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한일회담반대운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644
한자 韓日會談反對運動
이칭/별칭 한일협정준비반대투쟁,범국민적 굴욕외교 반대운동,한일협정체결반대운동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임삼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회운동|민주화운동

[정의]

1964년 대구 지역에서 한일회담 개최 및 비준을 반대하기 위하여 전개한 민주화운동.

[역사적 배경]

1964년 박정희 정부는 경제개발에 필요한 자금과 기술을 일본으로부터 들여오기 위하여 한일회담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대일 협상의 진행 과정을 비밀에 부쳐 온 박정희 정부는 1964년 3월 한일회담의 타결, 조인, 비준을 5월까지 마친다는 방침을 밝혔다. 박정희 정부는 일본의 식민 지배에 관한 문제를 한일회담의 부차적인 내용으로 간주하는 태도를 보였다.

야당은 ‘대일굴욕외교반대 범국민투쟁위원회’를 결성하여 전국 유세에 들어갔고, 학생들의 반대 시위도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대구 지역에서도 1964년 3월부터 본격적으로 한일회담반대운동(韓日會談反對運動)이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한일회담반대운동은 한일협정준비반대투쟁, 범국민적 굴욕외교 반대운동, 한일협정체결반대운동이라고도 한다.

[경과]

1964년 3월 25일 계명대학교, 경북대학교, 대구대학[현 영남대학교]을 비롯한 대구 지역 대학생들이 “한일회담 즉시 철회하라”라는 구호를 내걸고 2시간 동안 시위를 벌였다. 대구대학 1,000여 명의 학생들은 강당에 모여 학생 총회를 열고 “한일회담을 즉시 철회하라”, “야당은 우리를 이용하지 말라”, “감금된 학생을 즉시 석방하라”라는 결의문을 채택하고 가두시위를 벌였다.

교문을 나선 학생들은 남문시장을 거쳐 대구역으로 진출하여 집회를 열었고, 다시 경상북도청 앞에 집결하여 결의문을 낭독하였다. 1964년 3월 26일 계명대학교 학생들은 공화당, 민정당 대표들과 함께 한일회담 관련 공개 토론회를 개최하였다.

박정희 정부가 한일회담을 계속 추진하자 1964년 6월 3일에는 1만여 명의 학생과 시민이 “박정권 타도”와 “한일회담 반대”를 외치는 시위를 벌이면서, 한일회담반대운동은 다시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박정희 정부는 1964년 6월 3일 오후 6시 30분 비상계엄령을 선포하고, 1964년 7월 29일 해제될 때까지 일체의 옥내외 집회 및 시위 금지, 대학의 휴교, 언론·출판·보도의 사전검열, 영장 없는 압수·수색·체포·구금, 통행 금지 시간 연장 등을 포고하여 한일회담 반대 시위를 축소·봉쇄하고자 하였다.

비상계엄령이 선포된 다음 날인 1964년 6월 4일 경상북도에서 한일회담을 반대하는 가두시위가 열렸다. 1964년 6월 5일에도 계명대학교 학생들이 “서울의 학우들이 발이 묶여 행동하지 못할 때는 이곳 학생들이 그 바통을 이어받아야 한다”며 강당에서 긴급 학생총회를 열고, 한일회담 반대 시위를 계속 벌이겠다는 결의를 다졌다.

대구 지역 한일회담반대운동은 1965년에도 계속되었다. 1965년 3월 31일 서울에 거주하는 이종래가 대구시청 광장에서 ‘대일 굴욕 외교’를 비난하는 유서를 남기고 분신자살하였다. 이후 대구 지역에서는 대일굴욕외교반대투쟁위원회 경북지부가 중심이 되어 한일협정 체결 반대운동을 전개하였다.

1965년 4월 1일 대일굴욕외교반대투쟁위원회 경북지부가 수성천 변에서 강연회를 개최하자 2만여 명의 시민이 참가하였다. 대일굴욕외교반대투쟁위원회 경북지부는 강연회에서 “굴욕 외교는 즉각 중지하라”, “평화선은 생명선이다. 사수하자”, “매판자본을 배격하자”라는 내용의 결의문을 채택하였다. 1965년 4월 9일 대일굴욕외교반대투쟁위원회 경북지부는 공화당의 강연회에 시민을 동원하는 행정 당국을 비난하는 성명서를 발표하기도 하였다. 계명대학교, 경북대학교, 대구대학 등도 1965년 4월 21일부터 한일 협정 비준을 반대하며 즉각 철회를 주장하는 가두시위를 계속 이어 갔다.

[결과]

1965년 6월 22일 한일기본조약은 결국 체결되었고 이후에는 한일협정 인준 반대 투쟁을 이어 나갔다. 1965년 7월 10일 민중당이 대구종합운동장에서 1만여 명의 군중과 함께 한일협정 인준을 반대하는 매국조약비준반대국민성토대회를 개최하였다. 1965년 8월 9일 대구 지역 대학교수 43명은 “한일협정은 우리의 민족적 자주성과 국가 이익에 막대한 손실을 가져올뿐더러 장차 심히 우려할 사태의 전개가 예상된다”라는 내용으로 한일협정 비준을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하였다. 1965년 8월 13일 6·3동지회가 “현시점에서 위정자에게 갈망하는 사항”이라는 토론대회를 개최하고자 하였으나 경찰들이 사전에 관계자를 연행하여 무산되었다.

[의의와 평가]

한일회담반대운동군정연장반대운동, 6·8부정선거 항의, 삼선개헌반대투쟁 등과 함께 1960년대 대구·경상북도 지역의 대표적 민주화운동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