가진 검몸[검신(劍身)]과 자루[병부(柄部)]로 구성된다. 검몸의 횡단면은 볼록렌즈 모양이나 마름모꼴이며, 일부 검몸에 피홈[혈구(血溝)]을 만든 것도 있다. 자루 대신에 슴베[莖]를 만들기도 한다. 자루의 유무에 따라 유병식과 유경식으로 구분되며, 유경식은 손잡이 부분에 홈을 내어 단을 만든 이단병식(二段柄式), 손잡이의 구획이 없는 일단병식(一段柄式)으로 나뉜다.

대구광역시의 청동기시대 고인돌이나 돌널무덤뿐 아니라 주거지에서도 간돌칼이 확인된다. 신천 좌안의 고인돌·월배 지역의 고인돌이나 돌널무덤 등에서는 돌화살촉, 적색 마연 토기와 함께 일단병식 간돌칼, 이단병식 간돌칼이 출토되었다. 대구 동천동 취락유적, 대구 서변동 취락유적, 대구 대봉동 유적, 월배 지역의 청동기시대 주거지에서도 간돌칼이 출토되었는데, 돌칼에서 재가공한 흔적이 확인되기도 한다. 석재는 퇴적암 계통의 셰일, 응회암, 이암, 점판암 등이 이용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