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559
한자 一友黨
이칭/별칭 일우동맹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일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26년 9월 - 사회과학연구회 결성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27년 2월부터 - 일우당 사상강좌회 개최
설립 시기/일시 1927년 12월 - 신우동맹 결성
개칭 시기/일시 1927년 12월 - 신우동맹에서 혁우동맹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28년 2월 - 혁우동맹에서 적우동맹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28년 4월 30일 - 적우동맹에서 일우당으로 개칭
해체 시기/일시 1928년 9월 - 일우당 해산
개칭 시기/일시 1928년 9월 - 일우당을 해산하고 우리동맹 결성
성격 학생운동

[정의]

일제 강점기 대구광역시에서 중등학교 학생들이 적우동맹을 계승하여 결성한 비밀 결사.

[설립 목적]

일우당(一友黨)은 ‘마르크스주의적 혁명 전술의 함양’과 ‘피압박민족의 해방운동’이라는 신우동맹의 강령을 계승하여 식민지 노예교육을 반대하고 사회과학을 연구하여 독립운동에 매진하려는 목적으로 결성되었다.

[변천]

대구 6·10만세운동 이후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현 경북중고등학교] 학생들이 1926년 9월 결성한 사회과학연구회신간회 대구지회 회원으로 구성된 강사들의 지도로 1927년 2월부터 비밀리에 사상강좌회를 개최하였다. 사상강좌회 회원들은 1927년 12월 마르크스사상을 기반으로 하는 학생운동 비밀결사인 신우동맹을 결성하였다. 회원이 점차 늘자 일제에 발각될 위험성이 커진다고 생각한 끝에 신우동맹이 결성된 달과 같은 달인 12월 신우동맹에서 혁우동맹(赫友同盟)으로 비밀결사의 명칭을 바꾸었다.

1928년 2월에는 혁우동맹에서 적우동맹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28년 4월 30일 적우동맹에서 일우당(一友黨)[일우동맹(一友同盟)]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가 1928년 9월 일우당을 해산하고 이덕주(李德柱)·김영수(金永壽) 등이 새로이 우리동맹을 결성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일우당은 1928년 3월 일본인 교사가 수업 시간에 이순신을 ‘적’으로 규정한 발언으로 촉발된 대구고보 동맹휴교 투쟁 방법을 놓고 적우동맹 내부의 의견 대립 끝에 강력한 동맹휴교 투쟁을 펼치기 위하여 결성되었다. 일우당은 일본인 교사의 ‘이순신 발언’으로 촉발되어 결성된 ‘대구고보 폭압정책 반대동맹’을 강화하여 동맹휴교 투쟁을 강력하게 전개하는 한편 일제의 식민지 노예교육 반대와 민족교육 실시 요구를 관철하고자 하였다.

[의의와 평가]

일우당대구고보 폭압정책 반대동맹을 통한 동맹휴교 투쟁은 일제의 식민지 교육정책에 정면으로 저항하며 민족운동의 고양에 이바지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